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4·3유족회가 4·3에 대해 왜곡발언을 했다는 이유로 국민의힘 태영호 최고위원을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하기로 했다.
24일 제주4·3기념사업회 등에 따르면 제주4·3유족회는 태 위원의 4·3 관련 발언을 명백한 역사왜곡으로 규정해 소송인단을 꾸려 태 위원을 유족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하기로 했다.
또 이번 주 내로 국민의힘 윤리위원회에 태 위원과 김재원 최고위원을 제소할 계획이다.
앞서 태 위원은 국민의힘 3·8 전당대회 첫 합동연설회 전날인 지난 2월 12일 제주4·3 희생자 추모 공간인 제주4·3 평화공원을 찾아 "제주4·3사건은 명백히 북한 김일성의 지시에 의해 촉발됐다"고 발언해 4·3유족회 등 관련 단체들의 비판을 받았다.
이에 더불어민주당 위성곤(서귀포시).송재호(제주시갑).김한규(제주시을) 등 제주 국회의원들이 태 의원의 징계안을 국회 윤리위원회에 제출했다.
하지만 태 위원은 같은날 기자회견 자리에서 "4·3사건은 명백히 평양 중앙의 지시에 의한 남로당 제주도당의 결정으로 일어났고, 이것이 진실이다. 김일성이 이끄는 평양 중앙의 지시나 허가없이 (남로당) 제주도당의 결정만으로 밀어붙였다는 것은 공산당의 작동 원리에 맞지 않는다"며 자신의 입장을 고수했다.
아울러 자신의 주장을 '역사적 사실'로 규정하고 "역사적 사실을 얘기하는데 뭐가 망언이고 뭐가 피해자들과 희생자들의 마음을 아프게 했는지 아직도 잘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했다.
또 지난 3일 국힘 최고위원회 모두 발언을 통해 제주4.3 희생자들을 추모하면서도 관련 주장을 이어갔다.
태 최고위원은 "4·3 사건은 남로당의 무장 폭동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아무런 관계없던 수많은 무고한 민간인 희생자를 낸 현대사의 비극"이라며 "남북분단, 좌우이념 무력 충돌과정에서 억울한 희생을 당한 분들의 넋을 기리고 명예를 회복시키며 희생자 분들과 유가족의 아픔을 치유할 때"라고 말했다.
이날 최고위 회의를 마친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지난 2월 당시 발언에 대해 사과할 의향이 없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어떤 점에서 사과해야 하는지 아직까지 납득이 되지 않는다"면서 "지난번 발언도 특정인에 대해 조롱하거나 폄훼한 것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또 "무엇을 사과해야 하는지 먼저 규명돼야 한다. 4·3 사건의 용어부터 동의할 수 없다. 진상보고서에서 언급한 4·3 사건은 범위가 매우 넓다"면서 "4월 3일에 일어난 일은 결국 남로당 제주도당의 당 결정이다. 저는 이 점에 대해서는 계속 주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김재원 국민의힘 최고위원은 윤석열 대통령의 4·3희생자 추념식 불참을 두둔하는 과정에서 '4·3추념식은 3.1절과 광복절에 비해선 격이 낮은 기념식'이라고 말해 비판을 받았다.
김 위원은 지난 20일 제주4·3평화재단을 찾아 유족 등에게 자신의 발언에 대해 사과했지만 4·3유족들로부터 "사과의 진정성이 의심된다"는 지적을 받았다. [제이누리=이주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