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분산에너지 특구' 최종 지정이 지연되는 상황에서 관련 부처의 조직 개편 여부가 핵심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김녕 해상 풍력단지의 전경이다. [제이누리=김영호 기자]](http://www.jnuri.net/data/photos/20250729/art_1752804993169_d82660.jpg?iqs=0.9341986498439886)
정부의 '분산에너지 특구' 최종 지정이 지연되는 상황에서 관련 부처의 조직 개편 여부가 핵심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18일 국정기획위원회에 따르면 정부는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에너지 분야를 환경부와 통합하거나 산업부의 에너지 부문과 환경부의 기후 대응 기능을 합쳐 별도의 '기후에너지부'를 신설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현재 분산에너지 특구 지정을 담당하는 에너지위원회는 산업부 소속이다. 조직 개편이 현실화될 경우 해당 위원회의 소관 부처도 변경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자는 지난 17일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에너지 부문을 떼어내 기후에너지부로 개편하는 것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며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사실상 현 체제를 유지해야 한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앞서 지난 5월 제주를 포함해 부산 등 7곳이 분산에너지 특화지역(분산특구) 최종 후보지로 선정됐다. 이 중 제주에서는 전기차를 에너지 저장장치(ESS)처럼 활용하는 'V2G(Vehicle to Grid)' 실증 사업이 예정돼 있다. 전기차에 저장된 전력을 충·방전 방식으로 활용해 전력 시장에 공급하는 방식이다.
다만 도가 추진한 수소나 열로의 전력 전환 시범 사업 등은 이번 특구 사업에서 제외됐다.
제주도는 이에 대해 "정부를 상대로 해당 사업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지속적으로 설명해 왔다"며 "최종 사업 확정 시 시범 사업이 확대될 수 있도록 적극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분산에너지 특구는 중앙 집중형 전력 체계에서 벗어나 지역 내에서 전력을 생산하고 소비하는 '에너지 자립 모델'로 정부의 탄소중립 및 지역 균형 발전 전략의 핵심 정책 중 하나로 꼽힌다. [제이누리=김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