뱀을 부리는 민간 잡기가 언제부터 시작됐는지 고증하기가 쉽지 않다. 뱀을 부리며 구걸하는 방식은 송나라 때 서현(徐鉉)의 『계신록(稽神錄)』에 다음과 같은 기록이 보인다. 모(毛) 씨 성을 가진 거지는 안륙(安陸) 사람으로 술안주로 독사를 즐겨 먹었다. 산동성과 강서성 일대를 돌아다니며 시중에서 뱀을 부리며 구걸하였다. 10여 년 넘게 구걸하며 생계를 유지하였다. 파양(鄱陽)에서 온 땔나무를 파는 사람이 황배(黃培)산 아래에서 야숙하는데 꿈속에 한 노인이 나타나 말했다. “네게 뱀 한 마리를 보낼 터이니, 강서에서 뱀을 부리는 모 씨라는 거지에게 가져다 줘라.” 강서에 가서 땔나무를 다 팔았을 때 뱃전에 똬리를 튼 하얀 뱀 한 마리를 발견하고는 만져보았으나 꼼짝도 하지 않았다. 그때 꿈속에서 노인이 한 말이 떠올랐다. 노인의 말에 따라 저녁에 뱀을 들고 시중에 가서 뱀을 부리는 모 씨 거지를 찾아서 건네주었다. 모 씨 거지가 손으로 만지려고 할 때 뱀이 피할 사이도 없이 손가락을 물었다. 거지는 큰소리를 내지르며 땅에 쓰러져서는 숨을 거두었다. 오래지 않아 거지의 시신이 부패돼 버렸고 뱀도 어디로 갔는지 알 수 없었다. 이 전기적인 이야기는 믿을 수 없다. 다만 늦어도 송나라 때에 이르면 뱀을 부리며 구걸하는 거지가 존재했다는 역사적 사실을 시사하고 있다. 명대 유원경(劉元卿)의 『현란편(賢欒編)』 기록이다. 오중(吳中)에 늙은이가 처음에는 집안이 가난해 뱀을 부리며 생계를 유지하였다. 그 맏아들은 밥을 구걸하고 둘째아들은 개구리를 잡았으며 셋째아들은 ‘연화락’을 불렀다. 가족 전체가 거지였다. 나중에 점차 부유해지자 어느 날 그는 아들들을 불러 모아 말했다. “이전에는 너무 가난하여 집안을 일으키기가 어려웠다. 지금은 생활이 나아졌으니 반드시 직업을 바꾸어 문학을 공부하여야겠다. 그렇게 해야만 온 가족이 좋은 명성을 듣게 될 것이다.” 집안에 사숙을 지어 선생을 초대하여 아들 셋에게 공부를 가르쳤다. 반년여가 지나자 선생이 갑자기 아들 셋 모두 하루가 다르게 학업이 향상됐다고 과장하였다. 늙은이는 잔치를 베풀고 이름난 유학자를 초빙하여 직접 시험을 치르도록 하였다. 이름난 유학자가 셋째아들에게 대우(對偶) 문장을 시험보자며 먼저 첫 문장을 제시하였다. “잇달아 버들개지 날린다.” 셋째아들이 대구를 만들었다. “늴리리 연화락 부르네.” 둘째아들에게 제시하였다. “살구나무 나뭇가지의 끝에 흰 나방 날아가네.” 둘째아들이 답했다. “파란 버들나무 아래서 청개구리 잡네.” 마지막에 맏아들에게 “구중궁궐에 문무 양반 관원이 배열해 있네”에 대한 대구를 답하라 하니, “십자가두에 입을 것과 먹을 것을 준 부모를 부르네”라고 답했다. 늙은이는 아들 셋이 제출한 대구를 보고는 이상하다 여겼다. 자신이 이전에 뱀을 부리며 구걸하던 그런 수단을 말하고 있지 않은가, 어찌된 일인가. 이상은 송나라와 명나라 때에 뱀을 부리며 구걸하던 거지의 사례다. 다음은 청나라 때의 일이다. 전해오는 바는 이렇다. 청대 건륭 4년(1739)에 풍(馮) 씨가 사람들과 어울려 항주의 서호를 유람하고 있었다. 정자사(淨慈寺) 앞에서 피부가 가마무트름하고 짧은 구레나룻이 난, 몸에 포대를 걸고 있는 거지를 만났다. 뒤에는 대나무 바구니를 든 수십 명의 거지가 뒤따랐다. 어디를 가느냐고 물으니 남병산(南屛山)에 뱀 잡으러 간다고 하였다. 풍 씨는 젊었기도 했고 호기심도 많아 그들을 뒤쫓아 갔다. 사찰 서쪽 산간의 평지 깊은 곳에 다다르니 동굴이 하나 있었다. 동굴 입구는 1척여로 동물이 자주 출입한 듯 둘레가 반들반들하였다. 거지가 절뚝거리며 동굴 앞으로 가 주문을 외우고는 울컥, 입 안 가득 무엇인가 물고는 동굴 입구를 향하여 내뱉었다. 동굴 안쪽에서 우르르 소리만 들려왔다. 그때 뒤따라갔던 거지들은 좌우로 배열해 있었다. 각자 준비해서 주머니에 넣어 가지고 간 풀잎을 꺼내어 입에 넣고 씹고 있었다. 얼마 되지 않아 동굴 속에서 수많은 뱀들이 밀물이 밀려들 듯이 기어 나왔다. 오초사, 먹구렁이, 뱀장어, 그리고 유혈목이, 살무사 종류였다. 그 형상은 게처럼 생긴 것도 있고 잉어처럼 생긴 뱀, 신발처럼 생긴 뱀, 호랑이 머리에 뱀의 몸을 한 거, 머리는 뾰족하고 몸은 넓적하지만 길이가 몇 촌이 되지 않는 뱀, 저울대처럼 가는 뱀, 몽둥이처럼 짧은 뱀, 주사처럼 붉은 뱀, 남색처럼 푸른 뱀, 청동처럼 녹색인 뱀, 분처럼 하얀 뱀, 흑과 백이 반반인 뱀 등등 두려울 정도로 괴이하였다. 줄서있던 거지들이 씹고 있던 풀잎 즙을 손에 바르고 씹다 남은 풀잎 찌꺼기로 콧구멍을 막았다. 그런 후에 각자 뱀들을 잡아서는 가지고 왔던 대나무 바구니에 담았다. 뱀들을 거의 다 잡아넣었다 싶었을 때 갑자기 굴속에서 쏴쏴 비바람 소리가 들려왔다. 거지 두목이 모두에게 말했다. “사왕(蛇王)이 온다. 빨리 피해!” <다음편으로 이어집니다.> ☞이권홍은? =제주 출생. 한양대학교 중어중문학과 학사, 대만 정치대학교 중문학과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중국현대문학 전공자로 『선총원(沈從文) 연구』와 『자연의 아들(선총원 자서전)』, 『재미있는 한자풀이』, 『수달피 모자를 쓴 친구(선총원 단편선집)』, 『음식에 담겨있는 한중교류사』, 『십삼 왕조의 고도 낙양 고성 순례』, 『발자취-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찾아가는 여정』 등 다수의 저서·논문을 냈다. 현재 제주국제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제주마는 성격이 온순하고 체질이 건강하여 병에 대한 저항력과 생존력이 강하다. 제주 사람 기질을 닮았다. 일반적으로 말은 외로움을 싫어하는 군거성(群居性) 초식 동물이다. 서열과 책임성이 강한 사회성이 있는 동물이다. 말들을 한 구역에 몰아 방목하기도 하는데, 그 경우 서열을 정하기 위해 싸움한다. ‘더러브렛(thoroughbred)’같은 서양말과 제주 조랑말이 서열 싸움을 하면 누가 이길까? 십중팔구 제주마보다 덩치가 두 배나 큰 서양말의 승리를 점친다. 아니다! 제주마가 100%, ‘짱’ 먹는다. 전략은 단순하다. 키 작은 제주말이 서양말 다리 사이로 들어가 서양말 허벅지를 사정없이 물어뜯는다. 그러면 서양말은 비명조차 못 지르고 눈물 뚝뚝 흘리며 항복할 수밖에 없다. 제주마는 기억력이 좋다. 제주마는 방목장의 지형 즉, 어떤 장소나 방향 등을 잘 기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오랜 세월 야생에서 얻어진 본능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방목장으로 가는 ‘ᄆᆞᆯ 길(말 길)’을 망아지 때부터 정확히 기억하고 있다. 이에 반해 이해력이나 사고력은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경수 옹(95)의 어릴 적 기억에 의하면, 말들이 주인보다 앞서가다가 세 갈래 길을 만나면 잠시 멈춰 서서 뒤에 오는 주인을 기다린다고 한다. 주인이 와서 어느 쪽 길로 갈까를 알려주면 그때야 가라는 방향으로 걷는다고 했다. 제주마는 밭을 갈거나 조 밭을 밟고, 농작물을 실어 나르는 등 제주의 농경 문화에 없어서는 안 될 역마(役馬)였다. 이뿐 아니라 1950~1960년대만 해도 제주마는 마차에 짐을 실어 먼 거리 이동 시 또는 결혼식 때 신랑과 ‘우시’ 2인(집안에 따라 3~4인)들을 태우는 의전용으로 널리 이용되었다. 이들은 예장(禮裝)이 접수되고 신붓집의 ‘문전고사’가 끝나야 말에서 내릴 수 있었다. 농한기가 끝나고 결혼 성수기가 돌아오는 10월이면 고경수 옹의 집에서는 선흘뿐 아니라 인근 김녕까지 착하기로 소문이 자자한 잘생긴 말 5마리 정도를 목장에서 집으로 데려다 놓고 갈기를 단장하고 빛깔을 윤기 있게 하여 무상으로 결혼식 의전용으로 빌려주곤 했다. 예약은 항상 밀려있었고 고맙다는 주변 칭송이 자자했다. 모든 말이 처음부터 ‘착한 말’이 되지는 않는다. 길들이기, 즉 순치(馴致) 과정이 필요했다. 말은 소보다 성질이 민감하고 인내심이 부족하여 길들이기나 순치 기간이 다소 오래 걸리며 방법이 다르다. 역용(役用) 말은 처음부터 밭갈이용으로 길들이기 하지 않고 마차나 달구지를 끌 수 있도록 순치시키고, 마차나 달구지를 끌 수 있을 정도가 되면 밭갈이용으로 쉽게 이용할 수 있다. 어느 정도 순치가 되면 마구를 장착하여 마차나 달구지를 직접 끌게 했다. 처음 한쪽 또는 양쪽 바퀴를 고정하여 구르지 못하게 하였다. 날뛰거나 제어하기 힘든 말을 금방 지치게 하여 순응시키기 위함이다. 이때 사람이 굴레 또는 재갈에 연결된 ‘돌’을 이용하여 말을 직접 끌고 다녔다. 몇 번 하다 보면 말은 이내 순응하고 주인에게 복종했다. 제주 바다에 해녀가 있다면 한라산과 오름에는 ‘테우리’가 있다. ‘테우리’는 목축에 종사하는 목자(牧者)를 의미하는 제주어다. 이들은 전문 목축기술을 가지고 광활한 목장 초지대를 누비며 우마를 방목하며 제주도 전통 목축 목화를 만들어낸 주체들이다. 이들 ‘테우리’들은 관리하는 가축 종류에 따라 ‘소 테우리’ 혹은 ‘말 테우리’라 부른다. ‘테우리’들은 마소를 관리하는 일 이외 밭을 밟아주는 일과 ‘바령 팟’을 ‘ᄇᆞᆯ리는’ 일을 하였다. 화산회토 지대에서 바람이 불면 흙과 함께 파종한 씨앗이 날려 농사를 망치기 때문에 사람보다는 힘이 좋은 우마를 투입해 파종한 밭을 밟아주었다. 이를 진압농법(鎭壓農法)이라 했다. 밭에서 거름을 얻기도 했다. 이런 밭을 ‘바령 밭’이라고 했다. 마소들을 놀리고 있는(휴한기) 밭으로 몰아넣은 다음, 이들의 배설물을 받아 쌓아놓은 뒤 적당한 때에 이를 농사용 거름으로 이용했다. 이때 말 떼를 잘 부리는 노련한 ‘테우리’ 일수록 좁은 밭 안에서 질서 정연하게 밟도록 말 떼를 몰 수 있다. ‘테우리’들은 자신의 마소를 직접 키우거나, 일정한 보수를 받고 다른 사람들의 마소들을 대신 키워 주거나, 마을 공동목장에 목감(牧監)으로 고용되기도 했다. 공동목장 내에 지어진 ‘테우리 막’에 살면서 마소를 관리하기도 했다. 이들은 방목지에 있는 오름과 하천, 동산의 이름 그리고 마소의 이동로와 관련된 주요 지명을 손끔 보듯 알고 있었다. 바람을 막아줄 수 있는 오름의 위치, 물을 먹일 수 있는 물통이나 하천 위치 그리고 풀이 자라고 있는 위치를 경험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방목 중인 마소들의 생존과 직결되는 일이었기 때문이다. 고경수 옹의 어릴 적, 그의 아버지는 ‘가랑ᄆᆞᆯ(가장 좋은 말)’을 타고 ‘테우리’ 서너 명과 함께 키우던 말 15마리를 몰고 선흘이나 동복 심지어 김녕 마을까지 가서 무상으로(점심 식사만 제공) 밭들을 말로 밟아주고 왔다고 했다. 그러면 밭 주인들은 나중에 고경수 옹의 아버지네 목장 일을 도와주거나 겨울철 말에게 먹일 ‘ᄎᆞᆯ(꼴)’을 베어 오는 일을 도와주었다고 한다. 바로 ‘수눌음’이라는 제주풍습이다. 승용마 길들이기는 더 어렵다. 말타기 능숙한 사람만이 가능한 일이었다. 역용마(役用馬) 길들이기와 마찬가지로 말에 올라타기 전 사람과 친숙해지는 순치 과정이 필요했다. 먼저 굴레 씌우고 끌기를 하면서 말이 달아나려는 습성(fly animal)이 사라질 때까지 계속해서 제압하고 순치시켰다. 이런 과정이 계속되면 말과 가까이하게 되고 사람에 대한 두려움이 조금씩 사라지게 된다. 어느 정도 순치가 되면 재갈 굴레를 씌우고 등 위에 살짝살짝 올라타면서 체중 적응 순치를 시켰다. 그다음 안장 채우고 한 사람이 말을 끌고 또 한 사람은 말 등에 조심스레 올라타 승용(乘用) 목적으로 길들이기 했다. <다음편으로 이어집니다.> ☞진관훈은? =서귀포 출생, 동국대 경제학 박사(1999), 공주대 사회복지학 박사(2011). 제주특별자치도 경제정책 특보를 역임하고, 제주테크노파크 수석연구원을 지냈다. 제주문화유산연구원 연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현재 제주지식산업센터 센터장으로 근무하고 있다. 저서로는 『근대제주의 경제변동』(2004), 『오달진 근대제주』(2019), 『오달진 제주, 민요로 흐르다』(2021), 『제주의 화전생활사』(2022) 등이 있다.
『청패류초·걸개류·상해유호북지개(上海有湖北之丐)』 기록이다 : “상해에 호북 출신 거지가 있다. 모두 부인과 남자아이이고 건장한 남자는 없다. 늘 서너너덧이 모여서 시가를 돌아다닌다. 손에는 소라, 북, 구련환(九連環)을 들고 등에는 칼과 갈퀴 등 잡물을 담은 자루를 지고 다닌다. 한 사람은 강회(江淮) 소곡, 예를 들면 「십팔모(十八摸)」, 「십배주(十杯酒)」, 「십송랑(十送郞)」 등을 부르며 손에는 칼이나 갈퀴를 떨구고 한 사람은 북을 치거나 소라를 치면서 박자를 맞춘다. 광서, 선통 사이에 처음 보였고 선통, 신해에 많아졌다. 삼봉고(三棒鼓, 북채 3개를 사용해 연주하는 방법, 삼반고(三班鼓)라고하기도 함)도 구걸하는 도구다. 그 연주법은 3명이 함께 한다. 한 사람은 북을 펼쳐놓고 치는데 북은 움직일 수 있는 대나무 지지대가 있어 열고 닫을 수 있다. 한 사람은 작은 북을 두드리고 한 사람은 징, 소라의 박자에 맞춰 노래한다. 가사는 천한 내용이 많다. 언어는 대개 호북성 지방어이다.” 호북 거지가 삼봉고를 공연하면서 구걸하는 것을 얘기하고 있다. 명나라 때 전예형(田藝蘅)은 『유청일찰(留靑日札)』에서 말했다. “오(吳), 월(越) 사이에 부녀자가 북채 3개를 가지고 위아래로 북을 친다. 삼봉고라 한다. 강북 봉양(鳳陽) 남자가 더 뛰어나다. 당나라 때의 삼장고(三杖鼓)가 그것이다.” 이런 곡예 표현 예술은 공연할 때 동전을 새겨 넣은 북채 3개로 차례대로 돌아가며 북을 치면서 노래하는 것에서 이름을 얻었다. 호북, 호남 일대에서 유행하였다. 봉양화고(鳳陽花鼓)에서 변화 발전했다고 전한다. 이 설은 일리가 있다. 역사상 재난이 끊이지 않았고 궁핍하고 낙후된 봉양은 거지가 많이 생겨나 각지로 떠돌아다녔다. 『청패류초·걸개류·봉양인걸식지유(鳳陽人乞食之由)』는 말한다. “강소, 절강 접경지역에 매년 겨울이 되면 봉양 유민이 늘 시내에서 구걸한다. 해마다 흔히 있는 일이 되었다. 그 걸식하는 이유를 헤아려보면 호주(濠州, 봉양부鳳陽府)가 명 태조의 발상지이기 때문이다. 전란이 끝난 후 사람이 적어지고 토지가 황폐해지자 강남의 부유한 백성 14만을 이주시켜 채우고서는, 사사로이 귀향하는 자는 중죄로 다스렸다. 부유한 백성이 고향으로 돌아가 성묘하려 해도 방법이 없자 남녀가 거지로 분장해 몰래 고향으로 돌아가 제사지내고 성묘하였다. 겨울에 떠나 봄에 돌아왔다. …… 마침내 강호를 떠돌아다니며 걸식하는 것이 업이 되었다.” 원인을 그 당시 거지 출신 황제 주원장(朱元璋)과 그의 정책으로 귀결시키고 있다. 일리가 있다 싶다. 전기적인 색채가 있다는 것은 맞지만 역대로 그곳에서 거지가 많이 발생한 근본 원인은 궁핍해져서 살아갈 수 없었기 때문이다. 물론 이렇게 얘기한다고 해서 오랫동안 누적되어 형성된 전통관념, 습속, 지리 문화, 심리상태에 기인한다는 점을 부인하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상술한 전설 자체는 비정상적인 가치 관념을 반영하고 있다. 거지를 천하게 보지 않으려는 관점이 그것이다. 다시 예를 들면 강서(江西) 서창(瑞昌), 구강(九江), 무녕(武寧) 등지에서 유행하였던 ‘용선고(龍船鼓)’〔서창선고(瑞昌船鼓)〕도 원래는 단오 때에 호숫가 지역에서 용주로 강을 건너는 활동 중에 탄생한 오락성 짙은 곡예 종류다. 소라, 북을 치는 반주에 맞추어 말하기도 하고 노래하기도 한다. 청나라 건륭 연간에 대단히 유행하였다. 그런데 봉양화고가 삼봉고가 된 운명과 같이, 용선고도 나중에 점차 현지 거지가 사방으로 돌아다니며 구걸하는 방식 중 하나가 되었다. 『북경민간생활채도』 제13도 「삼봉고도」는 지역 유랑민이 북경에서 삼봉고를 두드리면서 구걸하는 그림이다. 그 제사는 이렇다. “이것은 중국 삼봉고 그림이다. 이 사람은 섬서성에서 북경에 업무차 왔다. 손에 나무 북채 3개를 들고 아래에는 작은 북이 놓여있다. 북채를 북 위로 오르락내리락하며 연달아 치면서 노래한다. 여비를 마련하려고 동냥하는 것으로 강호에서 공연하는 것은 아니다.” 이 사례도 거지가 삼종고를 구걸하는 수단으로 삼아 타향을 떠돌아다녔기 때문에 이런 민간예술 형식이 광범위하게 전파됐다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각지의 유사한 곡예 형식이 서로 교류하고 참고하며 융화됐음도 알 수 있다. 우갑골(牛胛骨) 등을 치면서 반주에 맞춰 말하고 노래하며 구걸하는 것도 정통 민간예술이라고는 할 수는 없지만 비교적 큰 임시성과 무작위성을 갖추고 있다. 그런데 여러 ‘구걸하는 예술’ 중 반주로 박자를 맞추는 타악기는 민간에서 흔히 보이는 것으로, 이미 거지가 몸에 지니고 다니는 상징이 됐다. 거지의 간판이요 구걸하는 자들의 부호적인 특징이 됐다. 그런 부호적인 특징은 사람들에게 신분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면서 구걸하는 방식이다. 바로 그러한 성질을 기초로 끊임없이 새로운 모양새를 창출하였다. 다음과 같은 보도가 있었다. 음력 돼지해 정월 초하루 아침, 홍콩에서, 차 마시려는 손님이 찻집에 들렸는데 좌석이 하나도 없었다. 손님이 들어차 몸 붙일 데가 없었다. 망설이던 차에 그 지역 큰길 입구에서 전자 확성기를 틀고 하모니카를 불며 구걸하는 절름발이 노인이 보였다. 탁자를 점거해 신춘 차를 마시고 있었다. 10살 전후로 보이는 어린아이 1남 1녀가 흥을 돋우고 있었다. 식탁 위에는 찜통, 자기접시가 빽빽이 놓여있었다. 먹으면서 흥이나 분위기가 막 무르익고 있었다. 알고 보니 명성이 자자한 ‘전자 거지’가 아닌가. 이웃사람이라 서로 안면이 있었다. 알아본 늙은 거지가 급히 자리를 하나를 비워 차를 마시려는 손님을 앉혔다. 이야기를 나눠보니, 옆에서 필사적으로 새우를 먹고 있는 소년 3명은 음력설 기간에 구걸한, ‘장사’가 번창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하루에 30원을 받으며 ‘전자 거지’를 도와주는 동업자가 되어 있었다. 늙은 거지가 최근에 또 새로운 방법을 고안해냈다고 한다. 크기가 서로 다른 고무통 7개를 가지고 구걸할 때 돌아가면서 두들기니, 고저가 다른 음가를 내면서 아프리카 산림 중에 흑인 부락이 내는 북소리와 비슷하였다. 길 가던 사람들이 기묘한 소리에 이끌려 에워싸서 구경하면서 1원이나 50전을 던져주었다. 수입액이 굉장하여 어린 동료들에게 한 턱 낸다고 하였다. “그들은 정월 초하루부터 초이렛날까지 나를 따라 중환 부두에서 천교 밑까지 구걸하러 다녔지요. 장사가 너무 잘되니 그들에게 상금을 내리는 겁니다요.” 늙은 거지가 말을 꺼내니 엄숙하고 위엄 있는 사장의 모습으로 돌아갔다. 북을 치면서 구걸하는 유형의 거지가 좋은 구상을 생각해내어, 새로운 방식으로 전환시키면서 많은 액수를 벌 수 있었다는 이야기이다. 발상의 전환으로 새로운 형태로 변형시켰고 동료들을 고용하여 서로 도우면서 구걸해 좋은 결과를 도출해냈던 것이다. <다음편으로 이어집니다.> ☞이권홍은? =제주 출생. 한양대학교 중어중문학과 학사, 대만 정치대학교 중문학과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중국현대문학 전공자로 『선총원(沈從文) 연구』와 『자연의 아들(선총원 자서전)』, 『재미있는 한자풀이』, 『수달피 모자를 쓴 친구(선총원 단편선집)』, 『음식에 담겨있는 한중교류사』, 『십삼 왕조의 고도 낙양 고성 순례』, 『발자취-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찾아가는 여정』 등 다수의 저서·논문을 냈다. 현재 제주국제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굿(의례)은 의례 공간, 집전자(매개자), 대상자(주체), 내용(주제)과 형식(절차별 퍼포먼스) 등으로 이루어진다. 제주에서 행하는 공동체 의례인 본향당(本鄕堂)은 마을 공동의 신당(聖所)인데 일종의 마을 수호신을 모시는 곳이다. 마을신의 이름은 ‘본향’ 또는 ‘본향한집’으로 불리는데 해당마을의 조용한 곳에 좌정하여 마을을 지켜준다. 이 신은 호적, 물고(物故, 재물), 인명과 가축의 보호, 아이들의 생육, 출타하는 사람들의 안전 등 마을의 생명, 재산을 재앙으로부터 보호해주는 역할을 한다. 본향당에서는 정기적으로 굿(의례)을 행하는데 산간지역(목축신)과 해안지역(용왕신)이 산업적인 차이가 있어서 굿 내용이 조금 달라지지만, 전체적으로 의례는 신당(성소:의례 공간), 집전자(심방), 단골(마을 신앙만), 신화(신들의 이야기), 점복(占卜, 예언적 퍼포먼스), 신과 단골의 어울림(난장)으로 의례가 끝이 난다. 먼저 심방은 하늘에 있거나 만물에 깃든 신을 불러들이고, 그 신들을 배불리 먹인 후 무악으로 회포를 푼 뒤 단골 신앙인들이 요구를 제시하고, 신은 이 요구를 들어줌으로써 마을의 닥쳤던 재앙이나 다가올 액(厄)을 미리 막아준다. 이 과정에서 심방은 춤과 사설로 신과 단골 신앙민을 매개하여 신을 즐겁게 하고, 단골 신앙민을 안정케 한다. 굿의 과정은 율동과 음악과 사설이 동원되어 볼거리, 스토리텔링, 신성함, 스트레스 해소 등의 모든 과정이 풀어진다. 굿은 과학기술시대가 아닌 고대로부터 내려오는 전승의례지만, 신당(극장), 제일(祭日, 상영일), 구술(시나리오)과 집전자(큰심방은 감독 및 주연, 작은 심방들은 배우), 몸짓(액션), 다수의 의례 도우미인 소미(小巫, 스텝) 단골 신앙민(관객), 어울림 마당(놀이) 들로 이루어지는 굿의 구조는 오늘날 영화체제와 무척 닮았다고 할 수 있는데 과거 전통시대의 연극·영화라 해도 틀린 말은 아닐 것이다. 영화는 과학기술의 집약된 종합예술로서 무성영화 시대를 거치고, 흑백시대를 넘어 컬러시대, 동시녹음 시대, 컴퓨터 그래픽, 3D 입체영상 등으로 확장되었고, 지금도 지속적으로 진보하고 있다. 영화의 구조가 제작사(마을), 감독(집전:큰 심방), 배우(다수의 소미들), 시나리오(신화나 마을 설촌 유래, 사건), 상영관(본향당), 관객(마을 신앙민), 내용에 대한 흥미와 교감(난장), 흥행(단골들의 굿에 대한 평가·소문)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의례와 영화가 시대적으로 큰 격차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구조적인 요소가 닮았다는 것은 어느 시대건 볼거리, 들을 거리, 풀 거리(욕망의 해소)가 있으며, 의례와 영화가 당대의 이데올로기를 전파하고 재생산하고 있다는 점에서 굿과 영화는 알튀세르가 말하는 이데올로기 국가 장치일 뿐이다. 그러나 이데올로기 기능과는 다르게 굿 의례와 영화에서 나타나는 공통적인 특징을 말한다면 ‘놀이’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굿에서의 놀이는 희로애락을 승화시키는 유희적 요소인데 억압된 기분을 푸는 효과를 줌으로써 대중(단골)의 흥미를 유발한다. 영화는 이야기 전개, 액션, 사랑, 비극 등 인간사에서 있음 직한 사건을 통해 흥미를 주고, 관객들을 카타르시스를 통해 감정을 추스른다. 만약에 의례와 영화에 놀이적 요소가 없다면 인간의 욕구들은 경직되거나 숨 막히게 되고, 의례나 영화는 흥행에 실패하게 된다. 놀이는 삶 속의 욕망을 자극한다. 굿 의례가 놀이적 요소를 더욱 많이 도입하는 것은 집전자(무당/감독) 자기 능력을 과시하는 것이고, 그 능력이 객관적으로 증명되었을 때 관객(단골)이 늘어나는 것이다. 또한 흥행의 문제는 굿 의례나 영화의 존폐에 직접적인 문제가 된다. 굿이 재미없고 영험하지 않다고 단골들이 판단하게 되면 마을굿의 집전자(감독)는 교체되기도 하고, 단골 집안의 굿(상영관)도 다른 심방(감독)에게 뺏기게 된다. 그래서 심방들은 단골 관리를 위해 평소 신경을 많이 쓰고 굿 의례도 노력해 영험다움과 흥미를 유발하는 것이다. 영화 또한 관객들로부터 소외되었을 때 제작자나 감독의 어려움은 굿 의례에서 보는 바와 다르지 않다. <다음편으로 이어집니다.> ☞김유정은? = 최남단 제주 모슬포 출생이다. 제주대 미술교육과를 나와 부산대에서 예술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미술평론가(한국미술평론가협회), 제주문화연구소장으로 일하고 있다. 저서로는 『제주의 무신도(2000)』, 『아름다운 제주 석상 동자석(2003)』, 『제주의 무덤(2007)』, 『제주 풍토와 무덤』, 『제주의 돌문화(2012)』, 『제주의 산담(2015)』, 『제주 돌담(2015)』. 『제주도 해양문화읽기(2017)』, 『제주도 동자석 연구(2020)』, 『제주도 산담연구(2021)』, 『제주도 풍토와 문화(2022)』, 『제주 돌담의 구조와 형태·미학(2022)』 등이 있다.
풍수에서 산천의 국세를 갖춘 명당의 요소를 풍수 용어로 사신사(四神砂)라고 한다. 주택이나 마을 더 나아가 도시를 중심으로 전후좌우에서 가깝게 감싸주는 주변의 산이나 지형지물로 인해 혈장 주변의 포국(布局)이 이루진 것을 가리킨다. 풍수적인 용어로 왼쪽에서 감싸거나 호위하는 지형지물이나 산을 청룡(靑龍), 오른쪽에서 감싸거나 호위하는 산이나 지형지물을 백호(白虎), 맞은편으로 마주 보이는 산이나 지형지물을 주작(朱雀) 또는 안산(案山), 뒤편에서 의지하고 있는 산이나 지형지물을 현무(玄武) 또는 후산(後山)이라고 한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왼쪽은 좌청룡, 오른쪽은 우백호, 맞은편 즉 향(向)은 남주작, 뒤쪽의 산을 북현무라고 부르는 이유이다. 결국 이 말은 뒤로는 산이나 언덕을 의지하고 앞으로는 물을 맞이해야 한다는 배산임수(背山臨水)를 이루어야 한다는 의미이고, 좌우로 청룡과 백호, 즉 용호(龍虎)가 기운이 모인 혈장을 감싸안은 형국이 되면 일반적으로 풍수적인 국세(局勢)가 이루어졌다고 하는 것이다. 풍수에서 좌향(坐向)의 개념은 절대방위가 아니라 상대적 방위라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용혈사수(龍穴砂水)의 조건, 즉 산(山)의 총칭인 용(龍), 풍수적 조건에 의해 기운이 요긴하게 모인 곳을 혈(穴), 혈장을 감싸거나 호위하는 주변의 지형지물이나 산을 사(砂), 하천이나 호수 등 물줄기를 가리키는 수(水) 등이 지리의 법에 조화되어 땅 기운, 즉 지기(地氣)가 살아 숨 쉬는 형세를 이룬 것을 의미한다. 용맥은 인체의 혈관과 같고 용은 인체의 수족에 비유된다. 산천의 기운이 잘 응결된 명당의 풍수 국세는 치유를 목적으로 한 힐링 풍수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으며, 풍수적으로 조화를 이룬 자연의 생태환경을 통해 심신을 건강하게 하는 장소로 활용될 때 생소하게 느껴졌던 힐링풍수가 건강과 행복을 위한 심신 치유의 생활 문화로 자리 잡을 수 있다. 풍경이 수려하고 사세(四勢), 즉 청룡, 백호, 주작, 현무 등의 요소를 두루 갖춘 소위 명당이라고 하는 곳은 좋은 기운이 흘러와 모이는 밝고 아늑한 땅을 말한다. 산천을 형세나 모양, 기세 등을 위주로 살피는 형기론 관점에서 볼 때, 에너지의 두텁고 엷은 후박(厚薄), 맑고 탁한 청탁(淸濁), 강하고 약한 강약(强弱), 굳세고 부드러운 강유(剛柔) 등 지형과 지세의 특징에 따라 살 곳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풍수는 산천의 조화로운 환경을 선택하거나 입지(立地)의 허실(虛實)이나 장단점을 보완하여 인간의 삶에 자연의 생명력을 보다 더 나은 조건으로 유도하는 기(氣)의 학문이다. 밝은 기운이 잘 모이는 풍수의 명당은 형국이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기장(氣場)이 최적의 상태이고 거친 바람을 감추거나 막아주어 기운이 흩어지지 않게 하는 장풍(藏風)의 요소와 좋은 기운이 모이게 하는 취기(聚氣)의 실제적인 효능을 갖추고 있다. 풍수적으로 좋은 곳은 외관상 에너지가 미치는 기장이 좋고 산과 물이 수려하고 수목이 울창하다. 양택이나 음택 등 기운이 잘 모이는 명당을 찾아 구산(求山)을 할 때 산 생김새의 외부적 경관을 중요시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참다운 혈(穴)이 있는 곳은 산 생김새가 수려하고 전면이 반드시 열려있다. 사세(四勢)가 반드시 서로 호응하고 바람을 꼭 감추고 온화하며 경관이 훌륭하고 일조량과 온도가 적당한 곳이다. 산 생김새, 즉 본신(本身)은 바로 풍경을 이루는 중요한 성분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풍수와 풍경은 교착과 중첩의 관계로서 다방면의 공통성을 지니고 있다. 풍수의 이상적인 환경은 주로 산과 물의 구성이며, 그중에 물은 생기의 근원이라 할 수 있다. 옛 고서인 『수룡경(水龍經)』에도 “혈은 모름지기 산에 있고, 화복은 물에 있다.”, “산은 아내와 같고, 물은 남편과 같으며, 아내가 남편을 따르는 것이 귀하다.”, “무릇 돌은 산의 뼈대이고, 물은 산의 혈맥이 된다.”라는 구절이 있다. 따라서 풍수 환경이라는 것은 모두 산과 물의 배치 관계에 관한 연구이며, 이를 일정한 풍수 공간의 구조에 조합시킨 것을 말한다. 대개 명당의 위치한 주택은 산세가 수려하고 산과 물이 정겹고 한눈에 보아도 편안한 지세에 자리 잡고 있다. <다음편으로 이어집니다.> ☞ 신영대는? = 대한풍수연구학회 편집위원장, 한국역술인협회 공인 역학연구원이다. 중문학 박사와 풍수학자로서 ‘제주의 오름과 풍수’, ‘명리학원리대전’, ‘풍수지리학 원리’, ‘전원시인 도연명 시선', ‘흰 구름 벗을 삼아 읽어보는 당시선’ 등 다수의 저서를 냈다. '한라산 총서'의 구비전승·지명·풍수 분야와 ‘세계자연유산지구 마을일지 보고서’ 중 풍수 분야 공동 집필자로도 참여한 바 있다. 또 제주도 각 마을 '향토지' 풍수 부문에 공동 집필자로 참여하고 있다. 현재 제주관광대 관광중국어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운남(雲南)의 요안(姚安), 대요(大姚), 경안(景安) 등지에서 유행하는 ‘요안 연화락’은 청나라 함풍, 동치 연간에 사천(四川)의 거지가 전래했다고 한다. 강서(江西) 대부분 지역에서 유행하는 ‘강서 연화락’(일명 ‘타(打)연화’)은 강소(江蘇), 절강(浙江)에서 강서로 가서 구걸하던 거지가 전했다고 한다. 호남(湖南) 각지에서 유행하는 ‘연화뇨(鬧)’는 외성의 거지가 구걸하면서 호남으로 흘러들어가 전파했다고 한다. 호남에서 즉흥적으로 작사하고 편곡하는 구걸 형식과 공연 예술은 악곡(樂曲)체와 시찬(詩贊)체로 나뉜다. 형산(衡山) 일대에서 유행하는 형식은 악곡체로, 연창 때에 말을 위주로 하고 노래가 뒷받침 한다. 말을 하면서 압운하고 판을 치면서 박자를 맞춘다. 노래는 친자(襯字)1)나 어기사(語氣詞)를 덧붙이면서 악기로 반주한다. 시찬체는 장사(長沙) 등지에서 유행하였다. 문장식 구조는 ‘수래보(數來寶)’2)와 같다. 1인이나 2인이 연창하고 대나무판으로 반주를 맞춘다. ‘장사 쾌판(快板)’이라하기도 한다. 검양(黔陽)에서 유행하는 ‘연화뇨’는 악곡체에 속한다. ‘흥륭사(興隆沙)’라 부르기도 한다. 『청패류초·거지류·이아칠창연화락이행걸(李阿七唱蓮花落以行乞)』의 기록이다. “거지가 대나무를 3촌 정도, 2쪽으로 잘라 줄로 그 끝을 묶고서는 손가락으로 비틀어 돌리며 소리를 낸다. 노래로 장단을 맞추는데 가련한 거지 신세를 한탄하거나 송축하기도 기도하기도 하면서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연화락’이라하기도 하고 ‘연화뇨’라고하기도 한다. 읊는 내용이 천박하고 비루하며 허황되고 무람없어 거의 다 귀에 거슬리는 말들이다. 소주(蘇州)에 이아칠이 있는데 유독 노래가 뛰어났다. 시내로 들어갈 때마다 상점 앞에서 노래 부르는데 싫어하는 사람이 없었다. 노래 부르라 초청하는 사람도 있었는데 그러면 당연히 곧바로 영합해 줬다.” ‘연화락’을 하면서 구걸하는 기본 상황과 가지고 다니는 악기 형상은 알 수 있지만 각지에서 어떻게 시작됐는지는 설명해주지 못하고 있다. 북경에는 옛날에도 그런 거지가 있었다. 예를 들어 ‘연귀래이주인(燕歸來簃主人)’이 수집한 『연시부판쇄기(燕市負販鎖記)』의 기록이다. “「연화락」을 부르며 판을 치는 것은 상등 거지다. 황문(黃門), 홍문(紅門)이라는 갖가지 명사를 가지고 있다. 설이나 명절이 올 때마다 각 상점의 문 앞에서 노래한다. 노래가 끝나면 반드시 수백 문을 주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도당을 불러 들여 문 앞을 에워싸 시끄럽게 노래하며 열흘 보름이 되도록 그치지 않는다. 이때 십 조(吊) 팔 조를 줘도 떠나지 않는다. 근래에 경찰청에서 움직이니 그런 악풍은 이제는 형체도 없이 소멸되었다.” ‘연화락’이 각지의 민간 곡예 곡종이 된 후에 민국시기에 이르렀어도 관례대로 구걸하는 방식이 계속됐음을 알 수 있다. 북경과 같은 그러한 큰 도시도 예외는 아니었다. 십불환(十不閑)3)하면서 구걸하는 방식 이런 구걸 방식은 늦어도 청나라 강희 연간(1662 ~ 1722)에 이미 북경 등지의 거리와 골목에 출현하였다. 북경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는 민간 예인 회화 『북경민간생활채도』 제24폭, 「소십불한걸개도(小什不閑乞丐圖)」의 제사(題詞)는 이렇다. “이것은 중국 십불한 거지 그림이다. 분말로 밉상을 만들고 나무 상자에 작은 북, 대문 고리를 담아 치면서 노래한다. 동전을 얻으려는 것일 뿐이다.” 이른바 ‘십불한’은 간편하면서 신기하고 재미있게 만들어, 쉽게 움직이면서 공연해서 손님을 모으고 동냥하는 방법이다. 반주를 맞추며 말하기도 하고 노래하기도 한다. 이성진(李聲振)은 『백희죽지사(百戲竹枝詞)』에서 십불한을 ‘봉양부인의 노래(鳳陽婦人歌)’라고 하였다. 일리 있는 말일 수는 있지만 근거를 제시하지 못했다. 일리 있다는 뜻은 형상, 방식이 ‘봉양(鳳陽)화고(花鼓)’와 유사한 점이 많기 때문이다. 청나라 말기에 ‘십불한’을 ‘태평가사(太平歌詞)’라 하였다. 나중에 ‘십불한’과 ‘연화락’이 융합해 ‘분분연화락(紛扮蓮花落)’이라 불렀다. 그런 ‘분분연화락’은 바로 『북경민간생활채도』 중의 「소십불한」 이다. 또 청나라 무윤불(繆潤紱)의 『심양백영(瀋陽白詠)』 제14수는 이렇다 : “유등과 달이 서로 눈부시게 빛나며 팔관을 비추네. 반룡이 기예가 무르익으니 싸움에 능란하다. 징과 북 치며 야경을 도니 달구지 떠나고 떠들썩한데다 십불한이 더해지네.” 말미에 평어를 썼다. “원소절 전후의 풍속에 따르면 본토박이들은 잡분, 용등, 사자놀이 등 여러 유희로 봄바람을 다툰다. 교묘한 춤과 맑은 노래는 일시에 각각 최고조에 이르렀다. 또 이른바 십불한을 하는 자가 있는데 품격이 하품이다.” ‘십불한 하는 자’를 ‘용등, 사자놀이 등 여러 유희’의 부류라, 본래 ‘속악, 속기’에 속하는 ‘하품’이라고 하였다. 이 말에서 당시 성경(盛京)의 거지들도 예전처럼 ‘함께 모여 떠들썩하게 즐겼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른바 십불한을 하는 자’는 거지 부류에 속한 속기와 민속 오락을 기예로 하는 사람이다. <다음편으로 이어집니다.> 1) 친자(襯字), 운율(韻律)상 규정된 자수(字數) 이외에 가사(歌詞) 또는 가창(歌唱)의 필요에 의해서 덧붙이는 글자다. 예를 들면, 백모녀(白毛女)의 ‘북풍이 불어와 눈꽃이 휘날리네.’ 뜻인 ‘北風(那个)吹, 雪花(那个)飄’에서 ‘나개(那个)’가 바로 ‘친자(襯字)’에 해당한다. 2) 수래보(數來寶), 혹은 수백람(數白欖), 중국 특유의 곡예(曲藝)다. 예술표현 형식의 일종이다. 일반적으로 혼자서 하거나 둘이서 함께 하기도 한다. 진행의 방식은 ‘낭독’ 방식이다. 낭독하는 내용은 일이 생기기 전에 준비해야 할 것이나 현장에서 순간순간 반응하는 두 가지가 있다. 공연하는 사람은 매구마다 통하는 숫자, 박자, 유머를 적절히 섞는다. 듣기 쉽고 이해하기 쉬운 문장으로 청중을 즐겁게 하는 목적을 가지고 공연한다. 간단히 말해 장타령으로, 두 개의 골판이나 참대쪽에다 방울을 달고 그것을 치면서 하는 타령이라 이해하면 쉽다. 3) 십불한(十不閑, 혹은 什不閑(儿)), 잡기(雜技)의 일종이다. ‘연화락(蓮花落)’에서 발전해 이루어진 것으로 징·북·심벌즈 따위를 한 사람이 반주하면서 노래하는, 설창(說唱)의 한 가지다. ☞이권홍은? =제주 출생. 한양대학교 중어중문학과 학사, 대만 정치대학교 중문학과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중국현대문학 전공자로 『선총원(沈從文) 연구』와 『자연의 아들(선총원 자서전)』, 『재미있는 한자풀이』, 『수달피 모자를 쓴 친구(선총원 단편선집)』, 『음식에 담겨있는 한중교류사』, 『십삼 왕조의 고도 낙양 고성 순례』, 『발자취-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찾아가는 여정』 등 다수의 저서·논문을 냈다. 현재 제주국제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곡조에 맞춰 대나무판, 목판, 소 갑골(胛骨)과 같은 종류를 손에 들고 다니기도 했다. 타악기나 간단한 악기 종류로 반주하면서 입으로는 상응하는 가요, 곡사를 음송하거나 연창하면서 구걸하였다. 흔히 보이는 여러 형식은 다음과 같다. 대나무판(竹板)을 치면서 구걸하는 방식이다. ‘고답판(呱嗒板儿, 박판)1)을 연주하는 거지’다. 현재에도 자주 보이는 구걸 방식이다. 대나무판을 치면서 구걸하는 방식이 언제 어디에서 시작됐는지 고증하기는 쉽지 않다. 복건성 서쪽 객가인(客家人)이 거주하는 지역에서 유행하였고 200년의 역사를 간직하고 있다고 전한다. 대나무판은 길이 18센티미터, 넓이 3센티미터 정도, 두께 0.5센티미터, 서넛 조각을 줄로 연결시켜서 만든다. 양손에 들고 다니고 오른 손에는 두 조각을 잡는다. 상반부는 톱니 형태다. 타법은 단타법, 잇달아 끊이지 않게 치는 법, 톱을 켜듯 긁어 소리 내는 법 등이 있다. 한 손에 대나무판 두 쌍을 함께 잡고 다른 손에는 여러 대나무판을 엮어 만든 ‘쇄취자(碎嘴子)’를 잡고, 손가락 사이에 이빨 형태의 대나무막대를 끼워서 연주하기도 한다. 각 지역마다 유행하는 형태와 연주법이 각각 다르다. 연주하면서 말하기도 하고 노래하기도 한다. 창사는 7언 5구나 7언 4구가 주를 이룬다. 객가(客家) 지역은 5구가 주를 이루어서 ‘오구판’ 혹은 ‘오구락판(五句落板)’이라 부르기도 한다. 거지들이 구걸하려고 기예를 파는 방식이기에 ‘걸식가(乞食歌)’, ‘고화가(告化歌)’, ‘강호조(江湖調)’라 불리기도 한다. 나중에는 민간 곡예의 곡종(曲種)으로 발전하였다. 물론 아직도 길거리에서 연주하면서 구걸하고 시장에서 기예를 팔아 음식과 바꾸는 거지의 생계유지 수단임은 분명하다. 하북과 산동 일대에서 유행하는 ‘염산(鹽山) 죽판서(書)’, ‘임구(任丘) 죽판서’ 등 곡예의 곡(曲)도 원래 거지들이 하던 ‘창가(唱街)’, ‘흘가(吃街)’나 혼례를 거행할 때 부르는 ‘희가(喜歌)’의 구걸 방식에서 나와서 나중에 점차 민간 곡예 예술품으로 변화된 것이다. 청나라 동치, 광서 연간에 북경에서 유명한 민간 설창 예인인 주소문(朱少文)이 북경 천교 등에서 노점을 차릴 때마다 대나무판을 두드리며 말하기도 하고 노래하기도 하는 형식을 채용하였다. 그가 사용하는 대나무판 한쪽에는, “하루에 천이나 되는 집의 밥을 먹고 밤에는 옛날 사당에서 잠을 자네.” 다른 한쪽에는, “법을 범하지 않으니 무슨 군왕을 만날까 걱정하랴.” 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었다. 이런 ‘궁불파(窮不怕)’(궁핍해도 두렵지 않다)라는 예명의 설창 예인도 기예를 팔면서 구걸하는 거지와 다름없었다. 거지나 예인이나 원래 그게 그거였다. 사실 예인(藝人)이란 현재에도 여러 가지 기예를 닦아 남에게 보이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으로 배우, 만담가, 곡마사와 같은 사람을 이른다고 하지 않는가. 연화락(蓮花落)을 연주하면서 구걸하는 방식 거지가 ‘연화락(蓮花落)’을 연주하면서 구걸하는 방식은 송나라 때에 이미 출현하였다. ‘연화락’의 원래 한자는 ‘연화락(蓮花樂)’이다. ‘락(落)’은 ‘락(樂)’의 전음이다. 불교 어록 『속전등록(續傳燈錄)』 제23 「유도파(兪道婆)」의 기록이다. “하루는 거지가 「연화락(樂)」을 읊는 소리를 들었다. ‘유의(柳毅)가 편지를 전하지 않았는데 무슨 까닭에 동정호에 왔는가.’ 갑자기 대오하였다.” 송나라 때 승려 효영(曉瑩)의 『나호야록(羅湖野錄)』 권2의 기록이다. “금릉에 유도파가 있다. ……하루는 거지가 「연화락(樂)」을 시장에서 읊었다. ……갑자기 깨달아 자기도 모르게 크게 웃었다.” 두 가지 기록 모두 ‘연화락(蓮花樂)’이었음을 증명하고 있다. 나중에는 ‘연화락(落)’으로 기록된다. 예를 들어 『고금잡극(古今雜劇)』에 기록된 원나라 때 장국빈(張國賓)의 「합한삼(合汗衫)」극 제1절이다. “이 높은 저택은 분명 착한 사람의 집일 터이니. 달리 방도가 없으니, 내가 「연화락(落)」을 불러 먹을 밥을 구걸하여야겠다.” 진간부(秦簡夫)의 「동당로(東堂老)가 파산한 자제에게 권하다」 극 제1절의 기록이다. “너 젊어서 북채를 휘두르지 말고 「연화락」 연구하는 걸 배우라.” 정정옥(鄭廷玉) 『포대화상인자기(布袋和尙忍字記)』의 설자 기록이다. “대부호가 아닌가? 내가 먹을 차나 밥이 있는지 물어보리라. …… 「연화락」을 불렀노라. 1년 봄이 다 지나니 1년 봄이 오도다.” 지금은 모두 ‘연화락(落)’이라 한다. 그런데 어떻게 쓰든 간에 ‘연화락’이라는 말은 쓰기 시작할 때부터 예외 없이 생계를 유지하려고 구걸하는 수단이었다. 거지가 곳곳으로 돌아다니기에 유동성이 강하다. ‘연화락’도 통속적이었다. 쉽게 공연할 수 있고 사람들이 쉽게 받아들일 수 있는, 말하기도 하고 노래하기도 하는 설창 예술 형식이어서 광범위하게 유행하였다. 이제는 ‘연화락’이 최초에 어느 지역에서 발생했는지 쉽게 이야기하지 못하는 지경이 되었다. <다음편으로 이어집니다.> 1) 고답판(呱嗒板儿), 박판으로 중국 전통극인 쾌판을 할 때 리듬을 맞추는 악기로, 대나무 조각 두 개를 끈으로 묶어져 있는 형태다. ☞이권홍은? =제주 출생. 한양대학교 중어중문학과 학사, 대만 정치대학교 중문학과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중국현대문학 전공자로 『선총원(沈從文) 연구』와 『자연의 아들(선총원 자서전)』, 『재미있는 한자풀이』, 『수달피 모자를 쓴 친구(선총원 단편선집)』, 『음식에 담겨있는 한중교류사』, 『십삼 왕조의 고도 낙양 고성 순례』, 『발자취-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찾아가는 여정』 등 다수의 저서·논문을 냈다. 현재 제주국제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의례에는 삶과 죽음이라는 갈림길에서 개인 중심으로 펼쳐지는 통과의례와 사회적 통합의 이데올로기를 작동시키는 사회적 의례인 세시 의례가 있다. 이 통과의례와 세시 의례 모두가 사회적 통합을 위한 하나의 이데올로기 국가 장치로서 임무를 수행한다. 의례를 사회의 모든 영역으로 확대해보면 무수한 제도 속에는 의례가 변형됐거나 의례의 본질을 내포하고 있는 의례적 요소들이 산재해 있다. 예를 들면 제사, 기념식, 졸업식, 마라톤 대회, 스포츠 대회, 기획된 축제, 열병식 등이 있다. 전통사회의 윤리나 가치들이 자본주의적으로 변형되는 것은 당연하지만, 그래도 근본적으로 의례의 기능은 소멸하지 않는다. 오늘날 성인식과 다를 바 없는 과거의 관례(冠禮)나 계례(髻禮) 형식은 주민등록증으로 대체되었지만, 여전히 통과 의례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성인식과 같이 주민등록증을 받는 순간 미성년자가 아니라는 것, 그 즉시 사회적인 효력(법적 효력)을 가질 수 있고 미성년자 금지구역을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다는 것은 통과의례가 제도화된 것일 뿐이다. 예전에는 개인의 생일 즉 왕이나, 대비, 왕세자의 생일(탄신)들은 국가의 대사(大事)로 생각하여, 이를 기념하기 위해서 과거를 치르거나 죄인을 사면해 주기도 하고, 공로자를 포상하는 등 국가 차원의 기념행사를 치렀다. 이러한 예는 오늘날에도(대통령 생일은 국가 의례에서 생략) 다른 형태로(광복절, 현충일) 여전히 존재한다. 반대로 오늘날은 민주주의라는 진보적 이념 때문에 개인의 가치가 존중되고 있는데 특히 개인의 생일은 작은 의례들의 현재 스타일로 변형된 의례이다. 통과의례의 한 형식인 생일축하식은 과거처럼 크게 의례에 규정을 받지는 않지만, 대체로 그 유형이 규정돼 있다. 친구들을 만나 생맥주를 마시고, 케이크를 자르며, 영화를 보러 가는 식의 경우를 생각해 보면, 어떤 형태로든지 기념해야 될 것과 기념하는 방식의 차이는 있어도 의례의 본질이라고 할 수 있는 ‘기념성’이라는 것은 사라지지 않았다. 또 전통시대의 학교인 향교의 기능은 의례의 기능을 설명하는데 매우 적절하다. 향교는 유교의 학문을 전파하는 이데올로기 국가기구로서 그곳에서 행해지는 의례는 유교의 사상을 실천하고 증명하고 세습하게 만드는 현장인 셈이다. 그러기 때문에 의례공간에 모셔진 훌륭한 조상들과 그것을 기리는 후손들은 제례를 통해 정신적으로 교감하며, 이 법통은 지역 공동체 사회의 입지를 구현할 수 있는 토대를 생산하는 혈연 이데올로기로 기능한다. 나아가 향교가 이념화화고 전파시키는 지배체제의 관념은 가문과 혈통의 이데올로기를 통합하는 가묘와 묘지라는 의례공간에까지 영향을 미치며, 향교가 구축하는 이데올로기 국가장치의 역할을 포기하지 않는 한 향교의 의례공간은 ‘정치적 장식’이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다음편으로 이어집니다.> ☞김유정은? = 최남단 제주 모슬포 출생이다. 제주대 미술교육과를 나와 부산대에서 예술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미술평론가(한국미술평론가협회), 제주문화연구소장으로 일하고 있다. 저서로는 『제주의 무신도(2000)』, 『아름다운 제주 석상 동자석(2003)』, 『제주의 무덤(2007)』, 『제주 풍토와 무덤』, 『제주의 돌문화(2012)』, 『제주의 산담(2015)』, 『제주 돌담(2015)』. 『제주도 해양문화읽기(2017)』, 『제주도 동자석 연구(2020)』, 『제주도 산담연구(2021)』, 『제주도 풍토와 문화(2022)』, 『제주 돌담의 구조와 형태·미학(2022)』 등이 있다.
남송 때 임안(臨安, 현 항주)의 와사(瓦舍) 구란(句欄) 중의 기악(妓樂)은 노래를 팔며 구걸하는 거지가 전업화된 형태에 속한다. 송나라 때 오자목(吳自牧)의 『몽양록(夢粱錄)』 19권 『와사(瓦舍)』의 기록이다. “와사(瓦舍)라는 것은, 올 때는 깨진 기와를 서로 맞추는 것처럼 몰려오고 떠날 때는 기와 무너지듯 사라진다는 의미다. 쉽게 모이고 쉽게 흩어진다. 언제 시작됐는지는 모른다. 요즈음 경사는 사대부와 서민이 걷잡을 수 없이 방탕하게 노는 곳이 되었고, 자제들이 유락에 빠져 자신을 무너뜨리는 장소가 되었다. 항주와 소흥 사이에 제왕이 나들이 도중에 잠시 머무르는 곳이 있다. 전암양(殿岩楊)과 왕인(王因)의 군사 대부분은 서북사람이다. 성 내외에 왕사를 창립해 기악을 모으고 군졸에게 휴가 때 즐기는 장소로 제공하였다. 이후 명문자제 귀공자들이 그곳에서 방탕하게 놀면서 자신을 파괴하니 변도(汴都)보다도 심하다. 항주의 와사는 성 내외에 17곳에 이른다.” 같은 책 20권 『기악(妓樂)』의 기록은 이렇다. “시가에 음악가 서너너덧 명이 팀을 이루어, 여자아이 한두 명을 들어 올려 춤추고 사(詞)를 노래하면서, 길거리를 따라 재주 부리며 장사한다. 설날에 등불을 밝히고, 봄 석 달 동안은 회관에서 즐기며 구경한다. 호수를 거닐며 조수를 구경할 때 주루나 유흥가, 기녀 집에서 응대하지만 받는 돈은 많지 않다. 이를 황고판(荒鼓板)이라 한다.” 모두 노래를 팔며 구걸하는 부류에 속한다. 일반적으로 길거리나 객점에서 노래를 파는 것과 비교하면 내용이나 방식이 복잡하고 복장 등이 화려했다. 여색을 팔기도 하였다. 기록에 따르면 노래를 팔며 구걸하다가 부자가 된 경우도 있었다. 청나라 말기에 오회(吳會)가 고향인 거지가 있었다. 육칠 세에 부친을 잃고 모친을 따라 바느질하며 살아갔으나, 생계를 유지하기 힘들어 오래지 않아 거지가 되었다. 사람이 총명하여, 은은하며 구성진 자신의 목소리로 노래를 부르며 구걸하였다. 이후 세월이 쌓이니 점차 부유해지기 시작했다. 거상보다도 많은 돈을 모을 수 있었다. 성인이 된 후 부친의 유업을 이어받아 신발가게를 차렸다. 청나라 말기 민국 초기에, 노래를 팔면서 구걸하는 거지가 비교적 많았다. 길거리와 골목을 돌아다니며 노래하면서 구걸하였다. 심지어 저택에 불려가 노래하기도 했다. 당시 유행하던 은어 중에 몇 가지를 보면 전체 흐름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렇다 : 민가를 부르면서 구걸하는 것을 소리(響子)를 부르다 ; 소라를 울림, 징을 소리판 ; 점포를 높은 가게 ; 주인을 점포 두목 ; 구걸하는 것을 기와처마에 가까이 가다 ; 노래 부르는 소곡을 편자(片子) ; 향촌을 개 소굴 ; 주택을 가마 구멍 ; 호화주택을 높은 개 소굴 등등으로 불렀다. 이런 은어 코드로 구성된 언어의 뜻을 보면 노래를 팔며 구걸하는 거지들의 처지와 심리, 감정을 쉬이 감득할 수 있다. 옛날 북경 거리에는 남녀 맹인이 맹인용 지팡이를 짚고 악기를 가지고 연주하면서 구걸하였다. 북을 치며 구걸하는 걸인도 있었다. 모두 노래를 팔며 구걸하는 부류다. 어떤 사람들은 피서 하거나 대소사가 생겼을 때 맹인 예인을 불러 공연하였다. 노래 한 단락마다 2,3각, 혹은 몇 시간에 얼마를 주는 포천(包天)으로 계산해 줬다. 노래하는 소곡은 북경의 일이 대부분이었다. 예를 들면, 『탐청수하(探淸水河)』, 『왕우전(王友全)을 총살하다』 등, 『고금기관』 중 한 단락, 즉 『두십낭(杜十娘)이 격노해 백보상을 물에 가라앉히다』, 『교(喬)태수가 제멋대로 남녀 혼사를 맺어주다』, 『김옥노(金玉奴)가 박정한 남편을 때리다』 등이다. 서하대고(西河大鼓, 서하 지역의 곡(曲)으로 큰 북을 치면서 노래하는 민간 예술의 하나), 낙정대고(樂亭大鼓, 북방 지역의 곡(曲)으로 북을 치면서 노래하는 민간 예술의 하나), 매화대고(梅花大鼓)1), 고음연탄(五音聯彈, 4명의 악사들이 나와 서로의 손을 교차해 옆 사람의 악기를 켜면서 5개의 현악기를 연주) 등으로 생동하며 다채롭다. 살 길을 찾아 걸식하는 것이 목적이기에 노래를 팔면서 구걸할 때에는 때때로 노래에 국한되지만은 않는다. 사람들이 좋아하는 희곡 곡예까지 겸하기도 하였다. <다음편으로 이어집니다.> 1) 매화대고(梅花大鼓), 곡예(曲藝, 중국 설창 문예)의 하나로, 한 사람이 박자판을 치며 노래하고 두세 사람이 반주를 넣는다. 악기에는 ‘삼현(三弦)’, ‘비파(琵琶)’, ‘사호(四胡)’ 등이 있다. 노래 가사는 보통 일곱 자구와 열 자구로 되어 있다. 청(淸)나라 말기에 북경에서 생겨나 화북 일대에서 유행하였다. ☞이권홍은? =제주 출생. 한양대학교 중어중문학과 학사, 대만 정치대학교 중문학과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중국현대문학 전공자로 『선총원(沈從文) 연구』와 『자연의 아들(선총원 자서전)』, 『재미있는 한자풀이』, 『수달피 모자를 쓴 친구(선총원 단편선집)』, 『음식에 담겨있는 한중교류사』, 『십삼 왕조의 고도 낙양 고성 순례』, 『발자취-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찾아가는 여정』 등 다수의 저서·논문을 냈다. 현재 제주국제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땅에는 기운이 잘 모이는 땅과 기운이 잘 모이지 않는 땅이 있다. 명당은 용맥(龍脈), 즉 산줄기를 타고 흐르는 지맥이 이어져 생명력이 가득한 산천의 기운이 모인 곳으로 이러한 자리는 건강과 복을 얻을 수 있다. 명당의 입지와 환경은 지세가 포근하고 물이 잘 감싸 흐르는 양지가 바르고 사람이 살기에 아늑한 장소를 말하는 것이다. 풍수에서 용(龍)이라고 하는 것은 산의 능선이 상하로 높고 낮게 기복을 이루고 좌우로 구불구불하게 흘러 내려온 모습이 마치 꿈틀거리는 용의 모습과 같음을 의미하는 것인데, 그 변화무쌍한 형세로 이어진 산맥이 마치 풍운 조화를 일으키는 용의 모습에 비교한 것이다. 지맥(地脈), 즉 용맥이란 풍수지리에서 땅속에 있는 산천의 정기가 순환하는 토맥(土脈)을 말하며 지리적으로 말해 땅속 지층이 이어진 기맥(氣脈)을 가리키며 인체의 기혈(氣血)에 비교된다. 맥(脈)이란 본래 시각적으로 보이는 일반적인 산줄기를 말하는 것이 아니고 용맥을 타고 땅속으로 흘러 통하는 기(氣)의 통로를 말한다. 산세를 타고 온 지맥을 기운이 흐르지 않거나 약한 사맥(死脈)과 기운이 잘 흐르고 생동하는 생맥(生脈)으로 구분하는데, 생기를 타는 용맥 중에서 기운이 가장 집중되어 모이는 곳을 풍수지리에서는 혈(穴)이라고 하는 것이다. 풍수에서 보통 지세에 따라 음양의 생기가 유동하는 것이 마치 인체의 맥락에서 기혈이 흐르는 것과 같으므로 생기의 운행이란 측면에서 ‘맥’이라고 한 것이다. 사람의 인상을 관찰하는 것이 관상이라면 풍수지리는 땅을 살피고 음양의 허실을 관찰하는 지리 분야이므로 땅의 관상, 즉 상지술(相地術)이라고도 부른다. 혈(穴)이 맑으면 귀한 인품이 나고 혈이 흐리면 천한 인품이 난다고 여겼으며 지맥을 받아 기운이 모이고 산세가 맑고 아늑한 곳을 일명 명당(明堂)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룡, 백호, 주작, 현무가 잘 이루어지고 물길이 잘 감싸고 도는 포근하고 아늑한 지세의 적당한 곳을 말하는 것이다. 명당을 이루는 지맥의 흐름도는 다음과 같다. 집의 뒤쪽을 받치고 있는 주산(主山)이 어머니의 품처럼 포근하고 수려하며 단정한 곳이며 주위 사방에서 호위하는 산들이 있고 산맥이 평지 쪽으로 유유히 뻗어 내리흐르는 물가에서 그쳐 평평한 들판에 집터가 이루어진 곳을 말한다. 가장 좋은 곳은 일조량이 적당하고 통풍이 잘되며 적당한 거리를 두고 전후좌우로 동산이나 산이 감싸주는 포근하고 아늑한 곳이 이상적인 명당이라 말할 수 있다. ☞ 명당은 심신을 건강하게 하는 치유의 장소이다! 예로부터 배산임수(背山臨水), 즉 뒤로 산을 의지하고 앞으로 물을 맞이하면 건강장수(健康長壽)하고, 전저후고(前低後高), 즉 앞이 낮은 듯하고 뒤가 높으면 세출영웅(世出英雄)하고, 전착후관(前窄後寬), 즉 앞이 좁은 듯하고 뒤가 넓으면 부귀여산(富貴如山)이라고 했다. 밝은 기운이 모이는 명당은 혈(穴)과 사(砂)가 합한 곳으로써, 양택이든 음택이든 산천의 기운이 흩어지지 않고 한 곳으로 조화롭게 모인 취합국세(聚合局勢)를 이룬 것을 말한다. 산천의 기운이 잘 모이는 장소들을 활용하여 관광과 연계한 명당의 기운 받기라는 치유코스를 개발하여 지역의 발전을 도모함과 동시에 많은 사람들이 찾아오는 활기찬 마을로 만들어갈 수도 있다. 전통적인 풍수 이론에서는 바람을 음기(陰氣), 물은 양기(陽氣)로 여겼으며, 이 두 가지는 모두 기(氣)가 돌아다니는 물질이다. 기(氣)의 양(陽)이라는 것은 바람으로 유행하는 것이고, 기(氣)의 음(陰)이라는 것은 물로부터 움직이는 것이다. 따라서 이 ‘기(氣)’는 특유의 겸성(兼性)을 가지고 있는데 즉 바람을 타면 흩어지고 물의 경계를 만나면 그친다. 사람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바로 이 기(氣)가 모이면 살고 기(氣)가 흩어지면 죽는다. 이 때문에 “바람을 감추고 물을 얻는다. (藏風得水)”는 곧 풍수학설(風水學說)에서 말하는 ‘취기(聚氣)’의 근본이다. 이 가운데서 알 수 있는 것은 《역경》과 풍수학은 실제로 원(源)과 류(流)의 관계이다. 즉 근원과 파생의 관계이다. 한의학의 근본은 역시 음양오행의 이론을 바탕으로 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음양오행의 전체적인 기틀과 이론 위에서 건립된 것이다. 변별로써 인체의 음양가 허실(虛實), 표리(表裏), 한열(寒熱) 등을 주요 임무이며 따라서 인체 내부와 사람과 환경의 협조 관계이다. <다음편으로 이어집니다.> ☞ 신영대는? = 대한풍수연구학회 편집위원장, 한국역술인협회 공인 역학연구원이다. 중문학 박사와 풍수학자로서 ‘제주의 오름과 풍수’, ‘명리학원리대전’, ‘풍수지리학 원리’, ‘전원시인 도연명 시선', ‘흰 구름 벗을 삼아 읽어보는 당시선’ 등 다수의 저서를 냈다. '한라산 총서'의 구비전승·지명·풍수 분야와 ‘세계자연유산지구 마을일지 보고서’ 중 풍수 분야 공동 집필자로도 참여한 바 있다. 또 제주도 각 마을 '향토지' 풍수 부문에 공동 집필자로 참여하고 있다. 현재 제주관광대 관광중국어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이른바 ‘매예형(賣藝型)’ 거지는 본인의 특기나 능력으로 할 수 있는 기예를 자본으로 삼아, 관중을 불러 모으고 환심을 사면서 동냥하는 거지를 가리킨다. 옛날에 길거리에서 잡기, 무술, 곡예 따위의 기예를 팔아 생활하는 거지를 말한다. 강호에 나아가 기예를 파는 자의 개인 출신 성분, 사회배경, 처지 모두 대단히 복잡했다. 그중 거지는 항방(行幇)인 개방(丐幇)의 일원이 됐거나 흑사회(黑社會)에서 활약하기도 하여, 좋은 사람과 악한 사람이 섞여 있었다. ‘원시형’ 방식으로 구걸하며 살아가는 사람들도 훔칠 수 있으면 훔치고 사기 칠 수 있는 기회가 생기면 사기를 쳐서, ‘순수견양(順手牽羊)’1) 식에 버릇이 들었거나 다른 법도에 벗어난 수단을 쓰는 습관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매예형’ 거지는 사람을 모으는 방식과 동냥하는 방식이 천태만상이었다. 별의 별 것이 다 있었다. 그것들을 한꺼번에 모으면 ‘강호 예술단’이라고 부를 만했다. 퉁소를 불며 걸식하는 방법이 있었다. 가장 유명한 것은 춘추시대에 ‘오자서(伍子胥)가 퉁소를 불며 구걸해 시정에서 밥을 빌어먹었다.’ 그래서 많은 거지들이 자기 직업의 조사(祖師)로 오자서를 모시어 공양했다. 현대에도 퉁소를 불며 구걸하는 거지들이 있다. 맹인이 대부분이다. 길거리나 시장 바닥에서 애절하면서도 원망하는 듯, 완곡하면서도 구성진 악곡을 불면서 구걸한다. 당나라 때에 서양에서 하모니카가 전래되어 하모니카를 불면서 구걸하는 거지도 생겨났다. 역시 맹인이 다수를 차지한다. 중국 내지와 홍콩에서 모두 볼 수 있다. 오자서가 퉁소를 불면서 구걸한 때부터 당대에 하모니카를 불면서 구걸하는 방식까지, 구걸 방식의 변화와 교체를 반영하고 있다. 하모니카가 유행하자 사람들이 즐거이 받아들였다. 오래되고 예스러운 퉁소는 거지 손에서도 시대에 맞춰 자리를 양보하게 되었다. 그렇지만 오랜 역사 속에서 ‘길거리에서 퉁소를 불다’는 말은 구걸한다는 대명사가 되었다. 노래를 부르며 구걸하는 방식 강호에서는 ‘매춘(賣春)’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역사가 유구하고 예나 지금이나 자주 보이는 구걸 방식이다. 가장 이른 시기는 전국시대에서 진(秦)나라 때까지 올라간다고 전한다. 노래를 아주 잘 부르는 한아(韓娥)라는 여인이 있었다. 노래를 팔며 구걸해 오늘날까지 ‘요량삼일(繞梁三日)’2)이라는 성어를 남겼다. 이야기는 『열자(列子)·탕문(湯問)』에 자세히 보인다. 한아가 먹을 쌀이 다 떨어지자 옹문(雍門)에서 노래하며 걸식하였다. 그녀가 지나간 지역에는 3일 후에도 여음이 남아 사람들이 그녀가 아직 주변에 머물고 있다고 여길 정도였다. 어느 날, 객점에 갔는데 객점에 있던 사람이 모욕을 주자 그녀는 소리 높여 구슬프게 울었다. 부근의 남녀노소가 그 울음소리를 따라 애처롭게 울면서 3일 동안 밥조차 먹지 못했다. 그런 지경이 되자 한아를 쫓아가 다시 노래를 불러달라고 간청하니, 노래를 불렀다. 사람들이 기쁨을 억누르지 못하여 함께 노래하면서 슬픔을 잊었다. 현지인들이 한아에게 후하게 보답하였다. 이후에 옹문 지역 사람 대부분이 노래를 잘하고 곡도 잘 지었는데 모두 한아의 여음이라 전한다. 이 이야기를 통해 노래를 팔며 구걸하는 거지는 오래전부터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길거리에서 노래하며 구걸하였을 뿐 아니라 객점에 들어가 여행객에게 노래를 들려주며 구걸했음도 알 수 있다. 후세에 창기로 생계를 유지하는 가녀(歌女)나, 소녀와 함께 다니며 주점이나 찻집에서 연주하며 구걸하는 맹인 예인이나, 객점에서 여행객에서 노래하며 입에 풀칠하는 사람들 모두 한아를 조사로 섬겼다. 노래와 함께 자태나 몸까지 파는 사람은 한아의 운명보다도 더 비참해졌으니. 구걸하며 다니는 거지 부류에서 노래를 팔며 구걸하는 거지는 일찍부터 존재했던 유형이다. <다음편으로 이어집니다.> ☞이권홍은? =제주 출생. 한양대학교 중어중문학과 학사, 대만 정치대학교 중문학과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중국현대문학 전공자로 『선총원(沈從文) 연구』와 『자연의 아들(선총원 자서전)』, 『재미있는 한자풀이』, 『수달피 모자를 쓴 친구(선총원 단편선집)』, 『음식에 담겨있는 한중교류사』, 『십삼 왕조의 고도 낙양 고성 순례』, 『발자취-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찾아가는 여정』 등 다수의 저서·논문을 냈다. 현재 제주국제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남관을 지나는데 포리가 의심쩍어 수레에 실은 것이 무엇이냐고 물었다. 장소삼은 아무 것도 아니라는 듯 대답하였다. “산돼지입죠. 싣고 가서 먹으려고 합니다요.” 포리가 더 의심이 들어 농담 던지듯이 물었다. “고기를 나눠 줄 수 있소?” 장소삼이 거절하자 포리가 거적자리를 들췄다. 사람 시신이 아닌가. 곧바로 장소삼을 관서로 끌고 가 심문하였다. 결국 감옥에서 병들어 죽었다. 사람이 사람을 잡아먹은 참극이다. 장소삼은 인성을 잃어버리고 음식에 대한 변태심리를 가진 식인광이 되어버렸다. 비단 거지를 사서 잡아먹었을 뿐 아니라 자기 생부조차도 잡아먹으려 했으니. 팔려가 잡혀 먹힌 거지, 운명이 어떤 지경까지 비천하게 전락했는지 똑똑히 알 수 있지 않은가. 변태심리와 유사한 것이 또 있다. 기와 조각을 먹거나 돌을 먹는 사람도 있었다. 청나라 때에 사람이 건네준 기와 조각을 받아들고 입에 넣어 얼음조각을 씹어 먹듯이 잘근잘근 씹어 삼키는 것을 본 사람이 있었다. 명나라 때에 광주(廣州)에서 20여 살 정도 되는, 배가 조롱박처럼 볼록한 거지가 기와 조각과 자기 조각을 사 모았다. 호사가가 돈을 주면서, 기와 조각을 주워 건네며 먹어보라고 하면 주저하지 않고 손에 받아들었다. 입 속에 넣고 연뿌리를 씹듯 감저를 씹듯 맛있게 먹었다. 사기 조각을 먹게 하려면 많은 돈을 줘야 먹었다. 먹은 후에는 눈을 크게 뜨고 목을 길게 내밀면서 삼키기 힘들어 죽겠다는 모양을 하기도 했다. 어떤 특별한 병태심리가 아니라면 어찌 사기 조각을 삼킬 수 있겠는가. 원시형 거지의 비참한 운명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원시형의 거지는 어리석을 정도로 온순했기에 법도에서 벗어난 호가사들에게 비인간적인 모욕을 당했다. 거지들은 그저 자기 운명이 나쁘다는 것을 달게 받아들였다. 모든 것을 운명으로 넘겨버렸다. 그런데 어찌 할 것인가? 목숨은 붙어있기에 자기 몸을 손상시키면서까지 한 세상을 살아가려고 몸부림쳤다. 청나라 때에 이 씨 성을 가진, 언 듯 보기에 50여 세로 보이는 거지 이야기가 전해온다. 장강과 한수를 30년 동안 넘나들었다. 그는 아무 것도 없이 오로지 밥 빌어먹는 바가지 하나만 들고 다니면서 소고기와 돼지고기 등을 구걸하여 먹었다. 쥐를 잡아 생채로 먹기도 했다. 남으면 낡은 저고리 속에 넣어두었는데 무더운 여름에도 변질되지 않았다. 사람들이 말을 걸어도 그는 대답하지 않았다. 종이와 붓을 주면 무엇인가를 써 갈겼는데 부적처럼 보였지만 뜻은 알 수 없었다. 어떤 관리가 사람을 보내어 데리고 가서 억지로 한직에 앉혔지만 며칠 지나지도 않아서 작별을 고했다. 떠날 때에 관리가 가벼운 갈화 신발을 선물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신발이 다 닳자 풍설 속에서도 태연히 맨발로 구걸하며 다녔다. 현실 생활 중 일반적인 원시형 거지가 관리에게 예우를 받는 경우는 새벽의 별같이 대단히 드물었다. 대부분은 운명이 주어진 대로 받아들이며 살았다. 서글프고 초라하게 배고픔과 추위를 묵묵히 견뎌내다가 어느 순간이 오면 먼지처럼 사라졌다. <다음편으로 이어집니다.> ☞이권홍은? =제주 출생. 한양대학교 중어중문학과 학사, 대만 정치대학교 중문학과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중국현대문학 전공자로 『선총원(沈從文) 연구』와 『자연의 아들(선총원 자서전)』, 『재미있는 한자풀이』, 『수달피 모자를 쓴 친구(선총원 단편선집)』, 『음식에 담겨있는 한중교류사』, 『십삼 왕조의 고도 낙양 고성 순례』, 『발자취-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찾아가는 여정』 등 다수의 저서·논문을 냈다. 현재 제주국제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