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18 (화)

  • 구름많음동두천 2.2℃
  • 흐림강릉 1.7℃
  • 구름조금서울 4.2℃
  • 흐림대전 2.7℃
  • 대구 4.0℃
  • 흐림울산 3.9℃
  • 구름많음광주 2.3℃
  • 맑음부산 4.5℃
  • 흐림고창 1.6℃
  • 흐림제주 5.2℃
  • 맑음강화 2.8℃
  • 흐림보은 0.5℃
  • 흐림금산 1.6℃
  • 구름많음강진군 3.1℃
  • 흐림경주시 2.6℃
  • 구름조금거제 4.8℃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도둑 없던 제주, 집주인 출타 알리는 '정낭(錠木)'만 있었다
1980년대 중반 서울에서 대학원에 다니던 시절 일이다. ‘한국 경제사’ 수업 시간에 난데없이 ‘제주도에는 왜 대문이 없는가?’를 두고서 학생들 간에 열띤 논쟁이 벌어졌다. 제주 출신인 나로서야 당연히 “애초부터 거지와 도둑이 없는 믿고 살던 사회여서 굳이 대문을 설치할 필요가 없었다”라고 확신하며 말했다. 그러자 즉각 반론이 제기됐다. 학과 선배 중 한 명이 “그보다 훔치고 갈 물건이 없었던 게 아닌가 싶다, 도둑질만 해서는 굶어 죽기 딱 알맞다. 그래서 대문이 필요 없었다. 심지어 대문을 마련할 형편도 못 됐다”라고 서울 출신 박사과정 선배 형이 매정하게 말했다. 그때 난 '다른 사람도 아니고 평소 친한 저 형이 어찌 저런 말을 할까?'하며 다소 서운한 감정이 들었다. 지금은 고인이 되신 유광호 교수님이 그 상황을 정리해 주지 않으셨다면, 난 제주 섬 놈의 명예와 자존심을 걸고 ‘삼무 정신’ 홍보대사 겸 수호천사 역을 다하기 위해 끝까지 논쟁을 끌고 가려 했을 거다. 다들 알다시피 ‘삼무(三無)’란 도둑·거지·대문 등 제주에 없는 세 가지를 말한다. 삼다(三多, 돌·바람·여자가 많다는 의미)와 함께 삼무는 제주의 또 다른 상징이다. ‘삼무’를 제주 정신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지난 연재물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