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대 분화구인 ‘하논’ 복원은 국책사업으로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서귀포시가 주최하고 (사)하논분화구복원범국민추진위원회가 주관한 ‘하논 분화구 복원방안 모색을 위한 워크숍’이 20일 서귀포시 제2청사 제1회의실에서 열렸다.
이번 워크숍은 9월 열린 세계자연보전총회 IUCN 회원총회에서 채택된 하논 복원의제 발의안에 따른 것이다.
‘생태적 복원의 개념, 방향 및 과제’를 주제로 발표에 나선 환경부 이창석 국립생태원건립추진추진단장은 우리나라와 외국의 복원사례를 제시하며 “하논 분화구를 복원함에 있어 생태적 복원의 실현과 생태복지를 실현함에 중점을 둬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를 위해 전문가 및 지역주민의 의견수렴을 통해 복원방향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논 분화구의 복원 방향’을 주제로 발표에 나선 이석창 (주)자연제주 대표는 “복원을 위해서는 반드시 국책사업으로 시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더욱이 “사업추진을 위해서는 우선 토지거래 허가구역 지정 및 개발행위제한지역 고시, 하논 분화구 복원지원 특별법지정, 세계의 지질·생태·환경 복원 전문가가 참여하는 하논 분화구 복원자문위원회 구성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그는 “복원 사업내용으로 500년 전 훼손된 분화구 일부 및 마르호수 복원, 분석구 및 분화구 일대 천연식생 복원, 고생물·고기후 및 미래 환경변화 연구센터, 방문객센터 건립 등을 포함해야 한다”며 “지역주민들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서귀포시는 이번 워크숍에서 제기된 사항을 정리해 내년에 하논 분화구 복원 기본계획 수립용역에 따른 기초 자료로 활용 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