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3.30 (목)

  • 맑음동두천 5.6℃
  • 맑음강릉 14.4℃
  • 맑음서울 8.2℃
  • 맑음대전 7.8℃
  • 맑음대구 8.6℃
  • 맑음울산 9.0℃
  • 구름조금광주 9.1℃
  • 맑음부산 11.4℃
  • 구름많음고창 2.9℃
  • 구름조금제주 10.5℃
  • 맑음강화 3.4℃
  • 맑음보은 3.3℃
  • 맑음금산 4.6℃
  • 구름조금강진군 6.2℃
  • 맑음경주시 6.1℃
  • 맑음거제 7.9℃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김효곤 교사의 우리말 톺아보기(12)] '되어'의 준말 '돼' … 아니면 '되'

 

 

‘되다’, ‘됐다’ 대신 ‘돼다’, ‘됬다’ 식으로 ‘되-’와 ‘돼-’를 혼동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이들을 간단히 구별하려면, 그것이 ‘되어’의 준말인지를 확인해 보세요. ‘되어’의 준말로 볼 수 있으면 ‘돼-’, 아니라면 ‘되-’입니다.

 

‘되-’는 동사 ‘되다’의 어간입니다. 따라서 반드시 그 뒤에 어미가 이어져야 합니다. 그러나 ‘돼-’는 ‘되-’에 어미 ‘-어’가 붙은 ‘되어’의 준말입니다. 따라서 이 말은 “안 돼.”처럼 다른 어미를 덧붙이지 않고 그것만으로 독립하여 쓸 수 있습니다.

 

문제를 몇 개 풀어 봅시다. 둘 중에서 맞는 표기를 고르세요.

 

㉠ 얼굴이 안됬구나. / 얼굴이 안됐구나.
㉡ 그거 잘됀 일이다. / 그거 잘된 일이다.
㉢ 이제 됬다. / 이제 됐다.
㉣ 먼저 인간이 돼어라. / 먼저 인간이 되어라.
㉤ 그러면 안 되. / 그러면 안 돼.

 

이들은 모두 뒤의 것이 옳은 표기입니다. 어쨌든 ‘돼-’가 ‘되어’의 준말이라는 것만 이해하면 헷갈릴 일은 없을 겁니다.

 

참, ㉠ ‘안되다’나 ㉡ ‘잘되다’는 두 말이 합쳐 새로운 의미가 생긴 한 단어로 취급하므로 붙여 쓰지만, ‘안 돼’의 경우는 한 단어로 보기 어려우므로 띄어 써야 합니다.

 

‘안’과 ‘않’

 

그러면 ‘안’과 ‘않’은 어떻게 구별해야 할까요?

 

이 역시 무엇의 준말인가를 생각해 보면 문제는 간단히 풀립니다. ‘안’은 부사 ‘아니’의 준말이고, ‘않-’은 용언 ‘아니하다’의 어간인 ‘아니하-’의 준말입니다. 따라서 ‘안’은 독립하여 띄어 쓸 수 있지만, ‘않-’은 반드시 뒤에 어미를 이어서 붙여 써야 합니다.

다시 문제를 풀어 봅시다.

 

㉠ 밥을 안 먹는다. / 밥을 않 먹는다.
㉡ 밥을 먹지 않는다. / 밥을 먹지 안는다.
㉢ 그거 참 안됐구나. / 그거 참 않됐구나.
㉣ 그러면 안 돼. / 그러면 않 돼.
㉤ 걔는 공부를 안 한다. / 걔는 공부를 않 한다.
㉥ 걔는 공부를 않는다. / 걔는 공부를 안는다.

 

이제 대충 느낌이 오시지요? 이들은 모두 앞의 것이 옳은 표기입니다. ㉠-㉡, ㉢-㉣, ㉤-㉥을 짝지어 놓았는데, 각각의 의미와 띄어쓰기도 눈여겨보시면 도움이 될 겁니다.

 

정리합니다. 벌써 여러 번 얘기하는 것 같은데, 헷갈릴 때는 무엇의 준말인지를 확인합시다. 그러면 대부분 간단히 풀립니다. [김효곤/ 서울 둔촌고등학교 교사]

 

☞김효곤은?
=연세대 국문과를 나와 35년여 고교 국어교사를 하고 있다. 청년기 교사시절엔 전교조신문(현 교육희망)의 기자생활도 했다. 월간 <우리교육> 기자와 출판부장, <교육희망> 교열부장도 맡았었다. 1989년 이후 민주언론운동협의회가 주최하는 대학언론 강좌를 비롯해 전국 여러 대학 학보사와 교지 편집위원회, 한겨레문화센터, 여러 신문사 등에서 대학생·기자·일반인을 상대로 우리말과 글쓰기를 강의했다. <전교조신문>, <우리교육>, <독서평설>, <빨간펜> 등 정기간행물에 우리말 바로쓰기, 글쓰기, 논술 강좌 등을 연재했다.

 

배너

관련기사

더보기
34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