2024.04.17 (수)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어머니의 100세 일기] 어머니의 장수비결 10가지 중 한가지 ... 감사

1923년 3월 22일. 어머니의 생신이다. 막내딸 이름을 성춘(成春)이라 지으시면서, 외할아버지는 ‘봄을 이루어라, 봄이 되거라’고 기원하셨을까. 이제 내일 모레면 만 나이로 백 세가 되신다.

이웃들이 묻는다. 어머니의 장수비결이 무엇이냐고. 혹시 집안이 장수하는 가문이냐고..... 아니다. 어머니는 4남2녀의 막내인데, 형제분들 중 가장 오래 사신 경우가 80대 중반이다. 요컨대, 장수혈통은 결코 아니란 얘기다.

그럼, 무엇이 장수의 비결일까? 어머니와 함께 산 지 20년, 같은 방을 쓴 지가 10년 째다. 룸메이트로서 내가 경험하고, 관찰하고, 생각하는 어머니의 장수비결을, 10가지로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일, 2) 식사, 3) 병원, 4) 자녀, 5) 기도, 6) 바다, 7) 잠, 8) 딸, 9) 긍지, 10) 감사.

 

 

1. 바당 덕분에

 

바당 어서시민 어떵 살아시코 이? 어머니가 바다만 보면 입버릇처럼 하시는 말씀이다. 얼마나 바다가 고마우면 저러실까?

 

어머니의 애틋한 마음이 파도처럼 밀려와서 내 가슴을 싸〜아 하게 적신다. ‘바다 덕분에 2남7녀를 키울 수 있었다’는 어머니의 고백 속에는, 바다를 향한 어머니의 고마움이 담겨 있다.

 

어머니는 함경환 사건으로 아버지를 여의었다. 6살 때 일이다. 함경환은 500t급의 작은 배로, 1918년부터 제주~시모노세키~오사카를 48시간에 걸쳐서 정기적으로 운항하던 여객선이다. 제주시 산지항에 정박했다가 조천·성산포·서귀포·중문·모슬포·한림·애월 포구 등을 돌면서 승객을 태웠다. 작아도 제주도를 대표하는 여객선이라고, 그 배를 접안시킬 시설이 없어서, 중문면에서는 자장코지 몰레바당(지금의 주상절리 동쪽에 있는 대포마을 지경)에 정박하였다.

 

1928년 1월 28일, 사건이 발생한 그 날도 함경환은 자장코지 앞에 닻을 내렸다. 큰갯물(대포) 포구에서 지역주민 50명을 태운 종선(풍선)이 바람을 맞받으면서 모선으로 향했다. 평소보다 많은 승객을 태운 배가 뒤뚱거리면서 간신히 함경환에 닿는 순간, 갑자기 돌풍이 불어닥쳤다. 단박에 종선은 뒤집혀서 고꾸라지고 말았다. 이런 게 인생일까?

 

바다는 아수라장으로 변했다. 살려달라는 외침이 파도소리와 뒤범벅져서 하늘로 메아리쳤다. 다행히 40대의 건장한 할아버지는 사력을 다한 끝에 함경환 위로 오를 수가 있었다. 그런데, 아기를 업고 허우적거리는 동녘집 아지망이, “삼춘, 살려줍서, 우리 아기 받아줍서”라며 비명을 질렀다. 할아버지는 다시 바다로 뛰어들었고, 파도는 기다렸다 듯이 허연 아가리로 세 사람을 삼켰다.

 

이 사건으로 18명이 구조되고 32명이 익사하였다. 대포마을 설촌 이래 최고의 비극이었다. 함경환은 사태를 제대로 수습하지 않은 채, 1시간도 지체하지 않고서 줄행랑치듯 떠나버렸다. 유족들의 항의로 희생자 1인당 30원씩 위적료(慰籍料)를 지급한 게 전부였다.

 

그후로 함경환은 대포에 정박하지 않고 성천포(배린내)로 승선 장소를 옮겼다(서귀포향토문화백과). 대포마을에서는 한 집 건너 또 한 집 꼴로 줄초상이 치러졌다. 시체도 없이 장례를 치르게 된 할머니는 식음을 전폐하였다. ‘어떤 사람은 복도 많아서, 시신을 두고 영장을 하는고?’라는 통곡이 온 집안을 울렸다. 배가 고픈 8살짜리 오라방은 누이를 데리고 이웃집 초상집에 가서 밥을 얻어 먹였다. “일본 강, 돈 하영 벌엉, 우리 성춘이 꽃신 상 오마, 이!”라던 아버지의 약속은 어느 하늘을 맴돌고 있을까.

 

외할머니는 산촌인 도순에서 어촌인 대포로 시집을 오셨다. ‘똘 나민 도새기 잡앙 잔치 허곡, 아덜 나민 조름 팍 찬다(딸 낳으면 돼지 잡아서 잔치 하고, 아들 낳으면 엉덩이 팍 찬다)’는 어촌에서는 물질하는 여자가 최고였다. 하지만 외할머니는 끝내 물질을 배우지 않으셨다.

 

사실, 물질은 아무나 할 수 있는 게 아니다. 아마도 열 사람 중 한 두 명이나 할 수 있지 싶다. 우리가 살던 알동네에서도 바다에 가서 물질하기를 좋아하는 건, 언니와 나, 둘뿐이었다. 초등학교 시절까지는 바다에 가서 곧잘 물장구를 치며 놀던 아이들이, 중학교쯤 올라가면 하나 둘 빠지다가, 가슴이 봉긋하니 처녀티가 나기 시작하면 그만들 두었다. 해녀분들 말씀대로, 물질은 타고나는 게 분명하다.

 

어쨌든 외할머니는 바람이 세게 불어서 파도가 거칠어지면, 혹시나 할아버지 시신, 아니 신발이라도 올라올까 싶어서, 바닷가를 헤매고 다녔다. 아마도 물질을 할 수 있었다면, 할아버지가 사라진 그 지경 일대를 날마다 숨비고 또 숨볐을 것이다. 지금의 주상절리와 가까운 자장코지는, 모래가 많고 바위들이 거칠고 협곡 사이의 물이 깊은 곳이다. 생각만 해도 아찔한 그 험한 바닷속으로 들어갈 수 없었던 것은, 어쩌면 사람이 헤아릴 수 없는 하늘의 은혜인지 모르겠다.

 

그런데, 어머니는 타고난 해녀였다. 대포에서 ‘1등은 못해도 2등은 했다’는 어머니는, 큰갯마을의 제 10대(1971년도) 해녀회장을 하셨다. 최근들어 어머니에게 물어보았다. ‘어떻게 우리 아버지처럼 멋진 총각과 결혼하게 되었냐’고. 어머니는 아버지와 한 집 건너 이웃해서 살았는데, 아버지의 할아버지가 어려서부터 어머니를 눈여겨 보셨단다. 워낙에 부지런한 데다가 물질까지 잘 하는 어머니를, 어쩌면 애저녁에 장손의 신부감으로 점을 찍어놓으셨으리라.

 

사실 어머니는 타고나기를 제주도 여자이기도 하지만, 아버지를 일찍 여의고서 어머니의 한맺힌 설움과 노동을 같이 겪었다. 그러니, 일찍 철이 들어서 조냥하고 부지런하기가 동네에서 소문날 정도였다. 참, 아버지는 할아버지가 둘째 부인을 얻어서 중문으로 가버리는 바람에 할아버지 손에서 자랐다.

 

그렇게 아버지와 결혼해서 2남7녀를 키워낸 어머니는, 사실 물질 덕분에 자식들을 키워낼 수 있었다. 밭농사로 보리, 유채, 고구마에다 아무리 구슬땀을 뿌려대도, 현금은 물질만 못한 게 농사였다. 풍년이 들면 수매가격이 폭락하고, 흉년이 들면 내놓을 곡식이 없었다. 더욱이 아버지가 30대 초반에, 남편에게 버림받은 어머니의 권유로 교회에 나가, 소위 예수쟁이가 될 즈음에는 집안에서 쫓겨났으니.... 그 위기(집도 밭도 없이 남의 집 헛간으로 쫓겨난 상황)를 어떻게 견뎌낼 수 있었으랴.

 

어머니가 목숨 걸고서 바다에 몸을 던지지 않았다면, 아마 동녕바치(거지)가 되었을지 모른다. 아니면 남의 집 일을 거들어주고 밥을 얻어먹는 머슴이 되었거나. 사실, 물질은 자신의 몸과 용기만 있으면 되는 일이었다. 목숨 걸고서 자기 몸을 파도치는 바다로 던진 다음, 숨이 끊어져라 깊이 모를 바닷속으로 숨비질해 들어가면 된다. 그렇게 위험한 만큼 자기자본이 들지 않는 게 물질의 힘이다.

 

겨울이 되면,어머니는 밤이나 새벽에도 바다에 나가서, 소위 ‘밤바르’라는 걸 하셨다. 밤바르는 겨울밤에 썰물이 진 바다로 나가서 소라나 해삼, 문어 등을 잡는 일이다. 낮에는 어른 허리 만큼 물이 깊은 곳이, 밤이면 정강이쯤 썰물이 졌다. 어머니는 온 동네가 고요히 잠든 밤에, 혼자서 횟불을 들고 바다로 나가셨다. 눈이 하얗게 쌓인 겨울밤에는, 천지 사방이 적막하다. 오직 어머니가 눈을 밞는 뽀드득 소리만 울릴 뿐. 이따금 나뭇가지에서 제 무게를 못이겨서 떨어지는 눈덩이가 사뭇 머리카락을 쭈뼛거리게 만들었다. 어머니는 당신의 발자국 소리에도 화들짝 놀라곤 하였다.

 

그렇다고 사방을 쳐다볼 수도 없었다. 하얗게 눈이 쌓인 달 밤엔, 모든 게 낯설고 귀귀해서 으스스하다. 어머니의 그 절박함이 없었다면, 2남 7녀라는 무거운 짐이 없었다면, 아마도 밤바르란 꿈같은 일이었을 것이다. 온 동네 사람들이 고요히 잠든 밤에, 자기 혼자 바다로 나가는 게 얼마나 무서웠을까, 외로웠을까? 이따금 어린 딸을 대동하고 나갈 적엔 얼마나 가슴이 저리고 쓰렸을까.

 

그래서 바다에 대한 감사, ‘바당 어서시민 어떵 살아시코 이?’라는 고백 속에는 아버지에 대한 그리움이 사무치게 담겨 있다. 바다 덕분에 죽을 것 같은 가난을 견뎌냈고, 바다 덕분에 시름도 잊고, 아니 바다 덕분에 가열차게 인생의 파도를 넘어설 수 있었다.

 

어머니는 그렇게 오늘도 섶섬 앞에서 바다를 바라보신다. ‘저 바당 덕분에 열을 낳아서 아홉을 키워냈주. 남들은 열을 낳아서 대여섯을 키우기도 어려워신디...’ 어쩌면 어머니는 ‘그 모든 게 바당에서 먼저 가신 아버지 덕분’이라고 믿는 지 모른다.

 

‘고무신 대신 수호신이 되어 주셨다’고 믿는 어머니 가슴 속에서 언제나 살아계신 아버지. 아버지를 삼켜버린 바다를 미워하기보다, 어머니는 그 아버지가 계신 바다를 사랑하기로 작정하였나 보다. 원망보다 그리움을, 슬픔보다 감사를, 외면하기보다 부둥켜안기를 선택하였던 거다.

 

이제 101세를 사시는 어머니는, 아버지가 사신 인생의 한 바퀴를 돌고 또 돌아서 세 번째 원을 그리며 걸어간다. 이상스레 그 어머니를 모시고 사는 내게도 외할아버지의 삶이 결코 짧거나 서럽지가 않다. 하루 종일 백세 어머니와 씨루면서 살아내는 사이 사이로, 나는 외할아버지 김광용님의 숨결을, 그 지극한 사랑의 여운을 느낀다.

 

아, 어머니의 바다처럼, 이제는 나의 바다를 펼쳐갈 시간이다. 어머니가 품었던 바다, 어머니가 그렸던 아버지, 어머니가 견뎌낸 인생....을. 이제는 기력이 다해서 눈을 뜨기도 힘들어 하시는 어머니. 그래서, 어머니와의 일상을 이렇게 일기로 남겨 놓는다. “어머니, 우습서. 웃어봅서!”라고 소리치면서 사진을 찍고, 또 직으면서. 언젠가 어머니가 천국으로 가시면, 이 글들을 꺼내서 다시 어머니와 함께 살아가고저..... <다음편으로 이어집니다.>

 

 

☞허정옥은?
= 서귀포시 대포동이 고향이다. 대학 진학을 위해 뭍으로 나가 부산대학교 상과대학에서 회계학을 공부하고 경영대학원에서 석사과정을 마친 후 미국 볼티모어시에 있는 University of Baltimore에서 MBA를 취득했다. 주택은행과 동남은행에서 일하면서 부경대학교에서 경영학 박사학위를 이수했고, 서귀포에 탐라대학이 생기면서 귀향, 경영학과에서 마케팅을 가르치면서 서귀포 시민대학장, 평생교육원장, 대학원장을 역임했다. 2006년부터 3년간 제주국제컨벤션센터(ICC JEJU)의 대표이사 사장과 제주컨벤션뷰로(JCVB)의 이사장 직을 수행한데 이어 제주평생교육장학진흥원장을 거쳤다. 현재는 서울과학종합대학원에서 서비스 마케팅과 컨벤션 경영을 가르치고 있다. 한수풀해녀학교와 법환좀녀학교도 다니며 해녀로서의 삶을 꿈꿔보기도 하고 있다.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관련기사

더보기
55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