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0 (목)

  • 구름조금동두천 13.6℃
  • 구름조금강릉 13.4℃
  • 구름조금서울 14.6℃
  • 구름많음대전 14.4℃
  • 맑음대구 15.4℃
  • 맑음울산 15.8℃
  • 구름조금광주 13.3℃
  • 맑음부산 15.1℃
  • 구름많음고창 13.7℃
  • 흐림제주 14.0℃
  • 맑음강화 12.9℃
  • 구름많음보은 12.8℃
  • 구름조금금산 13.9℃
  • 구름많음강진군 14.7℃
  • 맑음경주시 15.0℃
  • 맑음거제 13.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제주 문화·역사 기록·유지에 헌신 ... 4·3 증언 채록 작업도 참여

 

제주 신화의 원형을 찾아 굿판을 40년 넘게 누비며 탐구해온 민속학자이자 시인인 문무병씨가 별세했다. 향년 75세.

 

제주민예총은 고인이 지난 19일 숙환으로 세상을 떠났다고 20일 밝혔다.

 

제주 문화운동 1세대로 평가받는 고인은 1950년 제주에서 태어났다. 1990년 '문학과비평'을 통해 등단했고, 1993년 제주대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보기드문 무속(巫俗)분야 전공 학위였다. 그는 이후 제주의 문화와 역사를 기록하고 지키는 일에 헌신했다.

 

그는 국어교사와 제주교육박물관 연구사로 재직했다. 1994년 제주민예총 초대 회장을 맡아 제주문화예술운동의 기틀을 마련했다. 제주신화연구소 소장, 제주전통문화연구소 이사장, 민족미학연구소 이사 등을 지내기도 했다. 명맥이 끊겼던 탐라국 입춘굿을 복원해 제주 전통 축제의 원형을 계승한 것도 그의 업적이다.

 

제주4·3연구소 소장을 지내기도 한 고인은 4·3 증언집 '이제사 말햄수다' 등의 증언 채록 작업에 참여하며 4·3 진상규명 운동에도 앞장섰다.

 

그는 '제주의 무속신화'(1999년), '제주도 큰굿 자료집'(2001년), '제주의 민속극'(2003년), '바람의 축제, 칠머리당영등굿'(2004년), '제주도 본향당 신앙과 본풀이'(2008년), '설문대할망 손가락'(2017년), '두 하늘 이야기'(2017년) 등의 저서를 남겼다.

 

제주민예총은 "누구보다 치열하게 제주문화의 가치를 증명한 실천가였던 고인은 사라져가는 전통을 복원하며, 역사의 진실을 기록하는 일에 평생을 바쳤다"며 "그가 남긴 연구 성과와 유산은 앞으로 제주를 이해하는 중요한 나침반이 될 것"이라고 고인을 추모했다.

 

유족으로는 자녀 문재호, 문재현씨가 있다. 빈소는 제주시 부민장례식장에 마련됐다. 발인은 22일 오전 7시 30분. 영결식은 제주민예총 민족예술인장으로 치러진다. [제이누리=양은희 기자]


추천 반대
추천
1명
100%
반대
0명
0%

총 1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