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15 (수)

  • 맑음동두천 -0.7℃
  • 맑음강릉 1.9℃
  • 맑음서울 -0.9℃
  • 맑음대전 1.2℃
  • 맑음대구 1.6℃
  • 맑음울산 2.1℃
  • 구름많음광주 1.3℃
  • 맑음부산 4.1℃
  • 흐림고창 -1.1℃
  • 흐림제주 4.4℃
  • 맑음강화 -1.8℃
  • 맑음보은 -0.4℃
  • 맑음금산 0.4℃
  • 구름많음강진군 1.8℃
  • 맑음경주시 2.8℃
  • 맑음거제 4.1℃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김효곤 교사의 우리말 톺아보기(18)] 사이시옷 - (2) 쓰지 않는 경우

 

지난번에는 사이시옷을 써야 하는 경우를 따져보았습니다. 이번에는 반대로 사이시옷을 쓰지 않는 경우를 살펴봅시다.

 

1. 앞말에 받침이 있을 때는 뒷말이 된소리가 되거나 ‘ㄴ’ 소리가 덧붙여 나더라도, 즉 사잇소리 현상이 일어나더라도 쓰지 않습니다. 이미 받침이 있기 때문에 사이시옷을 쓸 자리가 없어서라고 생각하면 쉽겠지요.

 

보기) 강가, 집세, 돈줄, 집안일, 들일

 

2. 뒷말이 된소리나 거센소리로 시작할 때는 사이시옷을 쓰지 않습니다. 대개 이 규정을 잘 몰라서 사이시옷을 잘못 쓰는 때가 많습니다.

 

보기) 아래편, 위턱, 위층, 뒤처리, 어깨뼈, 뒤끝, 이쑤시개, 반대쪽

 

참고) ‘첫째’ ‘셋째’ ‘넷째’ 등은 뒷소리가 된소리인데도 사이시옷이 붙지 않았느냐고 의문을 품는 분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원래 ‘ㅅ’으로 끝나는 ‘첫’, ‘셋’, ‘넷’이라는 단어에 접미사 ‘-째’를 붙인 것이므로 사잇소리 현상과는 아무 관련이 없습니다.

 

3. 지난번에 얘기했듯이 한자어끼리 어울린 합성어는 예외로 인정하는 여섯 단어를 빼고는 사이시옷을 쓰지 않습니다.

 

보기) 치과, 이과, 초점, 수도세, 전기세

 

4. 한자어 이외에 다른 외래어와 어울린 말은 된소리가 나더라도 사이시옷을 쓰지 않습니다.

 

보기) 시멘트 가루, 아스팔트 길(이런 말들은 사전에 표제어로 올라 있지 않으므로 원칙적으로는 띄어 써야 합니다.)

 

5. 다음 말들은 자칫 사이시옷이 들어가는 것으로 착각하기 쉬우나, 된소리가 되거나 ‘ㄴ’ 소리가 덧붙여 나지 않으므로 사이시옷을 쓰지 않습니다.

 

보기) 머리말, 인사말, 농사일, 해님

 

이쯤으로 사이시옷을 완전히 해결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그러나 아직 끝이 아닙니다. 정말 헷갈리는 것들은 다음 회에 나옵니다. [김효곤/ 서울 둔촌고등학교 교사]

 

☞김효곤은?
=연세대 국문과를 나와 35년여 고교 국어교사를 하고 있다. 청년기 교사시절엔 전교조신문(현 교육희망)의 기자생활도 했다. 월간 <우리교육> 기자와 출판부장, <교육희망> 교열부장도 맡았었다. 1989년 이후 민주언론운동협의회가 주최하는 대학언론 강좌를 비롯해 전국 여러 대학 학보사와 교지 편집위원회, 한겨레문화센터, 여러 신문사 등에서 대학생·기자·일반인을 상대로 우리말과 글쓰기를 강의했다. <전교조신문>, <우리교육>, <독서평설>, <빨간펜> 등 정기간행물에 우리말 바로쓰기, 글쓰기, 논술 강좌 등을 연재했다.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관련기사

더보기
34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