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5 (토)

  • 흐림동두천 5.9℃
  • 흐림강릉 10.5℃
  • 연무서울 8.9℃
  • 흐림대전 8.7℃
  • 흐림대구 8.6℃
  • 흐림울산 7.4℃
  • 흐림광주 10.6℃
  • 흐림부산 10.3℃
  • 흐림고창 7.5℃
  • 흐림제주 10.8℃
  • 흐림강화 5.7℃
  • 흐림보은 7.1℃
  • 흐림금산 7.1℃
  • 흐림강진군 10.5℃
  • 흐림경주시 5.0℃
  • 구름많음거제 8.5℃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지난해부터 어획량 많이 줄어" … 올들어 2월까지 위판액도 저조

 

제주도내 7개 수협 중 갈치를 주요 위판 어종으로 하는 5개 수협의 지난해 위판액이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들어 지난달 말까지의 갈치 위판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8억 원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9일 수협중앙회에 따르면 제주 7개 수협 중 갈치가 주요 위판 어종인 서귀포수협과 성산포수협, 제주시수협, 모슬포수협, 한림수협의 지난해 위판량이 2023년보다 상당폭 감소했다. 제주는 전국 갈치 위판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최대 산지다.

 

이 중 갈치 생산량이 가장 많은 서귀포수협의 위판량은 2023년 8307톤에서 지난해 6948톤으로 16.4% 줄었다. 위판액은 979억1400만원에서 863억4900만원으로 11.8% 감소했다.

 

두 번째로 많은 갈치를 생산하는 성산포수협의 위판량은 7500톤에서 5308톤으로 무려 29.2%나 감소했다. 위판액은 824억1500만원에서 601억3000만원으로 27% 줄었다.

 

제주시수협, 한림수협, 모슬포수협의 갈치 위판량도 각각 42%, 28%, 10.6% 감소했다.

 

전국 수협의 갈치 위판량은 2023년 5만2000톤에서 2024년 3만5000톤으로 32.7%나 줄었다. 위판액은 4307억원에서 3158억원으로 26.7% 떨어졌다.

 

제주 지역의 5개 수협에서 올해 들어 지난 달 말까지 갈치 위판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벌써 128억원이나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김미자 서귀포수협 조합장은 "최근 한 어선이 대만 인근 해역까지 가서 한 달 동안 조업한 뒤 돌아왔는데 겨우 갈치 4000㎏ 잡았다. 경비 1억2000만원을 고려하면 4000만원 이상 적자를 본 셈이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해부터 갈치 어획량이 많이 줄어들고 있다"며 "지난해 갈치 어획량이 크게 줄어서 어민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올해는 더 줄어들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구온난화로 바닷물 온도가 올라가서 그런지 갈치 자원 자체가 감소한 것 같다"면서도 "한일어업협정이 빨리 타결돼 갈치 어장이 잘 형성되는 일본 배타적 경제수역(EEZ)에서 조업할 수 있게 되면 좋겠다"고 말했다.

 

한편 주 위판 어종이 삼치와 멸치인 추자도수협의 위판량은 1200톤에서 1100톤으로 소폭 감소했다.

 

넙치(광어) 양식업을 중심으로 결성된 제주어류양식수협의 위판량은 2023년보다 100톤 늘어난 1만7600톤으로 집계됐다. [제이누리=김영호 기자]


추천 반대
추천
1명
100%
반대
0명
0%

총 1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