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민생 안정을 위한 재정 조기 투입에 나섰다. [제주도 제공]](http://www.jnuri.net/data/photos/20250314/art_17433845174232_2e443e.jpg)
제주도가 민생 안정을 위한 재정 조기 투입에 나섰다.
제주도는 31일 소비촉진과 관광객 유입, 청년 일자리 창출 등을 핵심으로 한 '2025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을 편성해 도의회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추경 규모는 당초 예산보다 2.9% 늘어난 7조7977억원이다.
이번 추경은 경기침체 장기화와 관광 회복 지연 상황을 반영해 도민 체감도가 높은 사업 위주로 구성됐다. 특히 지역경제 선순환 구조 복원을 위한 ‘마중물 역할’에 초점이 맞춰졌다는 설명이다.
이번 추경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지역화폐 '탐나는전'의 적립률 확대다. 오는 4~6월에는 최대 200만원까지 15%를, 하반기에는 70만원 한도에 10% 적립률이 적용된다. 모두 166억원이 추가 편성됐다.
도는 이를 통해 소비를 진작시키고, 지역 소상공인의 매출 회복을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동시에 출산급여와 출산대체 인력비 지원, 자영업자 고용보험료 지원 등 소상공인 대상 신규 지원도 포함됐다.
저신용 소상공인을 위한 '제주형 지원카드'(5억원)와 '미소금융 이차보전'(2000만원)도 처음 도입됐다.
청년 일자리 확대에도 추경 예산이 집중됐다. 제주 콘텐츠 산업 육성을 위한 청년 일자리 사업에 30억원이 투입되고, 주 30시간 이하 단시간 노동자 및 주말 근무자 지원 사업도 신규로 포함됐다. 공공근로사업 예산도 모두 61억7000만원으로 확대됐다.
관광 부문에서는 '제주의 선물' 프로젝트로 불리는 여행 지원 정책이 강화됐다. '제주여행주간' 운영(2억5000만원)과 관광사업체 붐업 행사(7억원), 제주기점 뱃길관광 활성화(2억원) 등이 포함됐고, MZ세대 및 외국인 관광객을 겨냥한 여행 마케팅 예산도 다수 배정됐다.
비수기 숙박 쿠폰 제공, 대도시 팝업 홍보, 디지털 외국인 안내 시스템 구축도 함께 추진된다.
전국에서 처음으로 도입되는 '제주형 건강주치의 시범사업'에는 18억2000만원이 책정됐다. 65세 이상 노인과 12세 이하 아동을 대상으로 건강상담, 만성질환 관리 등이 주기적으로 이뤄진다.
이 외에도 신혼부부 공공임대료 지원(11억원), 청년 주택 구입 이자 지원(6억8000만원), 가족친화 인증기업 지원 확대 등이 포함됐다.
청년농업인 농지 임대료 지원, 한우농가 배합사료 운송비, 감귤박 사료화 등 1차 산업 분야에도 예산이 배정됐다. '2025 APEC' 제주 개최(7억5000만원), ‘문화의 달’ 행사(20억원) 등 지역 경제 활성화 연계 축제 예산도 포함됐다.
어르신 일자리 사업(+10억원), 대중교통 복지 지원(+27억원), 금융복지상담 신규 예산(3억2000만원) 등 복지 예산도 확대됐다.
오영훈 제주지사는 "정부의 추경 지연에도 불구하고 지역경제 회복을 위한 선제적 재정 투입이 시급하다는 인식 아래 소비 진작, 고용 창출, 관광산업 활성화에 중점을 뒀다"며 "단기적 경기 부양책과 함께 장기적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투자를 병행해 도민 삶의 질 향상과 지역의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추경이 침체된 지역경제에 숨통을 틔우기 바라며 도민들이 실질적 변화를 체감할 수 있도록 예산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집행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제이누리=김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