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로 20주년을 맞은 '평화와 번영을 위한 제주포럼'이 정부 주도의 '국제한반도포럼(GKF)'과 성격이 겹치면서 정체성 논란에 다시 휩싸이고 있다. 18일 서울 포시즌스호텔에서 '한반도와 동북아의 평화공존으로의 전환'을 주제로 열린 '2025 국제한반도포럼' 1일차 회의 장면이다. [출처=국제한반도포럼 유튜브]](http://www.jnuri.net/data/photos/20250938/art_175817030252_1083e9.jpg?iqs=0.9733086939626412)
올해로 20주년을 맞은 '평화와 번영을 위한 제주포럼'이 정부 주도의 '국제한반도포럼(GKF)'과 성격이 겹치면서 정체성 논란에 휩싸이고 있다. 한반도와 동북아 평화를 주제로 한 두 포럼이 유사한 의제를 다루면서 사실상 경쟁 구도가 형성됐다는 지적이다.
통일부는 18일 서울 포시즌스호텔에서 '한반도와 동북아의 평화공존으로의 전환'을 주제로 '2025 국제한반도포럼'을 개막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해 광복절 경축사에서 창설을 공식화한 뒤 두 번째로 열린 행사다. 기존 ‘한반도국제포럼’을 확대 개편해 국제회의로 발전시킨 것이다.
올해 한반도포럼에는 정동영 통일부 장관을 비롯해 국내외 석학과 전직 외교관, 국제기구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했다. 존 에버라드 전 주북한 영국대사, 제임스 히난 유엔인권사무소 한국대표, 피터 셈네비 스웨덴 외교부 한반도 특사 등이 연사로 나서 한반도와 동북아 평화 전략을 논의했다.
정 장관은 개회사에서 "북한과의 대화 재개가 시급하다"며 '평화적 두 국가론'을 강조하기도 했다.
문제는 제주포럼의 정체성과 위상이다. 제주포럼은 2001년 김대중 정부 시절 출범해 동북아 평화와 협력 방안을 다자적으로 모색하는 국제회의로 자리 잡았다.
외교부가 후원기관으로 참여하며 한반도 평화 담론을 이끌어왔지만 2011년 연례행사로 전환된 뒤에는 백화점식 의제 설정과 '끼워넣기식 주제'라는 비판에 시달려왔다. 제주도의회와 지역사회에서도 "창설 취지를 잃었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지난 5월 29일 열린 제주포럼에 대한 성과평가 회의에서 오영훈 제주지사는 외교부뿐 아니라 통일부와 행정안전부 등 정부 부처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러나 이후 통일부가 별도의 국제회의를 창설하고 규모를 확대하면서 제주포럼은 정부 행사와 직접 경쟁하는 처지에 놓이게 됐다.
특히 한반도포럼은 '평화와 번영', '동북아 공동번영'이라는 주제에서 제주포럼과 판박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전문가 초청에서도 중복이 불가피해 두 포럼이 의제와 연사 확보에서 충돌할 가능성이 높다.
제주포럼 기본계획은 20주년을 맞아 "한반도와 동아시아 평화·번영을 위한 대표적 다자 대화 플랫폼으로 정체성을 확고히 하고, 정부 주도의 유사 회의와 차별화된 전략을 통해 국제적 위상을 강화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한 바 있다. [제이누리=김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