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부터 2013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제주가 4년 연속 학력 전국 1위를 차지했다. 자랑스러운 성적이다. 수도권 아이들에 비해 열악한 교육환경인데도 4년 연속 1등을 할 수 있다는 것은 매우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물론 제주도 교육자들도 "제주도 교육은 전국 최고"라며 자랑…
지난 10일 참여정부 당시 청와대 대변인이었던 천호선 진보정의당 당대표 후보는 제주도의회 도민의 방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제주해군기지 추진결정과 관련하여 “당시 판단에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고 고백하고 이에 대해 막중한 책임감을 가지고 (앞으로 해군기지) 공사중단과…
지난 1일은 민선5기 우근민 제주도정이 출범한지 만 3년이 되는 날이다. 우 지사는 이날 오전 10시 제주도청 기자실에서 취임 3년 성과를 발표하는 ‘기자회견’ 자리를 마련했다. <장면 1> 우근민 제주도지사는 이날 오전 9시부터 가진 직원 정례조회에서 우수공무원에 대한…
“나는 무죄다. 나는 다만 나치독일의 일원으로서 명령에 따랐을 뿐이다” 2차 세계대전 때 독일군의 장교로서 유대인 학살을 수행했던 아이히만에 대한 전범재판 현장. "상부의 명령을 수행한 자신은 무죄"라며 아이히만이 항변했다. 요즘 제주사회가 들끓고 있다…
‘분열’(分裂)의 국어사전적 의미는 “찢어져 나뉘는 것”이다. ‘갈라짐’을 말한다. ‘조장’(助長)은 “바람직하지 않은 일을 더 심해지도록 부추기는 것”이다. 결국 "분열을 조장한다"는 건 “찢어져 나뉘는 걸, 갈라지는 일이 더 심해지도록 부추기는 일”을 의미한다. 제주도는 지난달 31일 공식 해명…
▲ 서상기 국민생활체육회장[joins=newsis] "세금 가장 값있게 쓰는 일이 생활체육… 내가 역할 할 것" “대한민국 갈등 비용이 연 300조원이라고 한다. 생활체육은 다치고 상처 난 한국 사회의 응급처방 역할을 할 것이다. 온 국민이 체육을 통해 밝고 활기…
거침이 없었다. 막힘도 없었다. 명불허전(名不虛傳)이었다. 신구범 전 제주도지사가 지난해 4월부터 말문을 열었다. 1998년 6·4지방선거에서 낙마한 뒤 공직을 떠났던 그가 <제이누리>에 회고록을 쓰기 시작하면서 지나온 인생사를 털어놨다. 지난해 4월17일부터 연재를 시작, 4월30일까지 1년…
▲ 양성철/<제이누리> 발행·편집인 유엔(UN)은 1965년부터 국제수문 10개년 사업을 벌여 세계 수(水)자원의 관리를 위한 종합적인 해결방안을 조사했다. 많은 국가에서 물 부족 현상이 대두됐기 때문이다. 1967년 세계물평화회의, 1972년 국제연합 인간환경회의, 1977년 국제연합…
▲ 양성철/ 제이누리 발행·편집인 <장면1> 꼭 1년 전의 일이다. 지난해 3월7일 서귀포시 강정마을 해군기지 공사현장이 주무대. ‘구럼비’가 이날의 뉴스 키워드다. 구럼비바위는 길이 1.2km에 너비가 150m나 되는 거대한 바위였다. 검은색의 용암너럭바위는…
제주도의회 제303회 임시회가 28일 그동안의 일정을 끝으로 폐회했다. 이번 임시회에서는 제주사회에 논란을 불러 일으켰던 여러 현안에 대한 처리가 이뤄졌다. 더구나 의장의 ‘직권 상정보류’라는 전격적인 카드를 꺼내들며 일부 현안에 대해 논란도 일단락 됐다. 그러나 논란은 여전하다. 제주도의회는…
▲ 양성철/ <제이누리> 발행·편집인 아라비아에서 전해졌다고도 하고,남부 아시아에서 전파됐다고도 하는 감귤-. 멀리 삼국시대 이전까지 유래가 거슬러 올라가는 감귤은 이제 제주도·제주도민의 생존과 뗄래야 뗄 수 없는 과수작목이란 건 제주도민 누구나 아는 사실이…
제주사회가 연일 갈등이다. 새해 벽두부터 심상치 않다. 이곳저곳에서 갈등의 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다. 7년이 지난 제주해군기지 문제에서부터 최근엔 비양도 케이블카·종달리 양계장·애월항 개발에 이어 제주노루 처리문제까지 번지더니 급기야 해상풍력발전단지 문제까지 터졌다. 하지만 정부·도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