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6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7일부터 생존희생자·유족 첫 국가보상금 지급 ... 위령재단에 보상금 지급결정 통지서 헌정

제주4·3 희생자 및 유족에 대한 첫 국가보상금 지급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제주4·3사건 발생 74년 만에 국가폭력에 의한 과거사 해결에 전기를 맞았다.

 

제주도는 7일부터 보상금 지급이 결정된 생존희생자 및 유족 등 300명에게 1인당 최대 9000만원의 국가보상금을 지급한다고 이날 밝혔다.

 

이번 지급은 지난달 27일 제주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위원회 보상심의분과위원회(이하 4·3중앙위원회)가 보상금을 신청한 304명 중 300명에 대해 252억5000만원의 국가보상금을 처음으로 지급하기로 결정을 내린 지 11일 만에 이뤄졌다.

 

도는 이를 기념해 7일 오전 9시30분부터 4·3평화공원 위령공원에서 4·3영령들께 300명의 첫 보상금 지급 보고를 하고, 위령재단에 보상금 지급 결정 통지서를 헌정했다.

 

이어 오전 10시부터는 제주 4·3평화교육센터에서 4·3희생자 첫 보상금 지급 기념식을 열었다.

 

행사에는 오인권 생존희생자(후유장애인협회 회장), 김순여 생존희생자 대표, 오임종 4·3유족회장, 오영훈 제주지사, 김경학 도의회 의장, 위성곤 국회의원, 윤병일 행정안전부 과거사지원단장, 박창욱 4·3중앙위원회 위원, 홍성수 4·3실무위원회 부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이날 첫 보상금이 지급되는 생존희생자와 참석자들은 ‘4·3의 정의로운 해결을 위한 평화·인권·화해·상생 선언문’을 낭독하고 서명했다. 

 

참석자들은 선언문을 통해 “74년 만에 이룬 ‘국가보상금 첫 지급’은 진상규명과 명예 회복을 위해 애써온 위대한 제주도민의 승리”라며 “참혹한 비극이 다시는 일어나지 않기를 바라는 모든 국민의 정성으로 세운 자랑스러운 대한민국의 역사”라고 말했다.

 

이어 “이제 우리는 아픈 역사로 품은 평생의 한을 덜어내며 빛나는 미래를 향해 두 손을 꼭 맞잡아 나아가겠다”며 “제주 4·3은 신냉전 시대의 위기에서 지구촌 국가들의 연대를 이끌 세계적 평화의 모범모델이 될 것”이라고 선언했다.

 

생존희생자 오인권 씨는 “미래세대를 위한 평화와 인권의 상징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밝고 희망이 넘치는 4·3의 미래를 이끌겠다”는 문구를 낭독했다. 생존희생자 김순여 씨는 “오늘의 역사를 바탕으로 4·3의 진실과 가치를 세계에 널리 알리는 데 온 힘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오 지사도 인사 말씀을 통해 "비극과 슬픔을 이겨낸 제주에 따뜻한 봄이 왔다. 74년 염원을 담아 꽃피운 평화는 전 세계로 퍼져나갈 것"이라면서 “매번 4·3평화공원에 올 때마다 무거운 마음으로 눈물 흘렸던 적이 많은데 오늘은 매우 기쁜 마음으로 왔다. 단 한 분도 빠짐없이 생존 희생자에 대한 보상금 지급이 차질없이 이뤄질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4·3과정에서 한분 한분의 이름을 모두 기억해야 하며 이름을 올리지 못하고 밝혀내지 못한 분들의 아픔도 기억해야 한다”면서 “무명의 희생자에 대해서도 예우하고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위패봉안실에 무명 희생자를 모시는 부분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제주도는 지난 2일 4·3중앙위원회로부터 결과 통지를 받고 보상금 청구 안내문을 발송했다. 청구 신청자를 대상으로 보상급 지급에 돌입했다.

 

지난 6월 2일부터 1차 대상자 2117명에 대해 보상금 신청 접수를 받은 결과 지난 4일 기준 1947명이 보상금을 신청했다.

 

앞으로 보상급 지급 결정통지서를 받은 청구권자들은 통지서와 통장사본 등 관련 서류를 첨부해 가까운 읍면동·행정시·도에서 보상금을 청구하면 된다.

 

도는 보상금 청구 신청 한 달 이내에 보상금 전액을 일시불로 청구권자 본인 통장으로 입금할 예정이다. [제이누리=이주영 기자]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