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4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신성학원 총동문회 최정숙기념사업단, 생가터 표지만 제막 ... 제주교육 선구자.애국지사 삶 기린다

 

“누구라도 남의 압박을 받고 있는 것은 싫은 것으로 누구나 자유를 바라고 있으므로 조선도 자유의 나라가 되고 싶어서 독립을 원하는 것이다.”

 

초대 제주도교육감이자 여성 독립운동가인 최정숙 지사(1902~1977)를 기리는 표지석이 생가터에 들어섰다. 

 

신성학원 총동문회 최정숙기념사업단은 15일 광복절 오후 제주시 삼도2동 최정숙 애국지사 생가터(제주시 관덕로 14-4) 앞에서 생가터 표지판 제막식을 열었다.

 

제막식에는 유족과 신성여중·고 동문·재학생, 학교 관계자, 도의원, 오영훈 제주지사의 부인 박선희 씨와 김광수 제주교육감의 부인 김순선 씨 등이 참석했다.

 

생가터 표지판은 가로 30㎝, 세로 40㎝ 크기 동판으로 여기에는 최정숙 지사의 사진과 그가 남긴 말, 약력 등이 담겼다.

 

최정숙·강평국·고수선 등 제주 여성 독립유공자를 널리 알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기념사업단은 2∼3년에 걸쳐 수소문하고 자료를 조사한 끝에 최정숙 지사 생가터를 확인했다.

 

기념사업단은 "1900년대 초반에 사셨던 분들이 모두 돌아가셔서 확인이 어려웠지만 1919년 만세운동 당시 일본군에 검거돼 서대문형무소에 구속됐을 때 수형인 명부 기록을 통해 출생지를 제주면 삼도리 948번지로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기념사업단은 이번 표지판 제막을 계기로 최정숙 지사의 얼을 세계에 알려 귀감이 되고, 대한민국의 역사성과 도덕성 등 세계관을 정립하는 데 교훈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또한 "함께 활동했던 강평국·고수선 지사는 애족장을 받았는데, 최정숙 지사는 그보다 낮은 대통령 표창을 받아 서훈 등급을 올릴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라며 도민 사회의 관심을 부탁했다.

 

유족 대표 최영진 씨는 "제막식을 보며 생전 고모님 모습이 떠올라 매우 감격스럽다"며 "이곳이 애국충정의 마음을 새길 수 있는 장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1902년 제주면 삼도리에서 태어난 최정숙은 1914년 제주 최초의 사립여학교인 신성여학교를 졸업했다. 당시 신성여학교 졸업생은 최정숙을 포함해 단 16명이었다.

 

학업을 위해 서울로 떠난 최 지사는 1919년 3·1운동 당시 경성여자보통학교에 다니고 있었다. 1919년 3월1일 서울 탑골공원에서 독립선언문이 발표되자 최 지사는 경성여고보 학생들을 이끌고 수천명의 시위 군중과 함께 태극기를 흔들고 시위 행진을 하다가 일본 경찰에 검거됐다.

 

당시 경성여자보통학교 학생 70여명이 체포됐는데, 최은희, 최정숙 지사 2명만 대표급으로 구속됐다. 최 지사는 징역 6개월에 집행유예 3년을 선고받기까지 8개월간 옥고를 치러야 했다.

 

최 지사는 제주로 귀향한 후 한글을 알리기 위해 명신학교, 여수원, 소화학원, 해성학교 교사 등을 역임했다. 천주교에 귀의한 최 지사는 수녀를 꿈꾸기도 했지만 독립운동 관련 전과가 방해가 됐다. 이후 의사가 되기로 결심, 38세에 의학전문학교에 입학해 의사로서 첫 발을 디뎠다. 1944년 제주에서 정화의원을 개업하고 제주도민과 피난민 등을 무료로 치료해주기도 했다. 

 

이어 1916년 문을 닫은 신성여학교 재건에 앞장섰고 1946년 재개교한 신성여자중고등학교에서 교사로 일하다 1949년부터 1962년까지 무보수로 교장을 지내면서 여성 인재 양성에 힘을 쏟았다. 1955년에는 교장으로서의 봉사, 빈민구제 및 병원사업의 공로로 로마교황 훈장을 받았다. 정년퇴임으로 학교를 떠날 때까지 대한적십자사 부지사장, 유엔가입 제주도추진위원회 부위원장, 제주도 중등교육회장, 대한결핵협회 도지부장 등을 역임했다.

 

퇴직 후인 1964년 초대 제주도교육감으로 선출되기도 했다. 초대교육감으로 재직하는 동안 학교를 세우는 일 뿐만 아니라 농촌과의 학력격차 해소를 위해 교사 교류를 하는 등 다양한 정책을 폈다. 최 지사는 평생 독신으로 집 한 채 없이 수녀원에서 살다가 1977년 별세했다. [제이누리=이주영 기자]


추천 반대
추천
1명
100%
반대
0명
0%

총 1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