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6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교통·쓰레기·안전 비용 급증 … "이제는 지속가능성 지표로 전환해야"

 

제주 관광이 여름 성수기와 광복절 연휴를 맞아 '만석 행렬'로 북적였지만 현장의 체감 경기는 여전히 냉랭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광객 수는 늘었지만 지역경제의 숨통은 트이지 않았다는 지적이다.

 

25일 제주도에 따르면 오영훈 제주지사는 SNS를 통해 "7월 고용률 70.1%, 실업률 1.8%"를 언급하며 관광객 증가를 회복 성과로 자평했다. 해수욕장 요금 인하와 '제주와의 약속' 캠페인, 전국민 여행지원금 등을 성과 배경으로 꼽았다.

 

그러나 한국은행 제주본부에 따르면 올 상반기 내국인 카드 소비는 여전히 마이너스를 기록했고, 도내 업계에서는 "사람은 몰리는데 계산대는 비어 있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제주는 그간 관광객 수치와 이벤트성 사업으로 성과를 포장해 왔다.

 

그러나 사설 관광지 운영자들은 "행사 때만 손님이 늘고 끝나면 원래대로 돌아온다"며 "장기 체류나 재방문으로 이어지지 않는 구조가 문제"라고 지적했다.

 

'탐나오', '비짓제주', 디지털 관광증 '나우다(NOWDA)' 등 플랫폼도 난립했지만 이용률은 저조하고, 업계는 "광고비만 늘고 매출은 그대로"라며 불만을 토로한다.

 

제주의 한 호텔 대표 고모씨는 "플랫폼은 많아졌는데 정작 손님은 늘지 않았다"며 "홍보비만 부담하고 매출은 제자리라 사업자들만 지친다"고 말했다. 

 

관광객 증가는 교통·환경·안전 비용이라는 그림자도 동반하고 있다. 한국교통연구원에 따르면 제주 교통혼잡 비용은 2016년 4285억원에서 2021년 8280억 원으로 급증했다.

 

쓰레기 처리 한계도 현실이다. 지난 6월 처리장 진입로가 막히자 2일 만에 469톤이 쌓이고 하루 처리비용만 1억원을 넘어섰다. 일부 해수욕장은 안전요원 배치가 늦어 사고 우려가 제기되기도 했다.

 

국제사회는 이미 지속가능성을 관광정책의 핵심 지표로 권고하고 있다. OECD는 관광정책이 단순한 양적 확대가 아니라 혼잡·환경·안전·주민 수용력 지표로 전환돼야 한다고 강조했고, UN 세계관광기구(UNWTO)와 국제지속가능관광위원회(GSTC)도 환경 관리와 주민 수용력을 핵심 기준으로 명시했다.

 

제주 역시 2018년부터 SDGs(지속가능발전목표) 기반 지표를 운영했지만 국제 기준을 본격 도입하지는 못했다. 전문가들은 이제 구호가 아닌 실행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제주관광협회 관계자는 "관광 성과는 입도객 수가 아니라 이동 효율과 안전 관리, 환경 부담 감축률로 평가해야 한다"며 지표 전환을 요구했다. [제이누리=김영호 기자]


추천 반대
추천
4명
100%
반대
0명
0%

총 4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