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3.30 (목)

  • 맑음동두천 3.4℃
  • 맑음강릉 15.5℃
  • 맑음서울 7.3℃
  • 맑음대전 5.9℃
  • 맑음대구 7.3℃
  • 연무울산 7.7℃
  • 연무광주 8.2℃
  • 맑음부산 11.2℃
  • 맑음고창 0.8℃
  • 구름조금제주 10.2℃
  • 맑음강화 2.3℃
  • 맑음보은 2.6℃
  • 맑음금산 2.3℃
  • 맑음강진군 4.9℃
  • 맑음경주시 4.8℃
  • 구름많음거제 7.3℃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새 연재를 시작합니다. ‘우리말 톺아보기’입니다. 톺아본다는 건 샅샅이 살펴보는 것입니다. 늘상 쓰는 우리말이지만 사실 경우에 안맞게, 본뜻과 다르게, 잘못된 표기로 혼탁·혼란스러운 일이 많습니다. 말과 글은 곧 우리의 문화입니다. 우리의 정신을 만들어가는 숨결입니다. 세계시장에서도 자랑스러운 우리의 말과 글, 그 언어의 품격을 되돌아봅니다. 올바른 우리말과 글의 사용례를 ‘쪽집게’식으로 진단합니다. 30여년 서울에서 국어교사로 재직하며 숱한 ‘우리말 바로쓰기’ 강좌·연재를 한 우리말 전문가 김효곤 교사가 연재를 맡았습니다. /편집자 주

 

말을 끝맺을 때 쓰는 종결어미 ‘〜대’와 ‘〜데’를 많이들 헷갈립니다. 말을 할 때는 못 느끼지만, 막상 글로 적자면 알쏭달쏭하지요. 제대로 쓰는 경우가 오히려 드물어 보입니다.

 

① (서울에서는) 비가 많이 왔대.
② (어젯밤에) 비가 많이 왔데.
③ 서울 가 보니까 어떻데? 정말 사람이 그렇게 많데?
④ 서울 가 보니까 어떻대? 정말 사람이 그렇게 많대?
⑤ 왜 이렇게 하고한 날 비가 온대?
⑥ 걔는 고향이 부산이래.

 

① ‘〜대’는 ‘〜다고 해(하여)’의 준말로, 남에게서 들은 것을 다시 다른 사람에게 옮길 때 쓰는 말입니다.
② 한편 ‘〜데’는 ‘〜더라’의 준말로, 말하는 사람이 직접 경험한 것을 남에게 전할 때 씁니다.

 

③과 ④를 보면 헷갈릴 수 있는데, 이는 둘 다 쓸 수 있는 표현입니다.
③ ‘〜데?’는 때로는 ‘〜더냐?’의 준말일 때가 있는데, 이는 대화 상대에게 직접 보거나 경험한 사실을 알리라고 요구할 때 쓸 수 있는 말입니다.
④ 그런데 대화 상대가 남에게 들은 것을 다시 옮겨 전하라고 요구할 때는 ‘〜대?’를 씁니다.

 

따라서 ③과 ④는 다 맞는 표현입니다. ①∼④를 요약하면 ‘〜대’는 간접 경험, ‘〜데’는 직접 경험을 전하는 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⑤ 또 ‘〜대’는 의문을 나타내면서 놀라움이나 못마땅함이 섞여 있을 때도 쓸 수 있습니다. 이때 ‘〜대’는 준말이 아닌 점에서 구별됩니다.
⑥ 참고로, ‘〜래’는 ‘〜라고 해’의 준말이지요.

 

우리말에는 이렇게 편하게 발음하려다 보니 자연스럽게 생겨난 준말들이 많습니다. 돈에만 경제가 있는 게 아니라 말에도 경제가 있는 셈이지요.

 

어떻게 써야 할지 헷갈릴 때는 어떤 말이 줄어든 것인지 곰곰 생각해 보세요. 김효곤/ 서울 둔촌고등학교 교사

 

☞김효곤은?
=연세대 국문과를 나와 35년여 고교 국어교사를 하고 있다. 청년기 교사시절엔 전교조신문(현 교육희망)의 기자생활도 했다. 월간 <우리교육> 기자와 출판부장, <교육희망> 교열부장도 맡았었다. 1989년 이후 민주언론운동협의회가 주최하는 대학언론 강좌를 비롯해 전국 여러 대학 학보사와 교지 편집위원회, 한겨레문화센터, 여러 신문사 등에서 대학생·기자·일반인을 상대로 우리말과 글쓰기를 강의했다. <전교조신문>, <우리교육>, <독서평설>, <빨간펜> 등 정기간행물에 우리말 바로쓰기, 글쓰기, 논술 강좌 등을 연재했다.

 

배너

관련기사

더보기
34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