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0.02 (월)

  • 맑음동두천 14.7℃
  • 맑음강릉 18.7℃
  • 맑음서울 16.7℃
  • 맑음대전 16.2℃
  • 구름조금대구 15.9℃
  • 흐림울산 17.2℃
  • 구름많음광주 16.3℃
  • 구름많음부산 20.2℃
  • 구름많음고창 15.7℃
  • 구름조금제주 22.8℃
  • 맑음강화 16.2℃
  • 맑음보은 12.7℃
  • 맑음금산 12.7℃
  • 구름많음강진군 17.9℃
  • 구름많음경주시 15.3℃
  • 구름조금거제 19.4℃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늘 잃고 난 뒤 안타까워한다" … 마지막 구덕 장인의 죽음
옛 제주 사람들의 생활필수품 구덕과 차롱. 구덕과 차롱은 대나무를 주재료로 만든 '대그릇'(竹器)으로, 오늘날 바구니 또는 그릇 용도로 쓰였다. 일상생활에서의 다양한 쓰임새로 인해 구덕과 차롱에는 제주인의 삶이 고스란히 녹아들어 있다. 하지만 옛 전통을 잇는 사람들은 세월의 흐름을 이기지 못하고 끝내 사라지고 있다. ◇ 구덕 장인의 삶과 죽음 "부모님을 일찍 여의고 13살부터 먹고 살기 위해 시작한 일이었습니다." 제주의 대표 생활도구인 구덕과 차롱을 만드는 장인(匠人)인 고(故) 김희창(1941∼2021) 선생은 지난 2018년 제주도무형문화재보유자 신청 제출 자료에서 자신의 삶을 이같이 덤덤하게 풀어냈다. 한국전쟁이 거의 끝나갈 무렵인 1953년, 집안 사정이 여의찮았던 그는 중학교 진학을 포기하고 본격적으로 생활전선에 뛰어들 수밖에 없었다. 대나무를 베고 다듬어 구덕과 차롱을 만드는 일이었다. 당시 죽세공 장인은 서귀포 토평에 30여 가구, 호근에는 10여 가구가 있었다. 어깨너머로 배운 기술을 바탕으로 물건을 만들어 팔았다. 그는 "(당시 사람들이 구덕과 차롱을 살) 돈이 없으면 쌀, 고구마(감자), 보리와 바꾸는 물물교환으로라도 우리 가족의 생계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지난 연재물 보기



실시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