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추진한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전국적으로 지급되는 상황에서 제주지역 일부 대형 매장이 카드형은 받지 않고 지류형 상품권만 받는 방식으로 운영돼 논란이 일고 있다. 제주중앙지하상가 7번 입구 앞 민생회복 소비쿠폰 안내 현수막이다. 기사의 특정사실과는 관련이 없다. [제이누리=김영호 기자]](http://www.jnuri.net/data/photos/20250832/art_17542896420385_6b1c46.jpg?iqs=0.36894114909936493)
정부가 추진한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전국적으로 지급되는 상황에서 제주지역 일부 대형 매장이 카드형은 받지 않고 지류형 상품권만 받는 방식으로 운영돼 논란이 일고 있다.
5일 <제이누리> 취재에 따르면 도내 일부 마트와 서점 등은 '소비쿠폰 지류 상품권만 사용 가능'이라는 안내문을 부착하고 있다. 이는 지역화폐 카드형 탐나는전은 받지 않고, 종이형 상품권만 사용을 허용하겠다는 의미다. 이러한 매장들의 공통점은 연간 매출 30억원 초과 사업장이라는 점이다.
정부는 소비쿠폰 사용처를 연 매출 30억원 이하 사업장으로 제한해 소상공인 중심의 소비 진작을 유도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대형 매장이 지류형만 선택적으로 받는 방식으로 소비쿠폰 유입을 유도하고 있는 셈이다.
현재 제주지역화폐 '탐나는전'은 카드형과 지류형 두 가지 형태로 발급된다. 이번 소비쿠폰도 이 방식으로 제공된다. 신청자는 두 가지 중 선택할 수 있다. 도는 유통기한이 5년으로 긴 지류형이 사용 추적이 어렵고 변칙 활용 가능성이 높다는 이유로 우려를 제기해왔다.
실제로 유효기간이 올해 11월 30일로 제한된 소비쿠폰이 지류형으로 수령된 뒤 연매출 수백억 원에 달하는 하나로마트 등 대형 유통점에서 사용되는 사례가 속속 확인되고 있다. 도는 해당 소비쿠폰의 변칙 사용을 막기 위해 최근 발급된 지류형에 '소비쿠폰' 문구를 별도로 표시하고, 대형매장에 자제 협조 요청 공문도 발송한 상태다.
한편 일부 주민센터에서는 지류형 상품권 수요가 몰리면서 조기 소진으로 인한 민원과 혼선도 발생하고 있다. 특히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지급 우선 방침에도 항의가 잇따르고, 일부 신청자들은 "지류형이 훨씬 편리하고 사용처도 많다"며 불만을 토로했다.
제주시 한림읍에 거주하는 이승원씨(66)는 "종이형 상품권을 받고 싶었지만 이미 배정된 수량이 모두 소진됐다고 해서 어쩔 수 없이 다른 방식으로 받았다"고 말했다.
소상공인 단체는 정부 정책의 본래 취지가 훼손되고 있다고 우려를 표하고 있다.
박인철 제주도소상공인연합회장은 "본래 목적에 맞지 않게 사용하는 사례가 있어 지류형 소비쿠폰의 추가 발급 및 지급은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제주도 관계자는 "지류형만 받는 것은 제도의 맹점을 활용한 사례로 원칙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며 "일부 매장에 민원이 접수된 만큼 제도 보완과 협조 요청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3일 0시 기준 제주지역에서 소비쿠폰을 신청한 도민은 전체 대상자 66만1200명 중 약 90.6%인 59만9000여명이다. 이 중 지역화폐(탐나는전) 형태로 받은 비율은 약 38.2%이다. 이 중 카드형이 89%, 지류형이 11%를 차지하고 있다.
제주도는 불편 해소를 위해 지류형 상품권의 추가 발급도 추진 중이다. 농협은 지류형 소비쿠폰의 대형마트 사용 자제를 고객에게 안내하겠다는 입장이지만 강제력은 없다. [제이누리=김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