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산이 임박한 임산부가 제주에서 전북까지 소방헬기를 타고 긴급 이송됐다. 제주에 신생아 치료실이 부족해 분만이 불가능해지면서다.
제주소방안전본부는 지난 25일 조기 산통을 호소하는 30대 산모 부부(제주도민)를 소방헬기를 이용해 제주에서 전북까지 신속히 이송했다고 27일 밝혔다.
34주차 산모 고모(34)씨와 남편 송모(37)씨 부부는 당시 갑작스레 나타난 고씨의 복통에 제주대병원 응급실을 찾았다. 하지만 병원 내 15개의 신생아 집중 치료실 병상이 모두 가득찼고, 대기 중인 산모가 많은 등 도내에 수용 가능한 병원이 없는 상황이었다.
이에 제주소방 119항공대는 신생아 집중치료실 잔여 병동이 있는 전북대병원으로 부부를 이송했다.
제주는 호우주의보가 내려진 상태로 위험한 비행이 될 수 있었지만, 119항공대원들은 아이를 살리겠다는 일념으로 의사를 태운 뒤 비행을 시작했다.
전북으로 향하는 1시간 20분간의 비행 동안 대원들은 헬기의 소음과 진동으로 인해 의사소통이 되지 않자 스케치북을 이용해 남은 비행시간 등을 알려주고 산모의 건강상태를 수시로 체크했다.
또, 전북소방본부에 연락을 취해 미리 대기해줄 것을 사전 요청해 산모는 착륙 즉시 출동한 119구급대를 통해 신속하게 병원으로 갈 수 있었다.
조산 탓에 산모의 건강상태가 악화되고 검진결과 아이 몸무게가 1.85kg에 불과했던 긴급한 상황이었지만 소방공무원들의 고군분투와 의료진의 노력으로 현재 산모와 아이 모두 건강을 되찾았다.
현재 산모는 병원에서 안정을 찾은 뒤 자연분만을 기다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편 송씨는 “우리 깡총이(태명)는 약 3년간 시험관을 통해 어렵게 얻은 아이인데 많은 분들의 도움 끝에 자연분만을 기다리고 있어 정말 드라마에서나 나올법한 일을 겪었다”며 “힘든 상황에 소방관 분들의 대처에 정말 감동을 받았고 진심으로 감사드린다”고 전했다.
한편 보건의료 빅데이터 개방시스템에 따르면 제주지역 산부인과 의원 수는 지난 1분기 기준 21곳이다. 전년 동기 대비 2곳 줄었다. 이 중 분만이 가능한 산부인과는 단 9곳뿐이다. [제이누리=이주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