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써레질하는 농민. [사진=뉴시스] 제주도는 밭농사가 대부분이고 논농사는 전체의 1.5%~2% 수준이다. 서귀포시 대포동과 법환동 일대에서 강정천(江汀川)을 이용하여 논농사가 일찍부터 가능했다. ‘써레질 소리’는 서귀포시 강정동에서 논농사 지을 때 써레질 하면서 논을 평평하게 고르는 일하며 부르던 노동요다. ‘써레질 소리’는 대포(大浦)나 위미(爲美)마을의 ‘밀레질 소리’와 함께 강정마을에서 전승되고 있다. 써레질은 논을 갈고 물을 댄 다음 일차적으로 논을 고르는 작업이다. ‘밀레질 소리’는 써레질로 어느 정도 골라진 밭을 밀레를 이용하여 바닥을 고르는 일을 하며 부르는 노래다. 써레를 소에 매고 논을 돌면서 고른다. 이때 부르는 민요가 ‘써레질 소리’이다. 써레질은 힘든 노동이라 대부분 남자 ‘장남’들이 이 일을 맡았다. 이 작업은 혼자 하는 작업이지만 종종 여러 명이 각각 써레를 소에 매고 일을 한다. 써레질 하는 사람 옆에 몇 사람이 이 노동을 보조(補助)한다(한국학중앙연구원, 향토문화전자대전)
▲ 벌초하는 시민들. [뉴시스] 오월이라 단오일에 송백섭(잎) 푸린(푸른)가지 높닥지 끈을 달고 무삼 얘기 구름 타듯 백릉 보선 두발 질에 양대선이 가시는디 일주 낭군 어딜 가서 양대선이 못가시나 그ᄃᆞᆯ 그름 하송 ᄒᆞ야 유월이라 유두일에 남의 집도 소년님네 드르는 건 양산이요 받치는건 선ᄌᆞ(자)로다 일주 낭군 어딜 가서 선ᄌᆞ ᄒᆞᆯ(할) 줄 모르시나 그ᄃᆞᆯ 그름 하송ᄒᆞ야 오월이라 단옷날에 송악낭긔(나무) 추척이도 창신 보선(버선) 신건마는 설룬(서러운) 님은 어딜 가난 창신 보선 못 신는고 그도 설루와 못 살더라 그 ᄃᆞᆯ도 구뭄 다 보네고 유월이라 유둣날에 놈의 집도 소년덜(들)은 들르는 건 양산이곡 받치는 건 선제(자)인듸 설룬 낭군 어딜 가난 선제들 충(줄) 몰르는고 그도 설루와 못 살더라 그 ᄃᆞᆯ도 구뭄 다 보네고 * 추척이=송악나무 줄기 군데군데 하얗게 돋아나는 모
▲ '헛묘' 포스터. 지난 4일 막을 내린 '제5회 닝보국제단편영화제' 시상식에서 변성진 감독의 단편영화 '헛묘'가 최우수 외국어 단편영화상을 수상했다. 변성진 감독의 영화 '헛묘'는 제주 벌초대행업체가 재일교포 할머니의 의뢰로 4.3사건 때 돌아가신 할머니의 아버지 묘를 찾으면서 벌어진 사건이 스토리다. 슬프면서도 감동적인 장면들을 그려냈다. 29분 55초라는 짧은 시간에 제주인의 삶과 아픔을 잘 그려낸 작품성을 인정받아 이번 닝보국제단편영화제에서 최우수 외국어 단편영화상을 수상하게 됐다. 지난해 12월 10일부터 시작된 제5회 닝보국제단편영화제에는 12개 국가의 14개 영화제에서 참여했다. 총 600여 편의 작품이 출품됐다. 닝보국제단편영화제는 현재까지 총 3000여 편의 작품이 출품되고 500여 명의 신인 감독과 배우, 시나리오 작가를 배출했다. 온라인 작품 시청 횟수가 6억5000만 회에 달하는 등 중국에서 영향력 있는 단편영화제 중의 하나다. 영화 '헛묘'는 지난해 초 열린 '제4회 한중국제단편영화제'에서도 최우수 작품상과 남우주연상을
▲ 새해 맞이 연 날리기.[사진=뉴시스] 세시(歲時)풍속은 음력 정월부터 섣달까지 1년 단위로 시간적 주기에 따라 반복적으로 행해지는 전승의례(傳承儀禮)이다. 태음력(太陰曆)을 기준으로 한 해를 춘(春), 하(夏), 추(秋), 동(冬) 사(四)계절, 3개월 단위로 나눈다. 음력 정월부터 3월까지 봄, 음력 4월부터 6월까지 여름, 음력 7월부터 9월까지 가을, 음력 10월부터 12월까지 겨울로 삼는다. 1년을 24절기로 나누어 한 달을 2절기(節氣)로 구분해 15일 마다 한 절기를 맞이한다. 세시풍속은 생활공간과 생산 활동에 따라 다르다. 제주도 세시풍속은 절기, 물때, 달거리 등 시간 주기에 따라 산간, 중산간, 해안이라는 생활공간에서 농사, 목축, 어로, 수렵 등 생업(生業)활동 관행(慣行)이 반영된 지역적 특수성이 나타난다. 제주도 세시풍속은 농사와 어로(漁撈), 의례(儀禮) 등의 생활에서 서로 분리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정월이라 상한 일에 청산녹형 노픈 곳듸(높은 곳에) 구름 새로(사이로) 연(鳶)만 둥실 뜨엇구나(떳구나) 남의 집도 소년님네 묵은 옷일 ᄇᆞ려(버려)두고 새옷일 들겨 입
'새벽 여섯 시, 민영환이 자결한다. 그날 빈소 밖 마당 한쪽 구석에서 온종일 혼자 있던 민영환의 집 하인이자 인력거꾼이 있었다. 그는 그날 밤 가까운 경우궁 뒷산으로 올라가 목을 맨다. 이 죽음은 기껏 역사의, 그것도 극히 일부 역사책에 한 줄로 남았을 뿐이다. 그러나...' '역사는 기록되는 한 진보한다. 잊지 않은 대로 행동하는 한 대한민국은 불멸할 것이다.' 이 책 '불멸의 제국'은 일본의 침략에 죽음으로 항거했던 민영환과 갑오년 동학농민운동 당시 탄압을 주도했던 그를 제거하기 위해 하인이자 인력거꾼으로 접근한 동오와의 사이에서 주종 관계를 넘어 서서히 쌓여가는 두 사람의 깊은 신뢰와 내적 갈등을 다룬 역사소설이다. 깊은 후회 속에서 백성들을 꺼내려고 애쓰다 결국 자결하고 마는 민영환의 가슴 절절한 아픔과 절실함이 책 곳곳에 묻어나 있다. 본문에 등장하는 민영환과 동오, 고종황제, 이토 히로부미 등 주요 인물들의 심리묘사가 뛰어나다. 지은이 오동명은 경희대 경제학과를 나왔다. 제일기획에서 광고사진가로, 중앙일보에서는 사진기자로 일했다. 충남·전북·제주
▲ 칠머리당 영등굿. 서우제소리(산신 서우제소리, 요왕 서우제소리, 영감 서우제소리)는 무(巫)의식에서 부르는 놀이 무가(巫歌)로 신(神)을 즐겁게 하고 기원(祈願)하는 석살림 제차에서 부른다. 곡(曲)이 흥겨워 노동요화(化) 됐거나 놀 적에 춤 추며 불러 유희요(遊戲謠)로 변이(變移)된 경우다. 서우제 소리는 본래 제주도 영등굿 할 때 석살림이나 영감놀이 등의 제차에서 불렀다. 이 노래는 제주도 무속(巫俗)에 뿌리를 두고 있지만, 제주 전역에 그 공감대가 퍼져 있다. 이 노래는 가락이나 사설 엮음이 고정이고 유창한 맛을 준다. 무속에서 사용되는 노래들은 그 가락이 창민요(唱民謠)처럼 발달되어 있다. ‘서우제’ 라는 의미는 아직까지 분명하지 않다. 영감놀이 등에서 불려 지다 민간(民間)에 전이된 이 민요는 여흥(驪興)적인 장에서 가창(歌唱)되고 있다. 지역에 따라 이 노래를 꺼려하여 일반 사람들은 부르기 꺼려한다. 그 가락 구조는 아외기 소리와 거의 동일하지만 사설은 다르다. 아외기 소리는 김매는 작업과 관련된 노동적인 사설을 주로 엮어 가는데 반하여 서우제 소리로 가창된다. 영등굿 등에서 바다
제주도 설문대여성문화센터가 ‘제주 여자의 일생 - 실픈 일랑 기린 듯 ᄒᆞ라’를 주제로 고광민 기증사진 특별전을 오는 23일부터 내년 3월 7일까지 연다. 제주 및 한국 서민 생활사를 연구하고 활동하는 고광민(제주출생)선생이 수집해 기증한 자료 60여 점을 전시에 담아 원초 경제사회 제주여성사를 살펴볼 수 있다. 산, 바다, 밭에서의 노동을 통해 역동했던 제주 여성이 삶의 모습을 담은 사진과 센터가 소장하고 있는 제주 여성들이 사용했던 생활도구 자료들을 재구성해 전시의 역사성과 현장성을 높였다. 전시의 구성은 제주도라는 혹독한 자연환경에서 억센 삶의 주인으로 자리매김했던 제주여자들의 삶의 모습을 탄생에서 하직까지 인생곡선(탄생➝ 소녀➝ 여청➝할망➝하직)에 따라 구성됐다. 이번 전시는 코로나19로 인해 현장관람은 방역수칙을 반드시 준수하며 이뤄진다. 내년 1월 1일부터는 온라인으로 설문대여성문화센터 홈페이지를 통해서도 관람할 수 있다. 강봉숙 설문대여성문화센터 소장은 "제주여성과 관련된 자료들을 센터가 소장한 자료와 더불어 기획전시로 재구성
▲ 제주 민속자연사박물관에 전시된 '베 짜는 모습' 모형이다. ‘베틀노래’는 ‘베틀가’라고도 한다. 베 짜는 일이 지루하게 계속되어 자연 ‘베틀노래’는 장형 많은 박자 위주의 음영(吟詠) 민요이다. 다양하게 불리며 주로 베틀 구조와 기능을 아름답게 노래한다. 베틀 위에 앉은 부녀자들을 하늘에서 내려온 선녀(仙女)에 비유한다. 베틀다리에서부터 시작해 ‘앉을개’, ‘부테’, ‘말코’, ‘버거미’, ‘용두머리’ 등의 모양과 율동적인 작업을 의인화(擬人化)한다. 혹은 자연계(自然界)의 실재, 동물의 생태, 기타 현상들에 비유하여 형상화(形象化)하고 있다. 아름답다고 생각한 모든 사물들을 끌어다 자기 노동 도구를 찬양하는 찬가(讚歌)라 할 수 있다. ‘베틀노래’는 부녀자들이 베 짜며 부르는 여성 노동요다. 사설이 풍부하고 일정하게 짜여있으며 비유가 뛰어나다. 서사적 요소가 많고 베틀의 부분명(名)을 낱낱이 들어 비유하고 있다. 베 짜
▲ 고구마 썰어 말리기.[사진=제주도] 제주민요에 별로 많지 않은 ‘농부가’다. 아마 제주민요가 작업이나 노동별로 세분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원래 내 꿈은 농사짓는 교수였다. 지금도 그렇다. 다만 전임이 안 되고 겸임이어서 ‘농사짓는 학자’로 약간 수정했다. 제갈량만큼은 아니더라도 주말농사로 농지원부 등록 한지도 오래됐다. 지금은 콜라비, 배추, 무, 시금치, 브로콜리를 키우고 있다(한사람이 1년 동안 소비하는 브로콜리에는 평균 1,660여 마리의 벌레가 들어있다. 국제식량농업기구(FAO)주장이다. 그래서 브로클리는 먹기 전에 잘 씻어야 한다. 그 애벌레와 알도 단백질이긴 하다.) 농부로다 농부로다 천하지대부가 농부로다 엉허어요 상사대야오 요 농사를 지어다가 늙은 부모님 공양 ᄒᆞ(하)세 요 농사를 지어다가 어린 자식 먹여 살려 검질(김)짓고 골 너른(넓은)밧디(밭에) 곱은쉐(굽은쇠, 호미를 말함)로나 우겨 가자 앞 멍에야 들어나 오라 뒷 멍에야 나고나 가라 앞 문 열고 바루(파루)를 치니 대명산천에 ᄃᆞᆯ(달) 솟아온다 하영(많이
▲ 꼴베기. [사진=국립민속박물관] 어릴 때 할아버지가 나에게 ᄆᆞᆼ생이 한 마리를 주기로 약속했다. 그 약속은 끝내 이루어지지 않았고 난 실망했다. 그러나 그간 할아버지를 오해하고 있었음을 최근에야 깨달았다. 이제야 할아버지 본심을 알게 되었다. 지금 와 생각하니 할아버지는 정말 말을 키울 여건이 되는 사람에게 그 반려마를 주고 싶었던 거 같다. 지금이야 반려동물이 보편화되었지만 당시만 해도 개나 고양이도 아니고 어린 망아지를 아버지가 근무하는 학교 따라 이사 다니던 어린 나에게 맡기기가 몹시 우려되셔서 그러셨던 거라 이해한다. 그게 맞다. 지금과는 달리 예전 제주에는 말을 기르거나 소를 기르는 사람이 많았다. 목장에 올려 키우던 말이나 소가 3살 정도 되면 집으로 내려 말과 소를 부릴 사람이나 마을에서 잘 다루는 분에게 의뢰해 마차나 쟁기질을 가르쳤다. 그렇게 해야만 쟁기질이나 마차를 끌 수 있기 때문이다. 겨울 철 소를 키우기 위해 많은 ‘ᄎᆞᆯ(꼴)’이 필요했다. 한 마리에서부터 비육(肥肉)을 전문으로 하지 않더라도 많게 5마리를 한꺼번
제주 돌담과 밭담을 중심으로 제주의 돌문화 경관을 다루고 있는 제주학연구센터의 제주학총서가 발간됐다 사제지간인 정광중 교수와 강성기 장학사가 함께 펴낸 '제주 돌문화경관 연구'다. 이 책은 제주 선인들의 삶에서 주요한 도구이자 문화적 상징으로 자리했던 돌문화의 하위요소들과 경관으로서의 가치에 대한 인식을 제고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총 3부에 걸쳐 12편의 논고를 실었다. 제1부 ‘제주 돌문화와 돌담 개관’에서는 제주 돌문화의 개념과 구성요소들을 살펴보고, 옛 문헌을 통해 시대에 따른 돌문화 기록들을 제시한다. 또한 제주 돌담의 가치와 그 속에 담긴 선인들의 지혜를 전한다. 제2부 ‘제주 돌문화 요소와 지역에서의 모습’에서는 돌문화 요소의 존재적 가치와 장소적 특성을 다루고, 해안 마을과 중산간 마을에서 각각 돌문화가 어떤 양상을 보이는지 살펴본다. 제3부 ‘문화경관으로 보는 제주의 밭담’에서는 제주를 대표하는 문화경관으로서의 밭담을 주제로 제주 밭담과 유럽의 보카쥬 경관을 비교하고, 하도리와 고산리를 예로 밭담 경관의 양상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이 책은
제주 방언과 지명 연구에 매진해 온 오창명 선생의 저작이 제주학연구센터의 46번째 제주학총서로 나왔다. 《일제강점기 제주지명 문화사전》은 일제강점기에 간행된 지도, 문헌, 논문 등에서 쓰인 제주 지명을 목록화한 사전이다. 이 책은 일제강점기 제주 지명에 대한 최초의 종합적 연구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일제강점기 제주 지명 문화 사전》은 일제강점기 시기에 우리나라 사람이나 일본 사람, 미국 사람에 의해 쓰이거나 간행된 문헌, 논문, 지도, 지형도 등에 쓰인 제주 지명을 목록화하고, 그 지명이 오늘날 어디를 이르는지, 오늘날은 어떻게 쓰이는지 등을 보이는 사전이다. 각 지명 표제어와 지명의 유래, 변천, 문화적 의미를 덧붙여 기술함으로써 사전의 의미를 확장하고 있다. 일제강점기의 문자는 주로 한자와 일본어다. 많지 않지만 한글과 로마자로 쓴 것들도 있다. 따라서 이 사전에서는 한글 표기, 한자 및 한자 차용 표기, 일본어 가나 표기, 로마자 표기로 나눠 살폈다. 예를 살펴보면 '한독이: 제주도 제주시 용담1동 바닷가에 있는 지명. 예전에는 주로 ‘한도기’로 말해졌으나, ‘한데기’를 거쳐 요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