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에서 산천의 국세를 갖춘 명당의 요소를 풍수 용어로 사신사(四神砂)라고 한다. 주택이나 마을 더 나아가 도시를 중심으로 전후좌우에서 가깝게 감싸주는 주변의 산이나 지형지물로 인해 혈장 주변의 포국(布局)이 이루진 것을 가리킨다. 풍수적인 용어로 왼쪽에서 감싸거나 호위하는 지형지물이나 산을 청룡(靑龍), 오른쪽에서 감싸거나 호위하는 산이나 지형지물을 백호(白虎), 맞은편으로 마주 보이는 산이나 지형지물을 주작(朱雀) 또는 안산(案山), 뒤편에서 의지하고 있는 산이나 지형지물을 현무(玄武) 또는 후산(後山)이라고 한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왼쪽은 좌청룡, 오른쪽은 우백호, 맞은편 즉 향(向)은 남주작, 뒤쪽의 산을 북현무라고 부르는 이유이다. 결국 이 말은 뒤로는 산이나 언덕을 의지하고 앞으로는 물을 맞이해야 한다는 배산임수(背山臨水)를 이루어야 한다는 의미이고, 좌우로 청룡과 백호, 즉 용호(龍虎)가 기운이 모인 혈장을 감싸안은 형국이 되면 일반적으로 풍수적인 국세(局勢)가 이루어졌다고 하는 것이다. 풍수에서 좌향(坐向)의 개념은 절대방위가 아니라 상대적 방위라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용혈사수(龍穴砂水)의 조건, 즉 산(山)의 총칭인 용(龍), 풍수적 조건에 의해 기운이 요긴하게 모인 곳을 혈(穴), 혈장을 감싸거나 호위하는 주변의 지형지물이나 산을 사(砂), 하천이나 호수 등 물줄기를 가리키는 수(水) 등이 지리의 법에 조화되어 땅 기운, 즉 지기(地氣)가 살아 숨 쉬는 형세를 이룬 것을 의미한다. 용맥은 인체의 혈관과 같고 용은 인체의 수족에 비유된다. 산천의 기운이 잘 응결된 명당의 풍수 국세는 치유를 목적으로 한 힐링 풍수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으며, 풍수적으로 조화를 이룬 자연의 생태환경을 통해 심신을 건강하게 하는 장소로 활용될 때 생소하게 느껴졌던 힐링풍수가 건강과 행복을 위한 심신 치유의 생활 문화로 자리 잡을 수 있다. 풍경이 수려하고 사세(四勢), 즉 청룡, 백호, 주작, 현무 등의 요소를 두루 갖춘 소위 명당이라고 하는 곳은 좋은 기운이 흘러와 모이는 밝고 아늑한 땅을 말한다. 산천을 형세나 모양, 기세 등을 위주로 살피는 형기론 관점에서 볼 때, 에너지의 두텁고 엷은 후박(厚薄), 맑고 탁한 청탁(淸濁), 강하고 약한 강약(强弱), 굳세고 부드러운 강유(剛柔) 등 지형과 지세의 특징에 따라 살 곳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풍수는 산천의 조화로운 환경을 선택하거나 입지(立地)의 허실(虛實)이나 장단점을 보완하여 인간의 삶에 자연의 생명력을 보다 더 나은 조건으로 유도하는 기(氣)의 학문이다. 밝은 기운이 잘 모이는 풍수의 명당은 형국이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기장(氣場)이 최적의 상태이고 거친 바람을 감추거나 막아주어 기운이 흩어지지 않게 하는 장풍(藏風)의 요소와 좋은 기운이 모이게 하는 취기(聚氣)의 실제적인 효능을 갖추고 있다. 풍수적으로 좋은 곳은 외관상 에너지가 미치는 기장이 좋고 산과 물이 수려하고 수목이 울창하다. 양택이나 음택 등 기운이 잘 모이는 명당을 찾아 구산(求山)을 할 때 산 생김새의 외부적 경관을 중요시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참다운 혈(穴)이 있는 곳은 산 생김새가 수려하고 전면이 반드시 열려있다. 사세(四勢)가 반드시 서로 호응하고 바람을 꼭 감추고 온화하며 경관이 훌륭하고 일조량과 온도가 적당한 곳이다. 산 생김새, 즉 본신(本身)은 바로 풍경을 이루는 중요한 성분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풍수와 풍경은 교착과 중첩의 관계로서 다방면의 공통성을 지니고 있다. 풍수의 이상적인 환경은 주로 산과 물의 구성이며, 그중에 물은 생기의 근원이라 할 수 있다. 옛 고서인 『수룡경(水龍經)』에도 “혈은 모름지기 산에 있고, 화복은 물에 있다.”, “산은 아내와 같고, 물은 남편과 같으며, 아내가 남편을 따르는 것이 귀하다.”, “무릇 돌은 산의 뼈대이고, 물은 산의 혈맥이 된다.”라는 구절이 있다. 따라서 풍수 환경이라는 것은 모두 산과 물의 배치 관계에 관한 연구이며, 이를 일정한 풍수 공간의 구조에 조합시킨 것을 말한다. 대개 명당의 위치한 주택은 산세가 수려하고 산과 물이 정겹고 한눈에 보아도 편안한 지세에 자리 잡고 있다. <다음편으로 이어집니다.> ☞ 신영대는? = 대한풍수연구학회 편집위원장, 한국역술인협회 공인 역학연구원이다. 중문학 박사와 풍수학자로서 ‘제주의 오름과 풍수’, ‘명리학원리대전’, ‘풍수지리학 원리’, ‘전원시인 도연명 시선', ‘흰 구름 벗을 삼아 읽어보는 당시선’ 등 다수의 저서를 냈다. '한라산 총서'의 구비전승·지명·풍수 분야와 ‘세계자연유산지구 마을일지 보고서’ 중 풍수 분야 공동 집필자로도 참여한 바 있다. 또 제주도 각 마을 '향토지' 풍수 부문에 공동 집필자로 참여하고 있다. 현재 제주관광대 관광중국어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운남(雲南)의 요안(姚安), 대요(大姚), 경안(景安) 등지에서 유행하는 ‘요안 연화락’은 청나라 함풍, 동치 연간에 사천(四川)의 거지가 전래했다고 한다. 강서(江西) 대부분 지역에서 유행하는 ‘강서 연화락’(일명 ‘타(打)연화’)은 강소(江蘇), 절강(浙江)에서 강서로 가서 구걸하던 거지가 전했다고 한다. 호남(湖南) 각지에서 유행하는 ‘연화뇨(鬧)’는 외성의 거지가 구걸하면서 호남으로 흘러들어가 전파했다고 한다. 호남에서 즉흥적으로 작사하고 편곡하는 구걸 형식과 공연 예술은 악곡(樂曲)체와 시찬(詩贊)체로 나뉜다. 형산(衡山) 일대에서 유행하는 형식은 악곡체로, 연창 때에 말을 위주로 하고 노래가 뒷받침 한다. 말을 하면서 압운하고 판을 치면서 박자를 맞춘다. 노래는 친자(襯字)1)나 어기사(語氣詞)를 덧붙이면서 악기로 반주한다. 시찬체는 장사(長沙) 등지에서 유행하였다. 문장식 구조는 ‘수래보(數來寶)’2)와 같다. 1인이나 2인이 연창하고 대나무판으로 반주를 맞춘다. ‘장사 쾌판(快板)’이라하기도 한다. 검양(黔陽)에서 유행하는 ‘연화뇨’는 악곡체에 속한다. ‘흥륭사(興隆沙)’라 부르기도 한다. 『청패류초·거지류·이아칠창연화락이행걸(李阿七唱蓮花落以行乞)』의 기록이다. “거지가 대나무를 3촌 정도, 2쪽으로 잘라 줄로 그 끝을 묶고서는 손가락으로 비틀어 돌리며 소리를 낸다. 노래로 장단을 맞추는데 가련한 거지 신세를 한탄하거나 송축하기도 기도하기도 하면서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연화락’이라하기도 하고 ‘연화뇨’라고하기도 한다. 읊는 내용이 천박하고 비루하며 허황되고 무람없어 거의 다 귀에 거슬리는 말들이다. 소주(蘇州)에 이아칠이 있는데 유독 노래가 뛰어났다. 시내로 들어갈 때마다 상점 앞에서 노래 부르는데 싫어하는 사람이 없었다. 노래 부르라 초청하는 사람도 있었는데 그러면 당연히 곧바로 영합해 줬다.” ‘연화락’을 하면서 구걸하는 기본 상황과 가지고 다니는 악기 형상은 알 수 있지만 각지에서 어떻게 시작됐는지는 설명해주지 못하고 있다. 북경에는 옛날에도 그런 거지가 있었다. 예를 들어 ‘연귀래이주인(燕歸來簃主人)’이 수집한 『연시부판쇄기(燕市負販鎖記)』의 기록이다. “「연화락」을 부르며 판을 치는 것은 상등 거지다. 황문(黃門), 홍문(紅門)이라는 갖가지 명사를 가지고 있다. 설이나 명절이 올 때마다 각 상점의 문 앞에서 노래한다. 노래가 끝나면 반드시 수백 문을 주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도당을 불러 들여 문 앞을 에워싸 시끄럽게 노래하며 열흘 보름이 되도록 그치지 않는다. 이때 십 조(吊) 팔 조를 줘도 떠나지 않는다. 근래에 경찰청에서 움직이니 그런 악풍은 이제는 형체도 없이 소멸되었다.” ‘연화락’이 각지의 민간 곡예 곡종이 된 후에 민국시기에 이르렀어도 관례대로 구걸하는 방식이 계속됐음을 알 수 있다. 북경과 같은 그러한 큰 도시도 예외는 아니었다. 십불환(十不閑)3)하면서 구걸하는 방식 이런 구걸 방식은 늦어도 청나라 강희 연간(1662 ~ 1722)에 이미 북경 등지의 거리와 골목에 출현하였다. 북경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는 민간 예인 회화 『북경민간생활채도』 제24폭, 「소십불한걸개도(小什不閑乞丐圖)」의 제사(題詞)는 이렇다. “이것은 중국 십불한 거지 그림이다. 분말로 밉상을 만들고 나무 상자에 작은 북, 대문 고리를 담아 치면서 노래한다. 동전을 얻으려는 것일 뿐이다.” 이른바 ‘십불한’은 간편하면서 신기하고 재미있게 만들어, 쉽게 움직이면서 공연해서 손님을 모으고 동냥하는 방법이다. 반주를 맞추며 말하기도 하고 노래하기도 한다. 이성진(李聲振)은 『백희죽지사(百戲竹枝詞)』에서 십불한을 ‘봉양부인의 노래(鳳陽婦人歌)’라고 하였다. 일리 있는 말일 수는 있지만 근거를 제시하지 못했다. 일리 있다는 뜻은 형상, 방식이 ‘봉양(鳳陽)화고(花鼓)’와 유사한 점이 많기 때문이다. 청나라 말기에 ‘십불한’을 ‘태평가사(太平歌詞)’라 하였다. 나중에 ‘십불한’과 ‘연화락’이 융합해 ‘분분연화락(紛扮蓮花落)’이라 불렀다. 그런 ‘분분연화락’은 바로 『북경민간생활채도』 중의 「소십불한」 이다. 또 청나라 무윤불(繆潤紱)의 『심양백영(瀋陽白詠)』 제14수는 이렇다 : “유등과 달이 서로 눈부시게 빛나며 팔관을 비추네. 반룡이 기예가 무르익으니 싸움에 능란하다. 징과 북 치며 야경을 도니 달구지 떠나고 떠들썩한데다 십불한이 더해지네.” 말미에 평어를 썼다. “원소절 전후의 풍속에 따르면 본토박이들은 잡분, 용등, 사자놀이 등 여러 유희로 봄바람을 다툰다. 교묘한 춤과 맑은 노래는 일시에 각각 최고조에 이르렀다. 또 이른바 십불한을 하는 자가 있는데 품격이 하품이다.” ‘십불한 하는 자’를 ‘용등, 사자놀이 등 여러 유희’의 부류라, 본래 ‘속악, 속기’에 속하는 ‘하품’이라고 하였다. 이 말에서 당시 성경(盛京)의 거지들도 예전처럼 ‘함께 모여 떠들썩하게 즐겼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른바 십불한을 하는 자’는 거지 부류에 속한 속기와 민속 오락을 기예로 하는 사람이다. <다음편으로 이어집니다.> 1) 친자(襯字), 운율(韻律)상 규정된 자수(字數) 이외에 가사(歌詞) 또는 가창(歌唱)의 필요에 의해서 덧붙이는 글자다. 예를 들면, 백모녀(白毛女)의 ‘북풍이 불어와 눈꽃이 휘날리네.’ 뜻인 ‘北風(那个)吹, 雪花(那个)飄’에서 ‘나개(那个)’가 바로 ‘친자(襯字)’에 해당한다. 2) 수래보(數來寶), 혹은 수백람(數白欖), 중국 특유의 곡예(曲藝)다. 예술표현 형식의 일종이다. 일반적으로 혼자서 하거나 둘이서 함께 하기도 한다. 진행의 방식은 ‘낭독’ 방식이다. 낭독하는 내용은 일이 생기기 전에 준비해야 할 것이나 현장에서 순간순간 반응하는 두 가지가 있다. 공연하는 사람은 매구마다 통하는 숫자, 박자, 유머를 적절히 섞는다. 듣기 쉽고 이해하기 쉬운 문장으로 청중을 즐겁게 하는 목적을 가지고 공연한다. 간단히 말해 장타령으로, 두 개의 골판이나 참대쪽에다 방울을 달고 그것을 치면서 하는 타령이라 이해하면 쉽다. 3) 십불한(十不閑, 혹은 什不閑(儿)), 잡기(雜技)의 일종이다. ‘연화락(蓮花落)’에서 발전해 이루어진 것으로 징·북·심벌즈 따위를 한 사람이 반주하면서 노래하는, 설창(說唱)의 한 가지다. ☞이권홍은? =제주 출생. 한양대학교 중어중문학과 학사, 대만 정치대학교 중문학과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중국현대문학 전공자로 『선총원(沈從文) 연구』와 『자연의 아들(선총원 자서전)』, 『재미있는 한자풀이』, 『수달피 모자를 쓴 친구(선총원 단편선집)』, 『음식에 담겨있는 한중교류사』, 『십삼 왕조의 고도 낙양 고성 순례』, 『발자취-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찾아가는 여정』 등 다수의 저서·논문을 냈다. 현재 제주국제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곡조에 맞춰 대나무판, 목판, 소 갑골(胛骨)과 같은 종류를 손에 들고 다니기도 했다. 타악기나 간단한 악기 종류로 반주하면서 입으로는 상응하는 가요, 곡사를 음송하거나 연창하면서 구걸하였다. 흔히 보이는 여러 형식은 다음과 같다. 대나무판(竹板)을 치면서 구걸하는 방식이다. ‘고답판(呱嗒板儿, 박판)1)을 연주하는 거지’다. 현재에도 자주 보이는 구걸 방식이다. 대나무판을 치면서 구걸하는 방식이 언제 어디에서 시작됐는지 고증하기는 쉽지 않다. 복건성 서쪽 객가인(客家人)이 거주하는 지역에서 유행하였고 200년의 역사를 간직하고 있다고 전한다. 대나무판은 길이 18센티미터, 넓이 3센티미터 정도, 두께 0.5센티미터, 서넛 조각을 줄로 연결시켜서 만든다. 양손에 들고 다니고 오른 손에는 두 조각을 잡는다. 상반부는 톱니 형태다. 타법은 단타법, 잇달아 끊이지 않게 치는 법, 톱을 켜듯 긁어 소리 내는 법 등이 있다. 한 손에 대나무판 두 쌍을 함께 잡고 다른 손에는 여러 대나무판을 엮어 만든 ‘쇄취자(碎嘴子)’를 잡고, 손가락 사이에 이빨 형태의 대나무막대를 끼워서 연주하기도 한다. 각 지역마다 유행하는 형태와 연주법이 각각 다르다. 연주하면서 말하기도 하고 노래하기도 한다. 창사는 7언 5구나 7언 4구가 주를 이룬다. 객가(客家) 지역은 5구가 주를 이루어서 ‘오구판’ 혹은 ‘오구락판(五句落板)’이라 부르기도 한다. 거지들이 구걸하려고 기예를 파는 방식이기에 ‘걸식가(乞食歌)’, ‘고화가(告化歌)’, ‘강호조(江湖調)’라 불리기도 한다. 나중에는 민간 곡예의 곡종(曲種)으로 발전하였다. 물론 아직도 길거리에서 연주하면서 구걸하고 시장에서 기예를 팔아 음식과 바꾸는 거지의 생계유지 수단임은 분명하다. 하북과 산동 일대에서 유행하는 ‘염산(鹽山) 죽판서(書)’, ‘임구(任丘) 죽판서’ 등 곡예의 곡(曲)도 원래 거지들이 하던 ‘창가(唱街)’, ‘흘가(吃街)’나 혼례를 거행할 때 부르는 ‘희가(喜歌)’의 구걸 방식에서 나와서 나중에 점차 민간 곡예 예술품으로 변화된 것이다. 청나라 동치, 광서 연간에 북경에서 유명한 민간 설창 예인인 주소문(朱少文)이 북경 천교 등에서 노점을 차릴 때마다 대나무판을 두드리며 말하기도 하고 노래하기도 하는 형식을 채용하였다. 그가 사용하는 대나무판 한쪽에는, “하루에 천이나 되는 집의 밥을 먹고 밤에는 옛날 사당에서 잠을 자네.” 다른 한쪽에는, “법을 범하지 않으니 무슨 군왕을 만날까 걱정하랴.” 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었다. 이런 ‘궁불파(窮不怕)’(궁핍해도 두렵지 않다)라는 예명의 설창 예인도 기예를 팔면서 구걸하는 거지와 다름없었다. 거지나 예인이나 원래 그게 그거였다. 사실 예인(藝人)이란 현재에도 여러 가지 기예를 닦아 남에게 보이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으로 배우, 만담가, 곡마사와 같은 사람을 이른다고 하지 않는가. 연화락(蓮花落)을 연주하면서 구걸하는 방식 거지가 ‘연화락(蓮花落)’을 연주하면서 구걸하는 방식은 송나라 때에 이미 출현하였다. ‘연화락’의 원래 한자는 ‘연화락(蓮花樂)’이다. ‘락(落)’은 ‘락(樂)’의 전음이다. 불교 어록 『속전등록(續傳燈錄)』 제23 「유도파(兪道婆)」의 기록이다. “하루는 거지가 「연화락(樂)」을 읊는 소리를 들었다. ‘유의(柳毅)가 편지를 전하지 않았는데 무슨 까닭에 동정호에 왔는가.’ 갑자기 대오하였다.” 송나라 때 승려 효영(曉瑩)의 『나호야록(羅湖野錄)』 권2의 기록이다. “금릉에 유도파가 있다. ……하루는 거지가 「연화락(樂)」을 시장에서 읊었다. ……갑자기 깨달아 자기도 모르게 크게 웃었다.” 두 가지 기록 모두 ‘연화락(蓮花樂)’이었음을 증명하고 있다. 나중에는 ‘연화락(落)’으로 기록된다. 예를 들어 『고금잡극(古今雜劇)』에 기록된 원나라 때 장국빈(張國賓)의 「합한삼(合汗衫)」극 제1절이다. “이 높은 저택은 분명 착한 사람의 집일 터이니. 달리 방도가 없으니, 내가 「연화락(落)」을 불러 먹을 밥을 구걸하여야겠다.” 진간부(秦簡夫)의 「동당로(東堂老)가 파산한 자제에게 권하다」 극 제1절의 기록이다. “너 젊어서 북채를 휘두르지 말고 「연화락」 연구하는 걸 배우라.” 정정옥(鄭廷玉) 『포대화상인자기(布袋和尙忍字記)』의 설자 기록이다. “대부호가 아닌가? 내가 먹을 차나 밥이 있는지 물어보리라. …… 「연화락」을 불렀노라. 1년 봄이 다 지나니 1년 봄이 오도다.” 지금은 모두 ‘연화락(落)’이라 한다. 그런데 어떻게 쓰든 간에 ‘연화락’이라는 말은 쓰기 시작할 때부터 예외 없이 생계를 유지하려고 구걸하는 수단이었다. 거지가 곳곳으로 돌아다니기에 유동성이 강하다. ‘연화락’도 통속적이었다. 쉽게 공연할 수 있고 사람들이 쉽게 받아들일 수 있는, 말하기도 하고 노래하기도 하는 설창 예술 형식이어서 광범위하게 유행하였다. 이제는 ‘연화락’이 최초에 어느 지역에서 발생했는지 쉽게 이야기하지 못하는 지경이 되었다. <다음편으로 이어집니다.> 1) 고답판(呱嗒板儿), 박판으로 중국 전통극인 쾌판을 할 때 리듬을 맞추는 악기로, 대나무 조각 두 개를 끈으로 묶어져 있는 형태다. ☞이권홍은? =제주 출생. 한양대학교 중어중문학과 학사, 대만 정치대학교 중문학과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중국현대문학 전공자로 『선총원(沈從文) 연구』와 『자연의 아들(선총원 자서전)』, 『재미있는 한자풀이』, 『수달피 모자를 쓴 친구(선총원 단편선집)』, 『음식에 담겨있는 한중교류사』, 『십삼 왕조의 고도 낙양 고성 순례』, 『발자취-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찾아가는 여정』 등 다수의 저서·논문을 냈다. 현재 제주국제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의례에는 삶과 죽음이라는 갈림길에서 개인 중심으로 펼쳐지는 통과의례와 사회적 통합의 이데올로기를 작동시키는 사회적 의례인 세시 의례가 있다. 이 통과의례와 세시 의례 모두가 사회적 통합을 위한 하나의 이데올로기 국가 장치로서 임무를 수행한다. 의례를 사회의 모든 영역으로 확대해보면 무수한 제도 속에는 의례가 변형됐거나 의례의 본질을 내포하고 있는 의례적 요소들이 산재해 있다. 예를 들면 제사, 기념식, 졸업식, 마라톤 대회, 스포츠 대회, 기획된 축제, 열병식 등이 있다. 전통사회의 윤리나 가치들이 자본주의적으로 변형되는 것은 당연하지만, 그래도 근본적으로 의례의 기능은 소멸하지 않는다. 오늘날 성인식과 다를 바 없는 과거의 관례(冠禮)나 계례(髻禮) 형식은 주민등록증으로 대체되었지만, 여전히 통과 의례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성인식과 같이 주민등록증을 받는 순간 미성년자가 아니라는 것, 그 즉시 사회적인 효력(법적 효력)을 가질 수 있고 미성년자 금지구역을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다는 것은 통과의례가 제도화된 것일 뿐이다. 예전에는 개인의 생일 즉 왕이나, 대비, 왕세자의 생일(탄신)들은 국가의 대사(大事)로 생각하여, 이를 기념하기 위해서 과거를 치르거나 죄인을 사면해 주기도 하고, 공로자를 포상하는 등 국가 차원의 기념행사를 치렀다. 이러한 예는 오늘날에도(대통령 생일은 국가 의례에서 생략) 다른 형태로(광복절, 현충일) 여전히 존재한다. 반대로 오늘날은 민주주의라는 진보적 이념 때문에 개인의 가치가 존중되고 있는데 특히 개인의 생일은 작은 의례들의 현재 스타일로 변형된 의례이다. 통과의례의 한 형식인 생일축하식은 과거처럼 크게 의례에 규정을 받지는 않지만, 대체로 그 유형이 규정돼 있다. 친구들을 만나 생맥주를 마시고, 케이크를 자르며, 영화를 보러 가는 식의 경우를 생각해 보면, 어떤 형태로든지 기념해야 될 것과 기념하는 방식의 차이는 있어도 의례의 본질이라고 할 수 있는 ‘기념성’이라는 것은 사라지지 않았다. 또 전통시대의 학교인 향교의 기능은 의례의 기능을 설명하는데 매우 적절하다. 향교는 유교의 학문을 전파하는 이데올로기 국가기구로서 그곳에서 행해지는 의례는 유교의 사상을 실천하고 증명하고 세습하게 만드는 현장인 셈이다. 그러기 때문에 의례공간에 모셔진 훌륭한 조상들과 그것을 기리는 후손들은 제례를 통해 정신적으로 교감하며, 이 법통은 지역 공동체 사회의 입지를 구현할 수 있는 토대를 생산하는 혈연 이데올로기로 기능한다. 나아가 향교가 이념화화고 전파시키는 지배체제의 관념은 가문과 혈통의 이데올로기를 통합하는 가묘와 묘지라는 의례공간에까지 영향을 미치며, 향교가 구축하는 이데올로기 국가장치의 역할을 포기하지 않는 한 향교의 의례공간은 ‘정치적 장식’이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다음편으로 이어집니다.> ☞김유정은? = 최남단 제주 모슬포 출생이다. 제주대 미술교육과를 나와 부산대에서 예술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미술평론가(한국미술평론가협회), 제주문화연구소장으로 일하고 있다. 저서로는 『제주의 무신도(2000)』, 『아름다운 제주 석상 동자석(2003)』, 『제주의 무덤(2007)』, 『제주 풍토와 무덤』, 『제주의 돌문화(2012)』, 『제주의 산담(2015)』, 『제주 돌담(2015)』. 『제주도 해양문화읽기(2017)』, 『제주도 동자석 연구(2020)』, 『제주도 산담연구(2021)』, 『제주도 풍토와 문화(2022)』, 『제주 돌담의 구조와 형태·미학(2022)』 등이 있다.
남송 때 임안(臨安, 현 항주)의 와사(瓦舍) 구란(句欄) 중의 기악(妓樂)은 노래를 팔며 구걸하는 거지가 전업화된 형태에 속한다. 송나라 때 오자목(吳自牧)의 『몽양록(夢粱錄)』 19권 『와사(瓦舍)』의 기록이다. “와사(瓦舍)라는 것은, 올 때는 깨진 기와를 서로 맞추는 것처럼 몰려오고 떠날 때는 기와 무너지듯 사라진다는 의미다. 쉽게 모이고 쉽게 흩어진다. 언제 시작됐는지는 모른다. 요즈음 경사는 사대부와 서민이 걷잡을 수 없이 방탕하게 노는 곳이 되었고, 자제들이 유락에 빠져 자신을 무너뜨리는 장소가 되었다. 항주와 소흥 사이에 제왕이 나들이 도중에 잠시 머무르는 곳이 있다. 전암양(殿岩楊)과 왕인(王因)의 군사 대부분은 서북사람이다. 성 내외에 왕사를 창립해 기악을 모으고 군졸에게 휴가 때 즐기는 장소로 제공하였다. 이후 명문자제 귀공자들이 그곳에서 방탕하게 놀면서 자신을 파괴하니 변도(汴都)보다도 심하다. 항주의 와사는 성 내외에 17곳에 이른다.” 같은 책 20권 『기악(妓樂)』의 기록은 이렇다. “시가에 음악가 서너너덧 명이 팀을 이루어, 여자아이 한두 명을 들어 올려 춤추고 사(詞)를 노래하면서, 길거리를 따라 재주 부리며 장사한다. 설날에 등불을 밝히고, 봄 석 달 동안은 회관에서 즐기며 구경한다. 호수를 거닐며 조수를 구경할 때 주루나 유흥가, 기녀 집에서 응대하지만 받는 돈은 많지 않다. 이를 황고판(荒鼓板)이라 한다.” 모두 노래를 팔며 구걸하는 부류에 속한다. 일반적으로 길거리나 객점에서 노래를 파는 것과 비교하면 내용이나 방식이 복잡하고 복장 등이 화려했다. 여색을 팔기도 하였다. 기록에 따르면 노래를 팔며 구걸하다가 부자가 된 경우도 있었다. 청나라 말기에 오회(吳會)가 고향인 거지가 있었다. 육칠 세에 부친을 잃고 모친을 따라 바느질하며 살아갔으나, 생계를 유지하기 힘들어 오래지 않아 거지가 되었다. 사람이 총명하여, 은은하며 구성진 자신의 목소리로 노래를 부르며 구걸하였다. 이후 세월이 쌓이니 점차 부유해지기 시작했다. 거상보다도 많은 돈을 모을 수 있었다. 성인이 된 후 부친의 유업을 이어받아 신발가게를 차렸다. 청나라 말기 민국 초기에, 노래를 팔면서 구걸하는 거지가 비교적 많았다. 길거리와 골목을 돌아다니며 노래하면서 구걸하였다. 심지어 저택에 불려가 노래하기도 했다. 당시 유행하던 은어 중에 몇 가지를 보면 전체 흐름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렇다 : 민가를 부르면서 구걸하는 것을 소리(響子)를 부르다 ; 소라를 울림, 징을 소리판 ; 점포를 높은 가게 ; 주인을 점포 두목 ; 구걸하는 것을 기와처마에 가까이 가다 ; 노래 부르는 소곡을 편자(片子) ; 향촌을 개 소굴 ; 주택을 가마 구멍 ; 호화주택을 높은 개 소굴 등등으로 불렀다. 이런 은어 코드로 구성된 언어의 뜻을 보면 노래를 팔며 구걸하는 거지들의 처지와 심리, 감정을 쉬이 감득할 수 있다. 옛날 북경 거리에는 남녀 맹인이 맹인용 지팡이를 짚고 악기를 가지고 연주하면서 구걸하였다. 북을 치며 구걸하는 걸인도 있었다. 모두 노래를 팔며 구걸하는 부류다. 어떤 사람들은 피서 하거나 대소사가 생겼을 때 맹인 예인을 불러 공연하였다. 노래 한 단락마다 2,3각, 혹은 몇 시간에 얼마를 주는 포천(包天)으로 계산해 줬다. 노래하는 소곡은 북경의 일이 대부분이었다. 예를 들면, 『탐청수하(探淸水河)』, 『왕우전(王友全)을 총살하다』 등, 『고금기관』 중 한 단락, 즉 『두십낭(杜十娘)이 격노해 백보상을 물에 가라앉히다』, 『교(喬)태수가 제멋대로 남녀 혼사를 맺어주다』, 『김옥노(金玉奴)가 박정한 남편을 때리다』 등이다. 서하대고(西河大鼓, 서하 지역의 곡(曲)으로 큰 북을 치면서 노래하는 민간 예술의 하나), 낙정대고(樂亭大鼓, 북방 지역의 곡(曲)으로 북을 치면서 노래하는 민간 예술의 하나), 매화대고(梅花大鼓)1), 고음연탄(五音聯彈, 4명의 악사들이 나와 서로의 손을 교차해 옆 사람의 악기를 켜면서 5개의 현악기를 연주) 등으로 생동하며 다채롭다. 살 길을 찾아 걸식하는 것이 목적이기에 노래를 팔면서 구걸할 때에는 때때로 노래에 국한되지만은 않는다. 사람들이 좋아하는 희곡 곡예까지 겸하기도 하였다. <다음편으로 이어집니다.> 1) 매화대고(梅花大鼓), 곡예(曲藝, 중국 설창 문예)의 하나로, 한 사람이 박자판을 치며 노래하고 두세 사람이 반주를 넣는다. 악기에는 ‘삼현(三弦)’, ‘비파(琵琶)’, ‘사호(四胡)’ 등이 있다. 노래 가사는 보통 일곱 자구와 열 자구로 되어 있다. 청(淸)나라 말기에 북경에서 생겨나 화북 일대에서 유행하였다. ☞이권홍은? =제주 출생. 한양대학교 중어중문학과 학사, 대만 정치대학교 중문학과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중국현대문학 전공자로 『선총원(沈從文) 연구』와 『자연의 아들(선총원 자서전)』, 『재미있는 한자풀이』, 『수달피 모자를 쓴 친구(선총원 단편선집)』, 『음식에 담겨있는 한중교류사』, 『십삼 왕조의 고도 낙양 고성 순례』, 『발자취-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찾아가는 여정』 등 다수의 저서·논문을 냈다. 현재 제주국제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땅에는 기운이 잘 모이는 땅과 기운이 잘 모이지 않는 땅이 있다. 명당은 용맥(龍脈), 즉 산줄기를 타고 흐르는 지맥이 이어져 생명력이 가득한 산천의 기운이 모인 곳으로 이러한 자리는 건강과 복을 얻을 수 있다. 명당의 입지와 환경은 지세가 포근하고 물이 잘 감싸 흐르는 양지가 바르고 사람이 살기에 아늑한 장소를 말하는 것이다. 풍수에서 용(龍)이라고 하는 것은 산의 능선이 상하로 높고 낮게 기복을 이루고 좌우로 구불구불하게 흘러 내려온 모습이 마치 꿈틀거리는 용의 모습과 같음을 의미하는 것인데, 그 변화무쌍한 형세로 이어진 산맥이 마치 풍운 조화를 일으키는 용의 모습에 비교한 것이다. 지맥(地脈), 즉 용맥이란 풍수지리에서 땅속에 있는 산천의 정기가 순환하는 토맥(土脈)을 말하며 지리적으로 말해 땅속 지층이 이어진 기맥(氣脈)을 가리키며 인체의 기혈(氣血)에 비교된다. 맥(脈)이란 본래 시각적으로 보이는 일반적인 산줄기를 말하는 것이 아니고 용맥을 타고 땅속으로 흘러 통하는 기(氣)의 통로를 말한다. 산세를 타고 온 지맥을 기운이 흐르지 않거나 약한 사맥(死脈)과 기운이 잘 흐르고 생동하는 생맥(生脈)으로 구분하는데, 생기를 타는 용맥 중에서 기운이 가장 집중되어 모이는 곳을 풍수지리에서는 혈(穴)이라고 하는 것이다. 풍수에서 보통 지세에 따라 음양의 생기가 유동하는 것이 마치 인체의 맥락에서 기혈이 흐르는 것과 같으므로 생기의 운행이란 측면에서 ‘맥’이라고 한 것이다. 사람의 인상을 관찰하는 것이 관상이라면 풍수지리는 땅을 살피고 음양의 허실을 관찰하는 지리 분야이므로 땅의 관상, 즉 상지술(相地術)이라고도 부른다. 혈(穴)이 맑으면 귀한 인품이 나고 혈이 흐리면 천한 인품이 난다고 여겼으며 지맥을 받아 기운이 모이고 산세가 맑고 아늑한 곳을 일명 명당(明堂)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룡, 백호, 주작, 현무가 잘 이루어지고 물길이 잘 감싸고 도는 포근하고 아늑한 지세의 적당한 곳을 말하는 것이다. 명당을 이루는 지맥의 흐름도는 다음과 같다. 집의 뒤쪽을 받치고 있는 주산(主山)이 어머니의 품처럼 포근하고 수려하며 단정한 곳이며 주위 사방에서 호위하는 산들이 있고 산맥이 평지 쪽으로 유유히 뻗어 내리흐르는 물가에서 그쳐 평평한 들판에 집터가 이루어진 곳을 말한다. 가장 좋은 곳은 일조량이 적당하고 통풍이 잘되며 적당한 거리를 두고 전후좌우로 동산이나 산이 감싸주는 포근하고 아늑한 곳이 이상적인 명당이라 말할 수 있다. ☞ 명당은 심신을 건강하게 하는 치유의 장소이다! 예로부터 배산임수(背山臨水), 즉 뒤로 산을 의지하고 앞으로 물을 맞이하면 건강장수(健康長壽)하고, 전저후고(前低後高), 즉 앞이 낮은 듯하고 뒤가 높으면 세출영웅(世出英雄)하고, 전착후관(前窄後寬), 즉 앞이 좁은 듯하고 뒤가 넓으면 부귀여산(富貴如山)이라고 했다. 밝은 기운이 모이는 명당은 혈(穴)과 사(砂)가 합한 곳으로써, 양택이든 음택이든 산천의 기운이 흩어지지 않고 한 곳으로 조화롭게 모인 취합국세(聚合局勢)를 이룬 것을 말한다. 산천의 기운이 잘 모이는 장소들을 활용하여 관광과 연계한 명당의 기운 받기라는 치유코스를 개발하여 지역의 발전을 도모함과 동시에 많은 사람들이 찾아오는 활기찬 마을로 만들어갈 수도 있다. 전통적인 풍수 이론에서는 바람을 음기(陰氣), 물은 양기(陽氣)로 여겼으며, 이 두 가지는 모두 기(氣)가 돌아다니는 물질이다. 기(氣)의 양(陽)이라는 것은 바람으로 유행하는 것이고, 기(氣)의 음(陰)이라는 것은 물로부터 움직이는 것이다. 따라서 이 ‘기(氣)’는 특유의 겸성(兼性)을 가지고 있는데 즉 바람을 타면 흩어지고 물의 경계를 만나면 그친다. 사람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바로 이 기(氣)가 모이면 살고 기(氣)가 흩어지면 죽는다. 이 때문에 “바람을 감추고 물을 얻는다. (藏風得水)”는 곧 풍수학설(風水學說)에서 말하는 ‘취기(聚氣)’의 근본이다. 이 가운데서 알 수 있는 것은 《역경》과 풍수학은 실제로 원(源)과 류(流)의 관계이다. 즉 근원과 파생의 관계이다. 한의학의 근본은 역시 음양오행의 이론을 바탕으로 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음양오행의 전체적인 기틀과 이론 위에서 건립된 것이다. 변별로써 인체의 음양가 허실(虛實), 표리(表裏), 한열(寒熱) 등을 주요 임무이며 따라서 인체 내부와 사람과 환경의 협조 관계이다. <다음편으로 이어집니다.> ☞ 신영대는? = 대한풍수연구학회 편집위원장, 한국역술인협회 공인 역학연구원이다. 중문학 박사와 풍수학자로서 ‘제주의 오름과 풍수’, ‘명리학원리대전’, ‘풍수지리학 원리’, ‘전원시인 도연명 시선', ‘흰 구름 벗을 삼아 읽어보는 당시선’ 등 다수의 저서를 냈다. '한라산 총서'의 구비전승·지명·풍수 분야와 ‘세계자연유산지구 마을일지 보고서’ 중 풍수 분야 공동 집필자로도 참여한 바 있다. 또 제주도 각 마을 '향토지' 풍수 부문에 공동 집필자로 참여하고 있다. 현재 제주관광대 관광중국어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이른바 ‘매예형(賣藝型)’ 거지는 본인의 특기나 능력으로 할 수 있는 기예를 자본으로 삼아, 관중을 불러 모으고 환심을 사면서 동냥하는 거지를 가리킨다. 옛날에 길거리에서 잡기, 무술, 곡예 따위의 기예를 팔아 생활하는 거지를 말한다. 강호에 나아가 기예를 파는 자의 개인 출신 성분, 사회배경, 처지 모두 대단히 복잡했다. 그중 거지는 항방(行幇)인 개방(丐幇)의 일원이 됐거나 흑사회(黑社會)에서 활약하기도 하여, 좋은 사람과 악한 사람이 섞여 있었다. ‘원시형’ 방식으로 구걸하며 살아가는 사람들도 훔칠 수 있으면 훔치고 사기 칠 수 있는 기회가 생기면 사기를 쳐서, ‘순수견양(順手牽羊)’1) 식에 버릇이 들었거나 다른 법도에 벗어난 수단을 쓰는 습관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매예형’ 거지는 사람을 모으는 방식과 동냥하는 방식이 천태만상이었다. 별의 별 것이 다 있었다. 그것들을 한꺼번에 모으면 ‘강호 예술단’이라고 부를 만했다. 퉁소를 불며 걸식하는 방법이 있었다. 가장 유명한 것은 춘추시대에 ‘오자서(伍子胥)가 퉁소를 불며 구걸해 시정에서 밥을 빌어먹었다.’ 그래서 많은 거지들이 자기 직업의 조사(祖師)로 오자서를 모시어 공양했다. 현대에도 퉁소를 불며 구걸하는 거지들이 있다. 맹인이 대부분이다. 길거리나 시장 바닥에서 애절하면서도 원망하는 듯, 완곡하면서도 구성진 악곡을 불면서 구걸한다. 당나라 때에 서양에서 하모니카가 전래되어 하모니카를 불면서 구걸하는 거지도 생겨났다. 역시 맹인이 다수를 차지한다. 중국 내지와 홍콩에서 모두 볼 수 있다. 오자서가 퉁소를 불면서 구걸한 때부터 당대에 하모니카를 불면서 구걸하는 방식까지, 구걸 방식의 변화와 교체를 반영하고 있다. 하모니카가 유행하자 사람들이 즐거이 받아들였다. 오래되고 예스러운 퉁소는 거지 손에서도 시대에 맞춰 자리를 양보하게 되었다. 그렇지만 오랜 역사 속에서 ‘길거리에서 퉁소를 불다’는 말은 구걸한다는 대명사가 되었다. 노래를 부르며 구걸하는 방식 강호에서는 ‘매춘(賣春)’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역사가 유구하고 예나 지금이나 자주 보이는 구걸 방식이다. 가장 이른 시기는 전국시대에서 진(秦)나라 때까지 올라간다고 전한다. 노래를 아주 잘 부르는 한아(韓娥)라는 여인이 있었다. 노래를 팔며 구걸해 오늘날까지 ‘요량삼일(繞梁三日)’2)이라는 성어를 남겼다. 이야기는 『열자(列子)·탕문(湯問)』에 자세히 보인다. 한아가 먹을 쌀이 다 떨어지자 옹문(雍門)에서 노래하며 걸식하였다. 그녀가 지나간 지역에는 3일 후에도 여음이 남아 사람들이 그녀가 아직 주변에 머물고 있다고 여길 정도였다. 어느 날, 객점에 갔는데 객점에 있던 사람이 모욕을 주자 그녀는 소리 높여 구슬프게 울었다. 부근의 남녀노소가 그 울음소리를 따라 애처롭게 울면서 3일 동안 밥조차 먹지 못했다. 그런 지경이 되자 한아를 쫓아가 다시 노래를 불러달라고 간청하니, 노래를 불렀다. 사람들이 기쁨을 억누르지 못하여 함께 노래하면서 슬픔을 잊었다. 현지인들이 한아에게 후하게 보답하였다. 이후에 옹문 지역 사람 대부분이 노래를 잘하고 곡도 잘 지었는데 모두 한아의 여음이라 전한다. 이 이야기를 통해 노래를 팔며 구걸하는 거지는 오래전부터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길거리에서 노래하며 구걸하였을 뿐 아니라 객점에 들어가 여행객에게 노래를 들려주며 구걸했음도 알 수 있다. 후세에 창기로 생계를 유지하는 가녀(歌女)나, 소녀와 함께 다니며 주점이나 찻집에서 연주하며 구걸하는 맹인 예인이나, 객점에서 여행객에서 노래하며 입에 풀칠하는 사람들 모두 한아를 조사로 섬겼다. 노래와 함께 자태나 몸까지 파는 사람은 한아의 운명보다도 더 비참해졌으니. 구걸하며 다니는 거지 부류에서 노래를 팔며 구걸하는 거지는 일찍부터 존재했던 유형이다. <다음편으로 이어집니다.> ☞이권홍은? =제주 출생. 한양대학교 중어중문학과 학사, 대만 정치대학교 중문학과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중국현대문학 전공자로 『선총원(沈從文) 연구』와 『자연의 아들(선총원 자서전)』, 『재미있는 한자풀이』, 『수달피 모자를 쓴 친구(선총원 단편선집)』, 『음식에 담겨있는 한중교류사』, 『십삼 왕조의 고도 낙양 고성 순례』, 『발자취-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찾아가는 여정』 등 다수의 저서·논문을 냈다. 현재 제주국제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남관을 지나는데 포리가 의심쩍어 수레에 실은 것이 무엇이냐고 물었다. 장소삼은 아무 것도 아니라는 듯 대답하였다. “산돼지입죠. 싣고 가서 먹으려고 합니다요.” 포리가 더 의심이 들어 농담 던지듯이 물었다. “고기를 나눠 줄 수 있소?” 장소삼이 거절하자 포리가 거적자리를 들췄다. 사람 시신이 아닌가. 곧바로 장소삼을 관서로 끌고 가 심문하였다. 결국 감옥에서 병들어 죽었다. 사람이 사람을 잡아먹은 참극이다. 장소삼은 인성을 잃어버리고 음식에 대한 변태심리를 가진 식인광이 되어버렸다. 비단 거지를 사서 잡아먹었을 뿐 아니라 자기 생부조차도 잡아먹으려 했으니. 팔려가 잡혀 먹힌 거지, 운명이 어떤 지경까지 비천하게 전락했는지 똑똑히 알 수 있지 않은가. 변태심리와 유사한 것이 또 있다. 기와 조각을 먹거나 돌을 먹는 사람도 있었다. 청나라 때에 사람이 건네준 기와 조각을 받아들고 입에 넣어 얼음조각을 씹어 먹듯이 잘근잘근 씹어 삼키는 것을 본 사람이 있었다. 명나라 때에 광주(廣州)에서 20여 살 정도 되는, 배가 조롱박처럼 볼록한 거지가 기와 조각과 자기 조각을 사 모았다. 호사가가 돈을 주면서, 기와 조각을 주워 건네며 먹어보라고 하면 주저하지 않고 손에 받아들었다. 입 속에 넣고 연뿌리를 씹듯 감저를 씹듯 맛있게 먹었다. 사기 조각을 먹게 하려면 많은 돈을 줘야 먹었다. 먹은 후에는 눈을 크게 뜨고 목을 길게 내밀면서 삼키기 힘들어 죽겠다는 모양을 하기도 했다. 어떤 특별한 병태심리가 아니라면 어찌 사기 조각을 삼킬 수 있겠는가. 원시형 거지의 비참한 운명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원시형의 거지는 어리석을 정도로 온순했기에 법도에서 벗어난 호가사들에게 비인간적인 모욕을 당했다. 거지들은 그저 자기 운명이 나쁘다는 것을 달게 받아들였다. 모든 것을 운명으로 넘겨버렸다. 그런데 어찌 할 것인가? 목숨은 붙어있기에 자기 몸을 손상시키면서까지 한 세상을 살아가려고 몸부림쳤다. 청나라 때에 이 씨 성을 가진, 언 듯 보기에 50여 세로 보이는 거지 이야기가 전해온다. 장강과 한수를 30년 동안 넘나들었다. 그는 아무 것도 없이 오로지 밥 빌어먹는 바가지 하나만 들고 다니면서 소고기와 돼지고기 등을 구걸하여 먹었다. 쥐를 잡아 생채로 먹기도 했다. 남으면 낡은 저고리 속에 넣어두었는데 무더운 여름에도 변질되지 않았다. 사람들이 말을 걸어도 그는 대답하지 않았다. 종이와 붓을 주면 무엇인가를 써 갈겼는데 부적처럼 보였지만 뜻은 알 수 없었다. 어떤 관리가 사람을 보내어 데리고 가서 억지로 한직에 앉혔지만 며칠 지나지도 않아서 작별을 고했다. 떠날 때에 관리가 가벼운 갈화 신발을 선물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신발이 다 닳자 풍설 속에서도 태연히 맨발로 구걸하며 다녔다. 현실 생활 중 일반적인 원시형 거지가 관리에게 예우를 받는 경우는 새벽의 별같이 대단히 드물었다. 대부분은 운명이 주어진 대로 받아들이며 살았다. 서글프고 초라하게 배고픔과 추위를 묵묵히 견뎌내다가 어느 순간이 오면 먼지처럼 사라졌다. <다음편으로 이어집니다.> ☞이권홍은? =제주 출생. 한양대학교 중어중문학과 학사, 대만 정치대학교 중문학과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중국현대문학 전공자로 『선총원(沈從文) 연구』와 『자연의 아들(선총원 자서전)』, 『재미있는 한자풀이』, 『수달피 모자를 쓴 친구(선총원 단편선집)』, 『음식에 담겨있는 한중교류사』, 『십삼 왕조의 고도 낙양 고성 순례』, 『발자취-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찾아가는 여정』 등 다수의 저서·논문을 냈다. 현재 제주국제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1938년 가을 아도르노는 친구인 발터 벤야민에게 한 통의 편지를 보냈는데 그 편지의 내용 가운데 영화를 정의하는 다음과 같은 말이 언급돼 있었다. “자네의 연구서는 마법과 실증주의의 교차로에 섰군. 그 장소는 사람을 홀리는 곳이지. 그 주문(呪文)은 이론만이 깨뜨릴 수 있을 걸세.” 아도르노의 편짓말인 ‘마법과 실증주의의 교차로’는 이후 영화를 정의하는데 가장 적합한 표현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그렇다면 아도르노는 왜 영화를 ‘마법과 실증주의의 교차로’라고 했을까? 영화의 역사적인 등장은 과학기술의 필연적 결과였다. 1826년 프랑스의 화학자 니셉호레 니엡스(Nicephore Niepce, 1765~1851)가 사진을 발명하면서 새로운 예술의 전조를 내비쳤다. 특히 그의 제자였던 화가 출신 다게르(Louis J. M.Daguerre,1789~1851)가 1837년에 실용적인 사진을 발명하고, 1939년에 최초의 인물사진을 찍음으로써 세계는 더욱 고무되었다. 거듭되는 사진실험으로 연속사진을 넘어서 급기야 1895년 최초로 영화가 제작되었다. 영화탄생 110여 년이 지난 오늘날에는 극장 수는 줄었지만 비디오, 텔레비전, 상영관을 통해 영화를 접하는 영화의 관객 수는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아졌다. 이제 영화는 대표적인 문화산업이 되었다. 영화는 시작부터 기술을 바탕에 둔 자본집약적 매체로서 테일러-포드적인 전형인 실증주의의 적용에 강렬하게 끌리는 하나의 산업으로 빠르게 발전했다. 즉 대량생산(복제), 표준화된 설계(35mm, 70mm필름), 전체 생산과정을 단일 장소에 집중시키기(세트, 녹음, 편집), 철저한 분업체계(조명, 감독, 배우, 의상, 스턴트맨), 고용된 인원들을 관리하기(배우 사생활 등), 출연자들의 인지도와 능력에 따라 성과급을 차별하여 지급하기 등 대규모 공장 제조업 시스템인 테일러-포드식 노동 관리 체계가 도입되면서 확장되기 시작한 것이다. 실제로 영화의 실증주의가 영화 산업의 형식이 되었다면, 영화의 ‘마법성’은 관객을 사로잡는 내용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자본 집약적인 기술력과 만나는 다양한 주제들은 나열하기가 벅찰 정도로 많은데 무협, 판타지, 섹스, 애정극, 공포, 코미디, SF는 현실과 비현실의 경계를 넘나들면서 흥미를 유발하고 있다. 흔히 영화를 ‘드림박스나 마법상자’로 비유되는 것은 관객을 자신도 모르게 빨려들게 하는 강렬한 주술성이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그 주술성은 도취, 오인, 가짜 신념 체계를 만들어 내는 장치로 작동한다. 단지 현실과 무관한 흥밋거리, 아니면 오락의 한 부분으로서 놀이와 다를 바 없다고 생각하면서도 관객들은 결국 영화가 생산하는 이데올로기를 흡인할 수밖에 없는 처지가 됨으로써 영화의 이데올로기에 자유롭지 못하게 된다. 결국 아날로그(굿 의례) 대 디지털(영화)이라는 차이에도 불구하고 이데올로기를 생산하고 전파하는 문화적 본질 면에서는 서로 유사하다는 것, 두 유형 모두 꼭 퍼포먼스를 통해서 신념 체계를 전파한다는 점이 의례와 영화를 보는 중요한 문제의식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편으로 이어집니다.> ☞김유정은? = 최남단 제주 모슬포 출생이다. 제주대 미술교육과를 나와 부산대에서 예술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미술평론가(한국미술평론가협회), 제주문화연구소장으로 일하고 있다. 저서로는 『제주의 무신도(2000)』, 『아름다운 제주 석상 동자석(2003)』, 『제주의 무덤(2007)』, 『제주 풍토와 무덤』, 『제주의 돌문화(2012)』, 『제주의 산담(2015)』, 『제주 돌담(2015)』. 『제주도 해양문화읽기(2017)』, 『제주도 동자석 연구(2020)』, 『제주도 산담연구(2021)』, 『제주도 풍토와 문화(2022)』, 『제주 돌담의 구조와 형태·미학(2022)』 등이 있다.
거친바람을 막아주고 좋은 기운이 모이는 명당의 요건을 이루려면 전후좌우에서 호위하고 감싸주는 산이나 언덕 또는 기타 자연적으로 형성된 지형지물 즉, 절대방위가 아닌 본인을 중심으로 왼쪽에서 감싸주거나 받쳐주는 산이나 언덕을 좌청룡(左靑龍), 오른쪽에서 감싸주거나 받쳐주는 산이나 언덕인 우백호(右白虎), 앞 즉, 맞은편에서 바라보이고 응대하는 앞산이나 언덕인 남주작(南朱雀), 뒤쪽에서 받쳐주는 산이나 언덕인 북현무(北玄武)의 요소가 갖추어져야 한다. 이 말은 뒤로는 산을 의지하고 앞으로는 멀리서 읍(揖)을 하는 형상, 즉 신하가 임금에게 공경의 뜻을 나타내는 형국의 작은 산을 바라보고, 좌우에서 호위하는 사산(砂山)인 청룡과 백호 등이 환포(環抱), 즉 조화롭게 감싸주어야 한다. 명당의 국세에 대해 배산임수(背山臨水), 즉 뒤로 산을 의지하고 앞으로 물을 맞이하면 건강장수(健康長壽)하고, 전저후고(前低後高), 즉 앞이 낮은 듯하고 뒤가 높으면 뛰어난 영웅이 나온다는 의미에서 세출영웅(世出英雄)하고, 전착후관(前窄後寬), 즉 앞이 좁은 듯하고 뒤가 넓으면 부귀가 산처럼 쌓인다는 의미에서 부귀여산(富貴如山)이라고 했다. 명당(明堂) 은 탁 트여야 하고 물이 굽이굽이 감아 돌아야 한다 이것은 풍수의 가장 이상적인 환경모식(環境模式)으로서 실제로 응용할 때는 후면의 지세나 건축물이 전방보다 높아야 하고 왼쪽의 지세나 건축물은 오른쪽보다 높아야한다 명당은 탁 트인 곳이어야 하고 아늑하고 포근한 지세에 답답한 느낌이 없는 상태에서 위에서 말한 장풍승기의 조건을 갖춘 곳이어야 한다 이 말은 바로 풍수의 중요한 네 가지 요소인 산이나 산줄기를 의미하는 용(龍), 산천의 기운이 잘 응집되어 형성된 요긴한 곳을 의미하는 혈(穴), 주변을 감싸주는 산이나 지형지물을 가리키는 사(砂), 지형의 낮은 곳이나 물줄기를 의미하는 수(水)를 의미한다. 용(龍)이라고 하는 것은 다시 말해서, 지맥을 일으켜준 시발점이 된 산을 의미하는 조산(祖山)으로부터 뻗어온 지맥을 이어주는 모든 산맥의 형상이나 지세를 뜻한다 다시 말해 지맥의 형상은 근본적인 산의 생김새를 의미하고 지세는 곧고(直), 휘고(曲), 일어나고(起), 엎드린(伏) 산세를 말한다 이것은 귀하고 천함을 의미하는 귀천(貴賤)을 주관하는 척도가 되며 사람의 사회적 지위나 성취 성품 등과 매우 깊은 관계가 있다. <다음편으로 이어집니다.> ☞ 신영대는? = 대한풍수연구학회 편집위원장, 한국역술인협회 공인 역학연구원이다. 중문학 박사와 풍수학자로서 ‘제주의 오름과 풍수’, ‘명리학원리대전’, ‘풍수지리학 원리’, ‘전원시인 도연명 시선', ‘흰 구름 벗을 삼아 읽어보는 당시선’ 등 다수의 저서를 냈다. '한라산 총서'의 구비전승·지명·풍수 분야와 ‘세계자연유산지구 마을일지 보고서’ 중 풍수 분야 공동 집필자로도 참여한 바 있다. 또 제주도 각 마을 '향토지' 풍수 부문에 공동 집필자로 참여하고 있다. 현재 제주관광대 관광중국어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이른바 ‘원시형’은 가장 본능적이며 가장 거지 본분에 맞는, 애걸복걸하는 방식으로 구걸하는 거지를 가리킨다. 이것은 고금을 통틀어 가장 흔히 보이는 거지 구걸의 기본 유형이다. 이런 유형의 거지는 예나 지금이나 다 존재하지만, 거지 항방(行幇, 동업조직)인 개방(丐幇)이 타락하고 변질되어 흑사회의 일원이 된 후에는 하위문화 단체 중에서 주류의 지위를 점하지 못했지만 이전에는 거지가 구걸하는 주체였다. 이런 부류의 거지는 일시에 곤궁해져서 사회 저층으로 전락한 가난한 사람들이거나, 한번 몰락한 후 다시 일어서지 못하여 입에 풀칠하려고 오랫동안 구걸하며 생계를 도모하는 사람들이다. 이런 거지는 대부분 소박하고 유약하다. 자립능력도 다소 떨어진다. 그 처지가 세상 사람들의 동정을 받아 동냥을 얻는다. 그래서 『관자(管子)·경중을편(輕重乙篇)』에서는 이야기한다. “백성이 태어났으나 부모가 없는 자를 고아라 한다. 처와 자식이 없으면 홀아비라 한다. 남편이 없고 아들이 없으면 과부라 한다. 이 3자는 모두 관에서 먹여 살리니 길에는 구걸하는 자가 없다. 길에 구걸하는 자가 있으면 상의 죄이다.” 고아나 노인의 의식주를 돌봐줄 사람이 없는 것이 거지가 생겨나게 되는 근원이니 거지가 출현하면 관리의 죄라고 여겼다. 이런 거지는 일반적으로 기예를 팔아 생활할 수 없고 노동도 할 수 없었으니, 불량배나 무뢰한이 되지 않는다면 애걸하며 동냥하며 생계를 유지할 수밖에 없었다. 당대 이상은(李商隱)은 『의산잡찬(義山雜纂)·불인문(不忍聞)』 중에 읊었다. “밤은 고요한데 거지 소리가 들린다.” 이런 원시형 거지는 후세에 말하는 불량배를 가리키는 말은 결코 아니다. 원시형 거지는 처지가 가장 고생스럽고 사회지위도 낮아, 열등의식이 있었다. 송나라 때 왕군옥(王君玉)은 『잡찬속(雜纂續)·부득인련(不得人憐)』에서 말했다. “거지같은 성품은 자제의 재목이 되지 못한다.” 타인의 동냥으로 살면서도 노름하고 제멋대로 하면 ‘동정을 얻지 못하여’ 먹을 것이 없어 살아가지 못했다. 그래서 어쩔 수 없이 굽실거리고 외부의 압력을 참고 견디어 내면서 굴욕적으로 살아갔다. 그렇지 않으면 송나라 때 소식(蘇軾)이 말한 ‘거지가 좋은 사람을 화나게 만드는’ 것은 ‘뒷생각이 없는’ 것이다. 실로 그렇지 않은가. 처마 밑에 있는 사람이 어찌 머리를 숙이지 않을 수 있겠는가. 어떤 때에는 핍박을 받아 음식에 대한 이상심리가 생겨나기도 한다. 송나라 때 서현(徐鉉)의 『계신록(稽神錄)』에 기록되어 있다 : 광릉(廣陵)의 시중에서 구걸하며 살아가는 거지가 있었다. 땅에 떨어져 있는 말똥을 보기만 하면 집어먹었다. 그의 얘기는 이렇다. 이전에 다른 사람의 말을 대신 길렀는데 한밤중에 일어나서 사료를 주지 못했다. 주인이 밤마다 감독하면서 구유에 꼴이 없으면 질책하였다. 그래서 거지는 말에게 오매(烏梅) 구이를 먹였다. 말은 신맛 때문에 씹지 못하여 먹지 못하다가 굶어 죽었다. 나중에 거지도 병이 들자 말똥만 보면 걸신들린 듯 군침이 돌았다. 먹으면 오매와 같은 맛만 느낄 뿐 더러운 냄새는 맡지 못했다. 이 이야기 속에서 거지의 처지를 비추어 볼 수 있다. 이런 원시형 거지는 지위가 비천했기에 안전 또한 보장받을 수 없었다. 자신이 먹을 음식을 구걸하지 못했을 뿐 아니라 심지어 먹을 것이 되어 타인에게 먹히기도 하였다. 예를 들어 청나라 때 수녕(睢寧) 지방에 장소삼(張小三)이란 양곡 세금징수원이 있었다. 성정이 흉포하고 인륜과 거리가 먼 인물로 사람 고기를 즐겨 먹었다. 야외로 사람을 보내어 버려진 아이를 데려다가 쪄서는 술을 곁들어 먹었다. 아예 거지를 돈 주고 사서는 먹어치우기도 하였다. 마지막에는 자기 생부까지 먹으려 하였다. 그의 부친은 수레를 몰며 살고 있었다. 노예처럼 장소삼에게 시중들었는데 조금이라도 마음에 들지 않으면 욕하면서 때렸다. 어느 날, 장소삼이 자기 부친이 끄는 수레를 타고 향촌으로 세금을 징수하러 나섰다. 돌아오는 도중에 그의 부친이 배가 고파서 수레를 제대로 끌지 못했다. 장소삼은 빨리 끌라며 재촉했는데 대답할 기력도 없이 부친은 길옆에 쓰러졌다. 대노한 장소삼이 몽둥이를 들고 앞가슴을 내리치자 그 자리에서 부친이 죽어버렸다. 그러자 자기 부친의 시신을 수레에 싣고 거적자리를 덮고서 수레를 끌고 갔다. <다음편으로 이어집니다.> ☞이권홍은? =제주 출생. 한양대학교 중어중문학과 학사, 대만 정치대학교 중문학과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중국현대문학 전공자로 『선총원(沈從文) 연구』와 『자연의 아들(선총원 자서전)』, 『재미있는 한자풀이』, 『수달피 모자를 쓴 친구(선총원 단편선집)』, 『음식에 담겨있는 한중교류사』, 『십삼 왕조의 고도 낙양 고성 순례』, 『발자취-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찾아가는 여정』 등 다수의 저서·논문을 냈다. 현재 제주국제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역사 속 인류사회는 방대하면서도 끝이 없는 풍속화이다. 다른 역사의 단면, 다른 자리나 모퉁이, 다각적인 생활공간은 모두 다양한 인류의 활동무대다. 변화하고 발전하는 멈추지 않는 무대에서 단장하거나 발가벗은 채로 다른 사회 층면, 다른 직업, 다른 연령, 다른 성별의 사람들의 양태를 표현하고 있다. 역사의 풍속화에 들어간 후, 정지된 스틸 속에 여러 양태가 매 시간 매 장소마다 언어, 행위, 사상, 심리상태를 묘사하지 않은 경우가 없다. 예부터 지금까지 거지가 구걸하는 수단과 방식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하층 사회 단체의, 하위문화의 여러 군상의 양태를 분명하게 드러내 보인다. 진짜도 있고 가짜도 있으며 눈물도 있고 웃음도 있다. 각양각색인 다양성도 있기는 하지만 결국에는 비극으로 끝을 맺는다. 여러 가지 가식적인 면사를 벗겨내면 대부분 희극적 형식의 추태를 연출해 내면서 울 수도 웃을 수도 없게 만든다. 아주 오래 전에 거지는, 참고삼아 이용할 만한 여러 가지 구걸 방식을 채용하면서 끊임없이 변화하는 수단(예나 지금이나 거의 비슷한 구걸 예술)을 이루었다. 독특한 하위문화 전승 형태로, 구걸 습속과 관례를 형성하였다. 당대에 기괴하고도 다양한 구걸 수단과 방식은 대부분 예전의 선례나 역사의 흔적을 찾을 수 있다. 이것은 감탄할 만한 기적이며 실재다. 보도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유명한 도시인 뉴욕에 전문적으로 거지를 훈련시키는 ‘거지 학교’가 있다고 한다. 학교는 뉴욕의 외진 지역에 위치해 있다. 입학신청하려면 학비 100달러를 내야하고 졸업하면 증서까지 발급한다. 그 학교는 6일 과정이며 야간에 공부한다. 교실에서 이론을 강의한다. 마지막 이틀 저녁에는 거리에 나가 실습한다. 강사가 나누어 강의한 내용을 길가는 사람에게 구걸하는 기술을 실연해 보인다. 그때 교장은 곁에서 실습하는 상황을 지켜보고 그중의 오류를 찾아내어 다시 구체적으로 지도하여서 졸업생 모두를 구걸하는 데에 합격할 수 있도록 완벽하게 학습시킨다. 그중 가장 성공적인 기술은 병원이나 약국을 가기 위하여 급히 돈이 필요하다고 가장하여 구걸하는 것이었다. 목석간장을 가진 사람일지라도 아픈 사람에게는 동정심을 낼 수밖에 없었다. 그들은 사람들의 그런 선량한 본능을 십분 이용했다. 성공한 거지가 될 수 있는 비결은 이렇다 : 말솜씨가 유창하고 기민하게 반응하며 인내심이 있고 얼굴이 두꺼워야 한다. 그리고 너무 가난하고 초라하게 분장해서는 안 된다. 중산층 인물로 분장해 갑자기 곤경에 빠져서 급히 타인의 도움을 필요한 것처럼 가장하는 것이 쉽게 구걸할 수 있는 비결이었다. 거지 학교를 세운 사람은 40세인 오마(Omar)로 제약공장에서 여러 해 동안 근무하였다. 학교를 설립한 주지를 이렇게 말했다. “이것은 공공사업이다. 나는 어려운 처지에 놓여 살아갈 방도를 찾지 못하는 사람을 구하려고 세웠다. 우리 학생은 절대로 부도덕한 일은 하지 않는다. 도둑질도 강도짓도 하지 않는다. 단지 길을 가는 사람들에게 선량한 마음을 내게 한 후 보잘것없는 돈 몇 푼을 받을 따름이다.” 그런데 도둑질이나 강도질을 가르치지 않는다하여도 세상 사람들의 아름다운 착한 마음에 사기를 치는 것을 가르친다면 ‘도덕적인 일’이라고는 할 수는 없지 않는가! 하물며 그 ‘학생’들이 거지가 된 후, "도둑질도 안 하고 강도질도 안 한다"라고 장담할 수 있는가. “절대 부도덕한 일을 하지 않는다”라고 장담할 수 있는가. 사기란, 일정한 조건 아래 법률이 정하지 않은 ‘도덕’ 범주에 속한다하더라도 직접 사기를 치는 수법으로 타인에게 재물을 얻는다면 다른 차원의 범죄행위가 된다. 중국에는 아직까지 거지 기법을 가르치는 전문 훈련 기관은 없다. 그러나 구걸 기술은 역사상 하위문화 내부에서, 민간에서 전승되어 온 궤적이 분명하게 남아있다. 종적을 찾아 근원을 찾아내면, 많고도 어지러운 세상사 속의 하층사회 단체의 여러 군상을 명확히 알 수 있다. <다음편으로 이어집니다.> ☞이권홍은? =제주 출생. 한양대학교 중어중문학과 학사, 대만 정치대학교 중문학과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중국현대문학 전공자로 『선총원(沈從文) 연구』와 『자연의 아들(선총원 자서전)』, 『재미있는 한자풀이』, 『수달피 모자를 쓴 친구(선총원 단편선집)』, 『음식에 담겨있는 한중교류사』, 『십삼 왕조의 고도 낙양 고성 순례』, 『발자취-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찾아가는 여정』 등 다수의 저서·논문을 냈다. 현재 제주국제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