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4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2022년 기준수위 관측망 평균 지하수위 13.54m ... 고도별 평균 수위 차이 뚜렷

 

제주섬의 지하수 수위가 1년 만에 약 2m나 줄어들었다.

 

24일 제주도가 발표한 '2022년 지하수 관측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수위 관측망 평균 지하수위는 13.54m다. 직전해 대비 1.97m 줄어들었다.

 

특히 68개 관측정의 70%인 48개 관측정에서 50cm 이상 줄어드는 하강 경향이 나타났다.

 

유역별로는 동부유역에서 0.32m, 서부유역에서 2.38m, 남부유역에서 2.93m, 북부유역에서 2.09m가 각각 줄어들었다.

 

관측망 내 전체 자동측정 관측망 자료를 보면 제주 지하수위는 지난해 대비 평균 2.08m 하강했다. 179개 관측정 중 2곳에서 50cm 이상의 상승이, 117곳에서 50cm 이상의 하강이 나타났다.

 

유역별로는 동부유역에서 0.63m, 서부유역에서 2.68m, 남부유역에서 2.31m, 북부유역에서 2.22m 하강한 것으로 관측됐다. 서부유역에서 하강추세가 가장 강했다.

 

고도별 평균 수위는 중산간지대(표고 200m 이상)는 115.15m, 해안 저지대 상류지역(100~200m)은 23.66m, 해안 저지대 하류지역(100m 이하)은 6.27m 등으로 눈에 띄게 차이가 났다. 

 

제주도의 '지하수 월평균 이용량 현황'에 의하면 지난해 도내 지하수 월평균 사용량은 2173만2000t으로, 연간 추산 2억6000만t이 넘는다. 부문별 사용량은 월평균 농업용이 907만t, 생활용이 124만1000t 등이다.

 

제주지하수연구센터는 "몇 년 새 강수량이 적은 데 반해 지하수 사용량은 꾸준히 유지돼 수위가 낮아진 것으로 보인다"며 "위험 수준은 아니지만 생활에 매우 중요한 지하수 보존을 위해 지하수 사용량 조절과 대체 수자원 확대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제주도는 제주특별법 및 제주도 지하수관리 조례에 따라 지난해 기준 204곳의 지하수 관측정을 설치, 운영하고 있다. ▲지하수 수위관측망 151곳 ▲지하수 수질관측망 41곳 ▲지하수 염분모니터링 관측망 12곳 등이다. [제이누리=이주영 기자]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