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2014년 출간한 '지방, 학교가 희망이다'의 후속편이다.
책은 지방단체의 학교교육 지원 경향, 자유학기제 의미와 시행, 교육복지사업 운영, 기숙형 중학교의 교육적 성과, 혁신학교로의 변화, 학교폭력의 성공적 대처, 좋은 학교로의 변화 등 7개 주제와 부록으로 구성됐다.
이 교수는 학교변화의 사례로 2015년 시작된 10개 ‘다혼디 혁신학교’ 가운데 하나인 제주 올레초등학교(가명)를 분석, 학교혁신의 가능성과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1편 <지방, 학교가 희망이다>에서 저자들은 우리나라 지방 학교의 교육 여건과 운영 원리, 가능성에 초점을 뒀다.
2편 <지방, 학교가 변하고 있다>에선 학교현장을 통해 지방 학교들의 교육여건, 운영원리와 가능성들의 실천적인 측면을 제시한다.
저자들은 머리말을 통해 “앞으로도 지방교육의 차별, 격차, 소외 현상은 극복되어야 할 진행적인 문제"라면서 "그럼에도 학교현장에서 변화를 향한 학교구성원들의 의지와 노력이 학교 교육력 향상을 위한 원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학교차원에서의 용감한 도전은 학교구성원들에게는 시련임과 동시에 자긍심과 보람을 안겨주고 있다”고 덧붙였다. [제이누리=박수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