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4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7~8일 제주플러스 국제환경포럼 ... 유네스코 생태지구과학국장 및 국내.외 환경 전문가 모여

 

제주도가 글로벌 환경 리더들과 손을 맞잡고 2040년까지 플라스틱 없는 지속가능한 자원순환체계를 구축하는 ‘2040 플라스틱 제로 제주’ 실현에 더욱 속도를 낸다.

 

제주도는 2023 제주플러스 국제환경포럼 개회식이 7일 오후 2시 제주국제컨벤션센터 한라홀에서 열렸다고 7일 밝혔다.

 

이날 개회식에는 오영훈 제주지사, 김광수 제주도교육감, 송창권 제주도의회 환경도시위원장, 안토니오 아브레오(Antonio Abreu) 유네스코 생태지구과학국장, 이창흠 환경부 기후탄소정책실장, 정재웅 한국환경공단 자원순환본부장 등 국내.외 환경분야 리더 및 전문가, 도민 등 300여명이 참석했다.

 

오 지사는 ‘2040 플라스틱 제로 제주’를 성공으로 이끌어 국제사회의 선도모델로 앞장서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오 지사는 “지난해 8월 바로 이곳에서 제주의 청정 자연을 보전하고, 사람과 자연이 행복한 제주를 실현하기 위해 ‘2040년 플라스틱 제로 제주’를 선언했다”면서 “2040년까지 플라스틱 사용량을 50% 감축하고, 자원화할 수 있는 플라스틱을 100% 재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구체적인 실천전략을 수립해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도민과 공공기관, 기업 모두가 한마음으로 플라스틱 사용 저감과 자원화에 힘쓰고 있다”면서 “도민 참여를 바탕으로 도민이 주도하는 환경정책으로 진화해 자원순환경제사회를 향한 속도를 높여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부의 지원과 국제사회의 관심이 지방정부의 노력과 연계된다면 전 지구적 문제를 해결하는 새로운 출발점이 될 것”이라며 “제주가 ‘2040 플라스틱 제로 제주’ 선언을 반드시 성공으로 이끌어 국제사회의 모범모델을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안토니오 아브레우 국장은 “플라스틱은 인류 역사의 큰 전환점이자 많은 가능성을 줬지만 즉시 대응해야하는 문제들도 제기되고 있다”면서 “인류와 자연의 지속가능한 미래와 생물다양성을 위해 플라스틱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유네스코 3관왕인 제주도는 유네스코와 많은 일을 함께하면서 플라스틱 문제 해결을 위해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면서 “제주에서 플라스틱 제로를 실현할 수 있다는 것을 전 세계에 먼저 보여주고, 제주도에서 추진 중인 플라스틱 정책을 전 세계가 함께한다면 플라스틱 오염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도 보여달라”고 말했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영상축사를 통해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플라스틱 제품 생산부터 폐기까지 전 과정에서 순환이용을 확대하는 순환사회로 전환하는 것이 필수”라며 “대한민국 정부는 한국의 순환경제 노력을 국제사회에 공유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오 지사는 개회식 이후 메인 세션 기조발제자로 나서 ‘2040 플라스틱 제로 제주’라는 목표와 이를 실현하기 위한 참여와 행동을 강조하면서 광역생활자원회수센터 운영, 제주 자원순환 클러스터 조성사업 추진 등 제주의 노력 및 성과를 공유했다.

 

특히 환경부에 ‘순환경제 선도도시 지정제도’ 신설과 ‘순환경제 사회 전환 촉진법’ 개정을 건의하고, 세계자연보전연맹(IUCN)과 유네스코(UNESCO) 등 국제사회와 함께하는 제주 환경의 가치 보전과 자원순환 생태계 구축을 위한 공동사업을 공유했다.

 

끝으로 “제주플러스 국제환경포럼이 국제적 관심과 협력을 위한 하나의 구심점이 되길 바란다”며 “탈(脫)플라스틱과 순환경제 사회를 만들어가는 제주의 담대한 여정에 관심과 협력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환경부와 유네스코, 제주도가 공동으로 주최한 제주플러스 국제환경포럼은 ‘플라스틱, 순환경제 그리고 탄소중립 사회로 가는 길’이라는 대주제로 7~8일 이틀간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다.

 

포럼 첫날인 7일에는 개회식과 함께 김상협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위원장이 좌장으로 오영훈 지사와 이창흠 환경부 기후탄소정책실장 등의 패널이 참여하는 메인세션과 1개 세션, 1개 특별세션이 운영된다. 8일에는 탈(脫)플라스틱과 순환경제를 주제로 한 6개의 세션이 열린다. [제이누리=이주영 기자]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