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노루의 유해야생동물 지정을 3년 연장해 포획을 재허용 하는 것과 관련해 제주환경운동연합은 노루 개체수 산정에 오류가 있었다며 반대 입장을 밝혔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21일 "제주도 발표 내용대로라면 노루 생태계는 심각한 위기를 겪게 될 것이 불가피한 상황"이라며 "조례 개정안은 지난 3년간 노루포획에 대한 평가가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도는 2011년 기준 도내에 노루가 2만570마리가 있었다는 계산을 근거로 약 1만3000마리가 감소했다고 밝히고 있다"며 "이는 자연증가량을 전혀 계산하지 않은 단순계산으로 납득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어 제주환경운동연합은 "도의 적정개체수 발표 자료는 자연증가량을 약 30%정도로 잡았다"면서 "제주도의 계산대로라면 노루 개체수는 2012년 약 2만6000마리, 2013년 3만2500마리, 2014년 4만600마리, 2015년 5만1100마리여야 하지만 현재 노루가 약 7600마리라고 밝히고 있어 산정 근거에 오류를 범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지적했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도의 조사내용은 해당 사항에 대한 분석과 그에 따른 영향은 제대로 검토·연구되지 않았다"며 "명확한 연구와 분석이 있기 전까지 노루를 추가 포획하는 것은 불가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제주환경운동연합은 "포획 정책을 고수하는 것은 노루 생태계에 회복 불가능한 타격을 줄 수 있다"면서 "특히 '노루보호 대(對) 농가피해'라는 극단적인 정책 설정은 합리적인 타협점을 마련할 수 없게 만든다"고 주장했다. [제이누리=박수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