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3.30 (목)

  • 맑음동두천 4.6℃
  • 맑음강릉 15.5℃
  • 맑음서울 7.9℃
  • 맑음대전 6.9℃
  • 맑음대구 7.9℃
  • 연무울산 8.0℃
  • 연무광주 8.7℃
  • 맑음부산 11.3℃
  • 구름조금고창 1.4℃
  • 구름조금제주 10.6℃
  • 맑음강화 2.6℃
  • 맑음보은 3.1℃
  • 맑음금산 3.4℃
  • 구름조금강진군 5.3℃
  • 맑음경주시 5.3℃
  • 구름조금거제 7.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김효곤 교사의 우리말 톺아보기(19)] (3) 쓰기도 하고 쓰지 않기도 하는 경우

 

1. 다음과 같은 것들은 두 가지 표기가 다 가능합니다. 다만 표기에 따라 뜻이 달라지지요. 이 차이를 이해할 수 있다면 다른 것들도 충분히 이해가 될 듯싶습니다.(‘보기 3’은 사이시옷을 쓰지는 않지만, 사잇소리 현상 유무에 따라 뜻이 달라지므로 이해를 돕기 위해 예로 들었습니다.)

 

보기 1) 나무집[나무집] : 나무로 지은 집
나뭇집[나무찝] : 나무를 파는 집

 

보기 2) 고기배[고기배] : 물고기의 배 부분
고깃배[고기빼] : 물고기를 잡는 배. 어선.

 

보기 3) 칼집[칼집] : 요리를 할 때 양념이 잘 배도록 칼로 살짝 엔 자국
칼집[칼찝] : 칼날이 상하지 않도록 꽂아 보관하는 도구

 

2. 갈비 요리를 파는 집은 ‘갈비집’인가, ‘갈빗집’인가
이 경우 [갈비집], [갈비찝] 중 어느 발음이 옳은지 국립국어원에서도 쉽사리 결론을 내리지 못하는 모양입니다. 이미 ‘갈비집’으로 2003년 신어목록에 올라간 모양인데, 2007년에는 ‘갈빗집’으로 쓸 수도 있다고 답변한 적이 있습니다. 그래서인지 진작에 표제어가 된 ‘통닭집’, ‘횟집’ 등과는 달리 아직도 사전 등록이 미루어지고 있습니다.

 

3. ‘빨랫줄’, ‘전깃줄’이 옳다면 ‘철사(鐵絲)+줄’은 '철사줄'인가, '철삿줄'인가
먼저 이 물음의 정답은 둘 다 아니고 '철사 줄'입니다. ‘철사(鐵絲)’에서 ‘사(絲)’ 자가 이미 ‘줄’을 뜻하기 때문에 그냥 ‘철사’만 쓰는 것이 원칙입니다. 그런데도 뜻을 강조하기 위해 굳이 ‘줄’을 덧붙여 쓰고자 한다면, 발음은 비록 [철싸쭐]이 되더라도 두 개의 단어로 보아 띄어쓰기를 해야 한다는 것이 국립국어원 쪽의 생각입니다.

 

어떻습니까? 정말 머리가 어지럽죠?
사이시옷 쓰기를 살피다 보면 이렇듯 몇 마디로 요약해서 정리하기가 곤란할 정도로 복잡하기만 합니다. 그만큼 우리말에서 가장 흔하고 오래된 논란거리이기에, ‘갈비집-갈빗집’처럼 아직까지 완전하게 정리되지 않은 부분도 남아 있는 겁니다.

 

너무 헷갈리는 얘기만 늘어놓은 것 같아 죄스러운 마음을 덜고자 사이시옷 쓰기를 한 문장으로 정리하면서 끝내고자 합니다. 다음 문장 정도만 이해해도 사이시옷 쓰기를 웬만큼 해결할 수 있으실 겁니다.

“사람들은 수돗가[수도까]에 가서 수도꼭지[수도꼭지]에서 나오는 수돗물[수돈물]을 마시고 수도세[수도쎄]를 낸다.”

 

- 수돗가[수도까] ‘한자어+우리말’이면서 ‘가’가 된소리로 발음되므로 사이시옷을 쓴다.
- 수도꼭지[수도꼭지] ‘꼭지’는 원래 된소리이므로 사이시옷을 쓰지 않는다.
- 수돗물[수돈물] ‘ㄴ’ 소리가 덧붙었으므로 사이시옷을 쓴다.
- 수도세[수도쎄] 된소리로 소리 나지만 ‘수도(水道)’와 ‘세(稅)’는 둘 다 한자어이므로 사이시옷을 쓰지 않는다.  [김효곤/ 서울 둔촌고등학교 교사]

 

☞김효곤은?
=연세대 국문과를 나와 35년여 고교 국어교사를 하고 있다. 청년기 교사시절엔 전교조신문(현 교육희망)의 기자생활도 했다. 월간 <우리교육> 기자와 출판부장, <교육희망> 교열부장도 맡았었다. 1989년 이후 민주언론운동협의회가 주최하는 대학언론 강좌를 비롯해 전국 여러 대학 학보사와 교지 편집위원회, 한겨레문화센터, 여러 신문사 등에서 대학생·기자·일반인을 상대로 우리말과 글쓰기를 강의했다. <전교조신문>, <우리교육>, <독서평설>, <빨간펜> 등 정기간행물에 우리말 바로쓰기, 글쓰기, 논술 강좌 등을 연재했다.

 


 

 

배너

관련기사

더보기
34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