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4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농축산부 '2015년 농생명사업'에 선정 ... 제품 개발 등에 20억 투입

 

제주 메밀산업에 대한 정부 지원이 확정, 제주 메밀의 6차산업화에 탄력이 붙었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김우남 위원장은 20일 '메밀을 이용한 고부가가치 기능성 제품 개발 및 6차 산업화 적용모델 개발 사업'이 농림축산식품부의 '2015년도 농생명산업기술개발사업'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2012년 기준으로 제주 메밀의 생산면적과 생산량은 각각 1499ha, 1199톤으로 제주는 전국 1위의 메밀 주산지다.

 

세경본풀이라는 세계 유일의 메밀 신화를 보유하고 있는 등 그 생산성과 문화성에서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제주 메밀은 과잉 생산 문제를 드러내고 있는 월동채소의 대체작물로 주목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 관광산업과 연계 가능한 경관작물로도 인정받고 있다.

메밀은 항산화, 항당뇨, 노화방지 등에 효능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루틴 함량이 풍부한 곡물이다. 이로 인해 메밀은 건강기능식품 등 고부가가치 식품으로 개발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지적돼 왔다.

생산, 자연, 문화, 관광 및 식품 산업 등을 연계한 융복합 산업화의 성공 가능성을 인정받은 제주 메밀이 정부의 연구개발 지원 사업에 선정됨에 따라 제주 메밀의 6차 산업화에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메밀을 이용한 고부가가치 기능성 제품 개발 및 6차 산업화 적용모델 개발 사업'에는 향후 국비 16억원, 지방비 4억원을 포함해 총 20억원의 연구비 등이 투입될 예정이다. 제주테크노파크가 연구 주관기관의 역할을 담당한다.

우선 메밀자원을 활용한 농촌어메니티 증진기술 및 6차산업화 적용모델이 개발되고 고기능성·고품질 메밀자원 발굴 등이 이뤄진다.

또 현장 적응형 메밀품종 및 재배기술의 개발과 종자의 생산.보급, 고부가가치 건강지향성 식품 및 메밀추출물 활용 건강기능식품 개발 등도 추진된다.

김우남 위원장은 "앞으로 제주 메밀이 6차 산업화의 성공 모델이 될 수 있도록 국회 차원의 다각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제이누리=이재근 기자]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