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9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숙의형 원탁회의 결과 '폐지' 41.2%, '유보' 8% ... 제주시, 추석 이후 '존폐' 최종 판단

 

26년간 제주 대표 봄축제로 자리매김했지만 환경파괴 논란이 일었던 제주들불축제의 운명이 곧 판가름난다. 숙의형 원탁회의 결과는 '유지하되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는 결론이었다.

 

들불축제 숙의형 원탁회의 운영위원회는 26일 오후 제주시청 기자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숙의형 원탁회의 결과에 따른 권고안을 발표했다.

 

운영위에 따르면 지난 19일 참여단 187명이 참석한 숙의형 정책개발 원탁회의에서 '들불축제를 유지해야 한다'는 응답이 50.8%, '폐지해야 한다'는 응답은 41.2%로 나타났다. '유보'는 8%였다.

 

지난 8월 31일부터 지난 5일까지 이뤄진 제주들불축제 존폐 및 대안에 대한 제주도민 인식조사에서는 ‘들불축제를 유지해야 한다’ 56.7%, ‘들불축제를 폐지해야 한다’ 31.6%, ‘유보’ 11.7%로 나타났으나 참여단의 40.6%(76명)가 당초 의사를 변경했다.

 

이에 따라 운영위는 제주들불축제가 제주지역의 문화적 가치를 지키며 ‘생태·환경·도민참여’의 가치를 중심으로 근본적으로 변화를 추구할 것을 권고했다. 

 

들불축제 변화를 위한 대안으로는 '현행대로 유지' 의견이 30.5%, '자연환경 보호를 위해 새별오름 그대로 보존' 20.3%, '자연환경 보호와 산불 예방을 위해 오름 불 놓지 않기' 19.8%, '다른 축제를 개발해 추진' 18.2% 등의 의견이 나왔다.

 

운영위는 "기후위기 시대에 도민과 관광객의 탄소배출, 산불, 생명체 훼손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는 대안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면서 "시대적 전환에 둔감할 수밖에 없었던 '관 주도 추진', '보여주기식 축제 기획'에 대해서는 획기적인 변화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또한 도민참여단 과반이 60대 이상으로 편중됐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도민참여단 선정에 있어 지역과 성, 연령별 균형있는 참여단 선정을 계획했으나 현실적 조건의 한계와 참여자 모집의 어려움으로 애초 계획을 충족하지 못한 점은 유감"이라고 말했다. 

 

이는 제주녹색당이 지난 20일 성명을 통해 "도민 참여단의 50% 정도가 특정 세대에 편중됐다"고 지적한 데 따른 것이다. 

 

들불축제 숙의형 원탁회의에는 20대 2명(1.0%), 30대 8명(4.2%), 40대 23명(12.2%), 50대 58명(31.0%), 60대 96명(51.3%) 등 187명의 도민 참여단이 참가했다. 20.30대를 합쳐도 전체 참여단의 5.2% 밖에 되지 않고, 60대 참여자가 절반을 넘긴 것이다. 

 

제주시는 도민 참여단 투표결과와 운영위로부터 전달받은 권고안을 검토한 이후  들불축제의 존폐 여부와 대안을 마련해 추석 연휴 이후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한편 제주들불축제는 1997년 옛 북제주군이 '정월 대보름 들불축제'란 이름으로 제1회 행사를 시작, 제주의 대표축제로 자리매김한 뒤 구제역 파동이 있었던 2011년을 제외하고는 매해 열렸다.

 

하지만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2020년에는 전면 취소됐고, 2021년엔 '새별오름 들불놓기' 행사만 온라인으로 여는 등 대폭 축소됐다. 지난해는 다른 지역의 대규모 산불 등 재난 상황에 전면 취소됐고, 올해도 같은 이유로 축제 하이라이트인 '오름 불놓기'가 취소됐다.

 

오름 불놓기 행사는 해발 519m의 새별오름 남쪽 경사면 26만㎡ 억새밭에 불을 놓고, 동시에 2000발의 불꽃을 터트리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장관을 연출하기 위해 오름 경사면에 석유를 뿌린 후 불을 놓기 때문에 석유가 타면서 많은 미세먼지와 탄소가 발생하는 데다 바람이 갑자기 강하게 불 경우 산불로 번질 우려도 높다.

 

특히 제주들불축제가 열리는 3월은 건조한 날씨로 산불 위험성이 높다. 이에 산불발생 우려와 환경오염 논란에 휩싸인 '오름 불놓기'를 놓고 의문이 지속 제기됐다.


이와 관련해 지난 5월 청구인 749명이 들불축제 존폐와 관련한 숙의형 정책개발을 청구했다. 도는 숙의형 정책개발청구심의회를 갖고 들불축제에 대한 숙의를 원탁회의 방식을 통해 추진하기로 결정했다. [제이누리=이주영 기자]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