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 소각장의 노후화로 인한 잦은 고장과 이로 인한 매립장의 포화 상태 등 제주지역 생활쓰레기 처리에 대한 제주도의 근복적 대책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지난 20일 제주환경운동연합의 제주도에 대한 생활쓰레기 근본대책 요구에 이어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도 쓰레기 처리문제에 제주도가 나설 것을 요구했다.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는 20일 성명을 내고 “소각장의 노후화로 인해 미처 처리되지 못하는 생활쓰레기들이 매립장으로 매립되고 있고 매립장은 내년이면 포화될 예정”이며 “제주시의 압축포장을 통한 대규모 야적 계획은 2차 환경피해를 낳을 위험성이 매우 높다”고 강한 우려를 나타냈다.
이에 “지난 2003년부터 생활쓰레기를 압축·야적해온 익산시의 경우 소각장이 완공된 2009년까지 야적된 양은 총 30만톤이었다. 2차 환경피해 등 실패한 사업이다”며 “제주시가 생활쓰레기를 압축포장하게 되면 하루 40∼50톤 압축, 한해 1만8000톤, 5~8년간 적어도 10만톤 이상 야적된다”고 지적했다.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는 근본적인 대책마련을 위해 “제주도가 적극 나서 생활쓰레기 처리 대책을 수립하고 생활폐기물 처리시설에 신규증설 및 보안증설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더불어 “계속 늘어가는 생활쓰레기에 대한 실효성 있는 감량정책이 동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는 “최근 더욱 심각해지는 생활쓰레기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제주도 전역의 생활쓰레기 기초시설에 대한 전수조사에 나설 것이다”고 밝혔다.
이들은 “제주도의 청소행정에 대한 전반적인 문제점을 파악하고 자원순환형 제주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면서 “제주도 역시 기초시설에 대한 전수조사를 진행하는 등 책임 있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