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7주년 제주4·3희생자 추념식을 앞두고, 대통령 권한대행으로 직무에 복귀한 한덕수 국무총리의 참석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덕수 국무총리가 지난해 4월 3일 오전 제주시 4·3 평화공원에서 열린 제 76주년 4·3 희생자 추념식에 참석해 추념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http://www.jnuri.net/data/photos/20250313/art_17428658272681_34e275.jpg)
제77주년 제주4·3희생자 추념식을 앞두고 대통령 권한대행으로 직무에 복귀한 한덕수 국무총리의 참석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제주도는 25일 "오는 4월 3일 열리는 제주4·3희생자 추념식에 한덕수 국무총리 참석을 요청했으며, 현재 행정안전부와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4·3추념식은 행정안전부가 주최하고 도가 주관하는 국가 공식 행사다. 2014년 4·3사건이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이후 대통령 또는 국무총리가 정부 대표로 추념사를 낭독해왔다.
윤석열 대통령은 대통령 신분으로 제주4·3추념식에 직접 참석한 적이 없다. 지난해 제76주년 추념식에도 불참했다. 당시에는 한덕수 국무총리가 정부 대표로 참석해 추념사를 낭독했다.
올해는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 사태에 따른 탄핵심판 상황에 놓이면서 참석 여부가 논의조차 되지 않았다. 다만 그는 2022년 대통령 당선인 신분으로 제74주년 4·3추념식에 참석한 바 있다.
제주도 관계자는 "한 총리가 주빈 자격으로 추념사를 맡을 수 있도록 행안부와 실무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며 "정부 대표의 참여는 희생자와 유족에 대한 정부의 의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메시지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한 총리는 다음 달 중 열릴 예정인 '제주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 전체회의 참석 여부에도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해당 위원회는 총리를 위원장으로 하고 있다. 지난해 회의에서는 1668명을 4·3희생자로 추가 인정하는 결정이 내려진 바 있다.
올해 회의에서는 추가 희생자 결정과 보상금 지급 관련 보완 조치, 유족 심의 확대 등 후속 과제가 논의될 예정이다. 한 총리가 직접 주재할 경우 상징성과 메시지가 더욱 부각될 전망이다.
도내 유족단체 관계자는 "대통령 권한대행으로서의 책임감을 갖고 한덕수 총리가 이번 추념식과 위원회 회의에 모두 참석해주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제이누리=김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