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어 ‘공안(公案)’이란 단어는 여러 가지 의미가 있다. 옛날 관부의 공문서 〔안독(案牘)〕, 심리 용도로 쓴 탁자, 안건이나 사건을 가리키기도 한다. 송대 화본소설과 희곡의 한 부류이기도 하다. 불가에서는 시비를 판단하는 관청의 문서의 뜻을 빌어 선배 조사의 언행 범례를 가리키기도 한다.
청나라 옹정 연간(1723~1735)에 광동성 보녕(普寧)현 지현을 역임했고 나중에 조양(潮陽)현을 겸치한 남정원(藍鼎元)은 탄핵되어 관직을 잃은 후에 자신이 역임했던 시기에 판결했던 안건을 모아 『녹주공안(鹿洲公案)』 상하 2권, 24편을 편찬하였다. 남 씨는 자가 옥상(玉霜)이고 ‘녹주’는 호이다. 『청사고(淸史稿)』의 「순사전(循史傳)」에 그의 전기가 기록되어 있다. 그를 다음처럼 평했다.
“도적과 송사 대리인을 잘 다스렸다.”
“신처럼 사건을 심리하였다.”
“소송사건을 판결하면서 여럿 잘못된 부분을 바로잡았고 논하는 데에 엄격하여 흠이 없었다.”
『녹주공안』 내용은 주로 불법을 저지른 아역(衙役)1)이나 소송 대리인 징치(懲治), 호강(豪强) 공격, 도적 숙청, 지방 치안질서 정돈, 미신 타파 등 지방 민사, 형사 사건이다.
여기에서 ‘거지와 공안’이라 제목을 붙인 것은 거지라는 성분이 복잡한 구성원으로 결성된 사회 집합체를 논술하고 그중에서 여러 형사나 민사 범죄와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현상을 논술하는 데에 뜻이 있다.
이 단체는, 초기든 타락하여 변질된 이후든, 끊임없이 사회의 정상적인 생활 질서를 해쳤다. 사람들이 의지해 생존하는 사회 환경을 교란하고 손해를 끼쳤다. 나중에는 갈수록 엄중해져서, 결국 공해(公害) 중에서도 큰 재앙이 됐다.
근대 거지 항방(行幇)의 형성을 분계로 삼아 말한다면 이전에는 주로 개별 범죄 위주였으나 이후에는 단체 범죄 위주로 변했다는 특징이 있다. 거지가 모두 개방 한 곳으로 모여들어 범죄를 저질렀다는 말은 아니다. 개방 중의 거지가 독단적으로 범죄를 저지르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그렇더라도 총결해 보면 위에서 말한 분계선은 존재한다.
여기에서는 고금의 거지 안건 중에서 개인 단독 범죄가 단체 범죄로 변화되는 과정을 가지고 관련 사례를 열거하면서 거지 단체가 사회 범죄의 중요한 번식장소였다는 것을 알아보려 한다. 개방은 불량배들이 모여 범죄를 저지른 가장 큰 악의 축 ― 범죄의 ‘대본영’이었다.
거지가 돈을 돌려주다
물론 모든 거지가 다 나쁜 사람이라는 말은 결코 아니다. 가난해도 뜻을 잃지 않은 사람은 예부터 많이 존재했다.
효도하려고 걸식하고 부모나 처자식을 먹여 살리려고 구걸하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그중에 손을 뻗어 재물을 얻었으나 차마 그것 때문에 사람을 해치지 못한 사례도 있다. 청대 저인적(褚人荻)은 『견호광기(堅瓠廣記)』 권5에서 『백취쇄언(白醉瑣言)』 중의 ‘거지 환금’ 이야기를 인용하고 있다 :
원충철(袁忠徹)이 사직한 후 사명(四明)으로 돌아가니, 어떤 참정이 찾아와 축하하였다. 나이가 많아 머슴애가 부축해 나왔다. 머슴애는 열두어 살 난 아이로 남루한 옷을 입고 있었다. 기이한 용모로 곁에 서 있었다.
손님과 주인이 앉기를 기다리는데 원충철은 머슴애를 오랫동안 주시하였다. 참정이 물었다.
“상보께서 주목하시는데 관상이 위험한 모양이지요?”
원충철이 답했다.
“내가 보기에 저 아이가 현귀해질지 아닐지는 참정에게 달린 것 같소이다.”
참정이 말했다.
“오늘까지 저 녀석은 무뢰한이었어요. 무슨 부귀가 생긴다는 말은 못하지요!”
원충철이 말했다.
“다른 것은 몰라도 그 관상을 보면 알 수 있지요.”
나중에 머슴애는 참정의 집에서 제멋대로 굴다가 쫓겨나 결국 악묘(岳廟)에서 기거하고 구걸하면서 살았다.
어느 날, 어떤 부인이 보따리를 들고 악묘에 들어와 오랫동안 악비(岳飛)에게 기도하고 예배하였다. 한참만에야 떠났는데 보따리를 잊어버리고 그냥 놓고 나갔다. 거지가 다가가 열어보니 금은이 가득 들어있었다. 거지는 주인이 찾아올 때까지 숨겨두었다. 얼마 없어 목 놓아 슬피 울면서 보따리를 찾는 부인이 나타났다. 거지는 아무 말도 하지 않고 곧바로 꺼내 돌려주었다. 부인은 받자마자 은자를 꺼내 사례하려하자 거지가 말했다.
“잘못알고 계십니다. 내가 사례를 받을 생각이 있었다면 어찌 모두 제 것으로 만들지 않고 이렇게 돌려줬겠습니까?”
부인이 상황을 살펴보고 물었다.
“누구하고 같이 생활하니?”
거지가 답했다.
“저는 무의무탁이라서 거지가 됐습니다.”
그 부인은 잃어버릴 뻔한 돈을 가지고 누명을 쓰고 옥에 갇힌 남편을 위하여 사명 지휘사에게 억울함을 호소하려고 가던 참이었다. 부인은 거지를 데리고 함께 갔다. 지휘사가 석방시켜주자 본래 자녀가 없었고 본가에도 같이 사는 사람이 없어, 그 거지를 자신의 집에 머무르게 하고 윤자(胤子)로 삼았다. 그때부터 거지는 현귀하게 되었다.

이야기는 비록 원 모의 주관적 상상과 멋대로 결론을 내린 부분이 섞여있기는 하지만 거지가 돈을 줍고도 자기 것으로 만들지 않은 순박하고도 성실한 품격을 잘 설명하고 있다.
사람이 궁하다고 뜻까지 궁할까. 아무리 가난해도 포부는 변하지 않는다.
의롭지 않은 재물은 탐하지 않는 법이다. 그러한 품격은 모든 사람에게 있을 수는 없다. 영락하여 낡은 사당에서 지내는 거지가 그 일을 해냈다. 이야기의 결말을 보면 거지에 대한 작가의 예찬이 묻어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편으로 이어집니다.>
1) 아역(衙役), 아역, 아속(衙屬). 관아(官衙)에서 부리던 하인이다. 청대(淸代), 각 관청에서 잡역에 종사한 사람이다. ‘토공(土工, 변사자 매장인)’, ‘개두(丐頭, 거지 단속인)’, ‘포갑(鋪甲, 구역 내 순시인)’ 따위를 총칭한다.
☞이권홍은?
=제주 출생. 한양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나와 대만 국립정치대학교 중문학과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중국현대문학 전공으로 『선총원(沈從文) 소설연구』와 『자연의 아들(선총원 자서전)』,『한자풀이』,『제주관광 중국어회화』 등 다수의 저서·논문을 냈다. 현재 제주국제대학교 중국어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