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의 상급종합병원 지정 문제를 두고 새로운 해법이 제시됐다. 17일 오전 제주도청에서 열린 2025 더불어민주당-제주도 예산정책협의회에서 정청래 대표와 오영훈 제주지사를 비롯한 양측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http://www.jnuri.net/data/photos/20250938/art_17580961628165_60fc50.jpg?iqs=0.4106416253287014)
제주의 상급종합병원 지정 문제를 두고 새로운 해법이 제시됐다. 권역 분리를 통한 지정 추진보다는 도내 병원 역량을 높이고, 필요할 경우 여러 병원을 묶어 지정하는 방식이 지방 현실에 맞다는 의견이 나온 것이다.
더불어민주당과 제주도는 17일 오전 도청 탐라홀에서 '2026년도 예산정책협의회'를 열고 내년도 국비 확보와 제도 개선 과제를 논의했다. 회의 후 문대림 의원(제주시갑)은 기자들과 만나 상급종합병원 지정 논의가 협의회에서 언급됐다고 전했다.
문 의원은 "제주의 상급종합병원 문제는 단순히 권역 분리 여부가 아니라 도내 병원 수준이 근본적인 쟁점"이라며 "한 병원이 단독으로 지정되는 방식 외에도 진료과목을 나눠 여러 병원을 묶는 패키지 지정이 지방 현실에 적합하다"고 말했다.
현재 제주대병원이 가장 유력한 후보로 거론되지만 지정 기준을 충족하기에는 역량이 부족하다는 평가가 적지 않다. 이에 특정 과목을 제주대병원이 맡고, 다른 과목은 별도의 병원이 담당하는 방식으로 병원 간 역할을 분담해야 한다는 구상이다.
재원 확보 역시 주요 과제로 꼽혔다.
문 의원은 "정부 책임 없는 상태에서 제주 병원 역량만으로는 상급종합병원을 운영하기 어렵다"며 "이를 뒷받침할 기금을 준비 중이고, 관련 법안이 정기국회에서 통과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기금을 활용해 도내 병원들이 지정 요건을 갖추도록 지원할 계획"이라며 "올해 국회가 끝날 때쯤 큰 틀이 보이고, 내년부터는 구체적 성과를 주민들이 체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제주는 그간 상급종합병원 지정을 위해 서울과 같은 진료권역에서 분리하는 방안에 집중해 왔지만 이번 협의회를 계기로 정책 방향이 병원 수준 강화와 다기관 연계로 옮겨갈지 주목된다. [제이누리=김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