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민국 최남단 마라도가 20만 년 전 해저 요암분출에 의해 형성된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
한라산연구부는 호주 커틴대와 협력해 우라늄-토륨-헬륨 연대측정법[(U-Th)/He]을 적용한 결과, 약 20만 년 전 해저 용암이 분출한 후 서서히 식으면서 평탄한 지형의 마라도가 형성된 것으로 조사됐다는 것을 새롭게 확인했다고 24일 밝혔다.
마라도는 모슬포항에서 남쪽으로 11km 거리에 있는 남북으로 길쭉한 타원형의 섬이다. 천연기념물 제423호로 지정․보호되고 있다.
그동안 마라도는 약 15만 년 전에서 26만 년 전 사이의 어느 시기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됐으나 아르곤-아르곤(Ar-Ar) 연대측정의 한계로 분출시기를 특정하지 못했다.
하지만 한라산연구부는 최근 우라늄-토륨-헬륨 연대측정법으로 마라도의 형성시기를 20만 년 전으로 특정했다.우라늄-토륨-헬륨 연대측정법은 거문오름(약 8000년 전), 송악산(약 4000년 전)등의 형성시기를 규명하는데 활용된 분석법이다. 현무암을 직접 분석하기보다 현무암 내에 포함된 규암편에서 저어콘(ZIRCON)을 분리해 연대를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앞서 제주 본섬의 서쪽에 있는 차귀도 역시 마라도와 비슷한 시기인 20만 년 전 형성된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

연구진은 또 마라도 현무암에서 꽃 문양의 직경 1~1.5cm 크기 작은 구(球) 형태 결정군집이 발달한 특징도 확인했다. 이는 제주도 본섬의 현무암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특징이다.
구 형태의 결정군집은 중심부에 흑색의 휘석결정 주변에 백색의 장석 결정이 구 형태로 성장한 독특한 조직이다. 국내에서는 경북 청송의 유문암이 둥근 꽃 문양을 갖는 암석으로 유명하다. 해외의 경우 데칸 현무암, 해저 심부 시추코아 등에서 보고된 사례들이 있으나 제주도와 같이 현무암 내에서 구 형태의 결정군집이 발달한 사례는 국내에서도 매우 희귀한 사례다.
한라산연구부 안웅산 박사는 “이번에 밝혀진 마라도의 형성시기가 약 20만 년 전 제주도 주변 해수면의 심도를 계산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 마라도 현무암 내 구 형태의 결정군집은 제주도 지하 마그마의 혼합 혹은 주변 기반암과의 상호 작용을 밝히는 실마리가 될 수 있다”면서 마라도의 화산지질학적 가치를 새롭게 평가했다.
세계유산본부는 지금까지 한라산과 그 주변 주요 오름의 형성시기와 특성을 중심으로 연구를 벌였으나 앞으로 순차적으로 연구지역을 확대해 제주도 전역의 형성과정을 밝혀나갈 계획이다. [제이누리=이주영 기자]



☞마라도=우리나라 최남단의 섬으로 대정읍 모슬포항에서 남쪽으로 11㎞, 가파도에서 5.5㎞ 해상에 있다. 면적은 0.3㎢, 해안선길이 4.2㎞, 가장 높은 곳은 해발 39m에 불과하다. 섬 전체가 남북으로 긴 타원형이고 해안은 오랜 해풍의 영향으로 기암절벽을 이루고 있다. 난대성 해양 동식물이 풍부하고 주변 경관이 아름다워 2000년 7월 천연기념물 제423호로 지정 보호되고 있다. 섬 전체가 완만한 경사를 가진 넓은 초원을 이루고 있다. 해안선은 대부분 해식애를 이루고 있는데, 북서해안과 동해안 및 남해안은 높이 20m의 절벽으로 되어 있으며 파도 침식에 의하여 생긴 해식동굴이 많이 발견된다. 마라도는 두께가 얇은 복합용암류(compound flow)로 흘러 겹겹이 쌓인 현무암으로 되어 있다.
원래는 대정읍 가파리에 속했으나 1982년 4월 1일마라리로 분리되었다. 본래 무인도로 울창한 원시림이 덮여 있는 무인도였으나, 1883년(고종 20년)에 제주본섬 모슬포에 거주하던 김(金)·나(羅)·한(韓)씨 등 영세 농어민 4, 5세대가 당시 제주목사 심현택으로부터 개간 허가를 얻어 화전을 시작하고서부터 삼림지대는 전부 불타 버렸다 한다.
섬에는 최남단을 알리는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해안을 따라 도는 데는 1시간 반 정도 소요된다. 주요 경승지는 섬 가장자리의 가파른 절벽과 기암, 남대문이라 부르는 해식터널, 해식동굴 등이며, 잠수 작업의 안녕을 비는 할망당과 마라도 등대, 마라분교 등이 있다. 1915년에 설치된 마라도 등대는 이 지역을 항해하는 국제선박 및 어선들에게 안내자의 역할을 한다. 마라도에는 주민들이 하늘에 있는 수호신이 강림하는 곳이라 신성시 여기는 애기업개에 대한 전설이 스며있는 할망당이 있다. 매년 섬사람이 모여 제사도 지낸다.
마라해양군립공원은 국토의 최남단 섬 마라도와 가파도까지 이어지는 빼어난 해안 절경이 장관을 이룬다. 1997년 8월 19일 군립공원으로 지정된 명소다. 대정읍 상모리, 하모리, 가파리, 마라리 해상과 안덕면 사계리, 화순리, 대평리 해안 일대, 송악산과 풍광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변경관은 감탄을 자아내게 한다. 특히 날씨가 맑을 때에는 서귀포 앞바다의 범섬과 문섬까지 육안으로 감상할 수 있으며 전체 면적은 49.228㎢이다. 세계적으로 유명해진 이곳은 청정바다와 진귀한 해양생태계를 자랑하고 있으며, 해저의 세계, 유람선관광, 체험어장, 스킨스쿠버, 바다낚시 등을 다양하게 즐길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