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9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8℃
  • 구름많음강릉 14.2℃
  • 흐림서울 18.6℃
  • 구름조금대전 24.2℃
  • 구름많음대구 23.6℃
  • 구름많음울산 23.2℃
  • 구름많음광주 22.6℃
  • 구름많음부산 20.4℃
  • 구름많음고창 21.7℃
  • 구름많음제주 19.3℃
  • 구름많음강화 16.2℃
  • 구름조금보은 22.2℃
  • 맑음금산 25.6℃
  • 구름많음강진군 20.2℃
  • 구름조금경주시 25.1℃
  • 구름많음거제 18.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고소작업 농기구·ESS 가로등 등 300대 보급 … 에너지 취약지 지원·자원 순환경제 시동

 

전국에서 처음으로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를 재활용한 보급사업이 제주에서 시작됐다.

 

9일 제주도에 따르면 도는 환경부, 제주테크노파크와 함께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를 재활용한 제품을 본격적으로 보급하는 시범사업에 착수했다. 연구 및 실증 단계를 거쳐 상용화에 돌입하는 전국 첫 사례다.

 

해당 사업은 환경부가 참여하는 국가 주도형 사업이다. 오는 2027년 12월까지 3년간 진행된다. 사업비는 모두 48억원으로 국비 24억원, 도비 14억4000만원, 민간부담금 9억6000만원이 투입된다.

 

사업 수행은 제주테크노파크가 맡는다. 연간 100대씩 3년간 모두 300대의 재사용 배터리 기반 제품이 보급될 예정이다.

 

보급 제품은 크게 이동형과 고정형 모델로 나뉜다. 이동형 제품으로는 3kWh급 고소작업용 농기구와 5kWh급 자율형 이송로봇이 있다. 농작업 효율 향상과 스마트 농업 기반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고정형 제품은 공동시설용 및 보급형 소형 에너지저장장치(ESS), 2kWh급 태양광 연계 독립형 가로등용 ESS가 포함된다. 주로 농어촌과 도서산간 지역처럼 에너지 공급이 취약한 지역에 공급돼 전력 안정화와 피크타임 수요 조절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간 도와 제주테크노파크는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에 대한 성능, 안전성, 활용 가능성 등 다각적 실증을 거치며 데이터 기반을 구축해왔다. 이번 시범사업은 그 성과를 토대로 한 상용화의 첫걸음이다.

 

도는 이번 사업을 통해 자원 선순환 체계를 확립하고, '제주형 배터리 순환경제 모델'을 완성해 전국 확산의 기반을 마련할 방침이다. 사업 관련 자세한 정보는 제주테크노파크와 제주산업정보서비스 누리집(http://jeis.or.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양제윤 제주도 혁신산업국장은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를 농촌과 에너지 취약지에 재공급하는 것은 지속가능한 미래로 가는 중요한 이정표"라며 "자원 순환형 산업 생태계를 만들고, 제주가 탄소중립과 에너지 전환을 선도하는 지역으로 거듭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제이누리=김영호 기자]

 


추천 반대
추천
1명
100%
반대
0명
0%

총 1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