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전적지 등 근현대사 유적지가 산재한 제주평화대공원과 인근 송악산 일대에 파크골프장과 야구장, 사격장 등의 체육시설 조성이 추진된다. 하지만 제주평화대공원의 평화·생태 가치 보존을 주장하는 단체가 이를 강력반대하는 등 논란이 일고 있다.
제주도는 알뜨르비행장 등의 제주평화대공원과 인근 송악산 일대에 스포츠타운을 조성하는 내용의 '마라도해양도립공원 공원계획 변경 용역'을 오는 18일 최종 보고한다고 16일 밝혔다.
용역안에는 알뜨르비행장 활주로 동쪽에 야구장 4면과 사격장을 건설하고 북동쪽 지하 벙커와 관제탑 유적지 주변에 대규모 파크골프장을 건설하는 방안이 포함됐다. 송악산 인근 산이수동 마을 근처에는 전지훈련장이 계획됐다.
마라도해양도립공원 육상부(0.58㎢)에는 송악산과 인근 고사포 진지 등의 일제 전적지 등이 있다.
마라도해양도립공원 육상부 서쪽에 있는 제주평화대공원 부지에는 알뜨르비행장, 비행장 격납고, 제주4·3유적지인 섯알오름 예비검속 유적지 등의 근현대사 유적들이 산재해 있다.
강애숙 제주도 기후환경국장은 "이번 최종보고회는 마라도해양도립공원의 보전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송악산과 제주평화대공원 보존을 위한 '송악산·알뜨르사람들'은 최근 성명을 통해 "평화와 생태의 공간인 이곳에 난데없이 체육시설 건설안을 검토한다는 발상을 용납할 수 없다"며 "체육시설 건설안을 강력히 반대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송악산과 알뜨르 일대가 생태와 평화의 가치를 온전히 실현하는 평화대공원으로 조성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제주평화대공원 부지는 국유재산이지만 지난해 9월 제주특별법 개정으로 활주로를 제외한 69만㎡를 제주도가 무상양여 받아 쓸 수 있게 됐다.
서귀포시 대정읍에 있는 알뜨르 비행장은 일제강점기인 1926년 조성이 시작돼 1945년까지 사용됐다. 활주로 길이는 1400m, 폭 70m 규모다.
1937년 중일 전쟁 때에는 일본해군의 중국 난징 폭격 발진기지였고 1945년 태평양전쟁 막바지에는 일본 본토 사수를 위한 '결7호 작전' 군수 시설 중 하나였다.
제주4·3 당시에는 학살의 현장이면서 한국전쟁 때는 주변에 육군 제1훈련소와 전쟁 포로 수용소 등으로 활용됐다. '알뜨르'는 아래쪽 벌판이라는 의미의 제주어다. [제이누리=김영호 기자]
☞ 태평양 결7호 작전= 1944년 7월, 사이판이 함락되자 일본 본토가 적의 공습 가시권에 들어가면서 미군의 본토 상륙에 대한 대응은 초미의 관심사가 되었다. 일제는 미군의 상륙 방향을 두 경로로 예측했다. 하나는 사이판과 괌에서 일본 동남부의 오가사와라 제도를 거쳐 태평양을 거슬러 도쿄를 직접 타격하는 경로였다. 또 하나는 필리핀에서 오키나와 열도를 거쳐 서남부 규슈로 상륙하는 루트였다.
규슈 경로가 채택될 경우, 미군은 제주도를 점령한 후 여기에 베이스캠프를 꾸리고 일본 본토를 공격할 가능성이 컸다. 이는 규슈 상륙작전과 일제 최정예 부대인 관동군의 본토 합류를 차단하는 일거양득의 효과를 노릴 수 있었다.
1945년 2월 9일, 일제의 방위총사령관은 각 방면군 사령관에게 비밀 작전 명령을 내린다. 이른바 암호명 「결호(決號)작전」이었다. 이름에서부터 결연한 의지가 풍기는 이 작전 중 결1호에서 결6호까지는 모두 일본 영토이고, 제주도만 유일하게 일본 영토 외 지역이었다. 제58군 7만4781명의 병력을 배치하는 '결7호'(決七號)라는 작전명으로 제주도 전 지역을 요새화하는데 사활을 걸었다.
현재는 유명 관광지가 된 성산일출봉을 비롯해 송악산, 서우봉, 삼매봉, 수월봉, 추자도를 비롯한 주요 해안 거점에 동굴진지를 구축했다. 미군 상륙 함정을 공격할 해군 특공대의 소형 함정과 어뢰 등을 숨기기 위해서였다.
일본군은 또 제주도 내륙지역 오름에는 복곽진지, 주저항진지, 전진거점, 위장진지 등으로 전술 용도를 구분해 포병기지, 보병기지, 지원부대와 관측소용 동굴진지, 고사포 진지를 구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