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15 (수)

  • 맑음동두천 -0.7℃
  • 맑음강릉 1.9℃
  • 맑음서울 -0.9℃
  • 맑음대전 1.2℃
  • 맑음대구 1.6℃
  • 맑음울산 2.1℃
  • 구름많음광주 1.3℃
  • 맑음부산 4.1℃
  • 흐림고창 -1.1℃
  • 흐림제주 4.4℃
  • 맑음강화 -1.8℃
  • 맑음보은 -0.4℃
  • 맑음금산 0.4℃
  • 구름많음강진군 1.8℃
  • 맑음경주시 2.8℃
  • 맑음거제 4.1℃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드라마틱한 광해군의 삶, 제주 유배 온 유일한 임금
"유배인들, 현지와 화합하며 독특한 유배문화 형성"

[※ 편집자 주 = 제주에는 섬이라는 지리적 여건으로 생성된 독특한 문화가 많습니다. 그러나 오랜 세월 세대가 바뀌고 과학기술이 발달하면서 제주만의 독특한 문화가 사라져 가고 있습니다. 어찌 보면 자연스러운 현상이라 할 수 있지만, 독특한 문화와 함께 제주의 정체성마저 사라지는 것은 아닌지 안타깝고 불안합니다. 근대화 과정에서 후진적이고 변방의 문화에 불과하다며 천대받았던 제주문화. 하지만 지금 우리는 그 속에서 피폐해진 정신을 치유하고 환경과 더불어 공존하는 삶의 지혜를 배울 수 있습니다. 제주문화가 재조명받아야 하는 이유입니다. '다시'라는 우리말은 '하던 것을 되풀이해서'란 뜻 외에 '방법이나 방향을 고쳐서 새로이' 또는 '하다가 그친 것을 계속해서'란 뜻을 담고 있습니다. 다시! 제주문화를 돌아보고 새롭게 계승해 나가야 할 때입니다. 연합뉴스는 이번 기획 연재를 통해 제주문화가 우리 삶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고 계승해 나갈 방법을 고민합니다.]
 

 

과거 제주는 유배의 섬이었다.

 

죄질에 따라 유배길의 거리가 달랐던 만큼 제주는 중죄인만이 가는 '창살 없는 감옥'이자 '피하고 싶은 변방'이었다

 

임금도 신하도 피해갈 수 없었던 제주 유배.

 

하지만 오늘날 제주 유배문화는 유배인들의 발자취를 통해 그들의 학문적 성취와 고뇌, 깨달음을 엿볼 수 있는 문화·관광 자원으로 발돋움하고 있다.

 

◇ 광해 떠난 날 가뭄에도 비가 오더라

 

"임금이 덕을 쌓지 않으면 주중적국(舟中敵國)이란 사기(史記)의 글을 아시죠!"

 

병자호란이 끝나던 해인 1637년(인조 15년) 음력 6월 6일.

 

제주 동쪽의 작은 마을 어등포(제주시 구좌읍 행원포구 인근으로 추정)에 제주목사 성하종의 꾸짖는 듯한 목소리가 울려 퍼졌다.

 

거친 바다를 건너 간신히 제주 섬에 첫발을 디딘 광해군은 하염없는 눈물을 흘렸다.

 

강화도 교동에서 유배생활을 하다 갑자기 어디로 끌려가는지도 모른 채 도착한 곳이 제주였다.

 

'군주가 덕을 쌓지 않으면 자기편일지라도 모두 곧 적이 될 수 있다'는 주중적국이란 말의 뜻대로 주변에 광해군의 신하는 없고 사방이 출렁이는 바다뿐이었다.

 

강화도로 유배를 떠날 때는 아내와 아들·며느리와 함께였지만, 그들을 모두 잃고 홀로 남은 광해군이었다.

 

조선의 남쪽 끝 제주에 도착했을 때 그는 이곳에서 죽음을 맞이하게 될 것을 짐작했을 것이다.

 

 

광해군은 이튿날 제주읍성 안으로 옮겨져 위리안치됐다.

 

죄인의 집 둘레에 가시투성이인 탱자나무를 심어 가두는 위리안치는 중죄인임을 알리는 일종의 상징적인 조치였다.

 

기후도, 음식도, 사람도 모든 것이 낯선 제주에서의 삶은 녹록지 않았다.

 

그리고 4년 뒤인 1641년 음력 7월 1일 광해군은 67세의 나이로 삶을 마감했다.

 

광해군은 조선의 왕 중 가장 드라마틱한 삶을 살았던 왕이자 제주에 유배 온 유일한 왕이다.

 

후궁의 몸에서 서자로 태어나 일국의 왕이 됐다가 인조반정으로 한순간에 죄인의 몸이 됐다.

 

'승자의 기록'인 역사는 광해군을 '폭군'으로 기록하고 있지만, 현대에 들어 명청 교체기에 실리외교를 펼쳐 전쟁을 막은 '개혁 군주'로 재조명되고 있다.

 

제주에는 광해군이 세상을 뜬 날이면 가물다가도 비가 내렸다는 얘기가 전해 내려온다.

 

일명 '광해우'(光海雨)다.

 

제주 사람들은 삼복더위를 잠시 식혀주는 비가 고맙기도 했겠지만 죽은 왕을 떠올리며 노래를 지어 불렀다.

 

'칠월이라 초하룻날은, 임금대왕 관하신 날이여, 가물당도 비 오람서라(가물다가도 비가 오고 있더라). 이여∼ 이여∼'

 

 

◇ '유배의 섬'이 '문화의 섬'으로

 

제주는 유배의 섬이었다.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죄인이 제주로 유배 왔다.

 

특히, 조선왕조 500여년간 200명이 넘는 유배인이 제주를 거쳐 갔다.

 

그중에는 1637년(인조 15년) 광해군과 1647년(인조 25년) 소현세자의 세 아들 등 왕족부터 1520년(중종 15년) 충암 김정, 1614년(광해 6년) 동계 정온, 1618년(광해 10년) 간옹 이익, 1689년(숙종 15년) 우암 송시열, 1840년(현종 6년) 추사 김정희 등 당대의 저명한 학자까지 다양한 인물이 중앙 정계의 큰 사건이 있을 때마다 제주로 쫓겨왔다.

 

유배온 이들은 제주에 크고 작은 영향을 끼쳤다.

 

우선 조선시대 성리학에 근거해 학자를 양성하고 스승을 섬기는 사립 교육기관인 '귤림서원'(橘林書院)이 현종∼숙종대에 걸쳐 제주에 뒤늦게 세워졌다.

 

귤림서원에는 김정, 정온, 송시열 등 유배인과 송인수, 김상헌 등 제주로 부임한 목사 등 5명이 모셔져 있다.

 

1871년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귤림서원이 헐리게 되자 1892년 그 터에 이들을 기리는 조두석 5기를 세워 제단을 만드니 이것이 지금의 오현단이다.

 

 

오현단에는 제주 최초의 근대학교인 의신학교가 세워졌고, 해방 후 오현중·고등학교의 교정으로 사용됐다.

 

제주 교육의 과거와 현재 이야기를 품고 있는 특별한 장소인 이곳은 제주도기념물 제1호로 지정됐다.

 

이외에도 제주 유배인들은 개인문집을 남겨 옛 제주의 모습을 전하고 있다.

 

제주의 연혁, 역사, 풍속, 인물 등을 간접적으로 접할 수 있는 매우 귀중한 자료다.

 

충암 김정의 '제주풍토록', 동계 정온의 '동계집', 간옹 이익의 '간옹집', 인성군의 아들 이건의 '제주풍토기', 북헌 김춘택의 '북헌집', 서재 임징하의 '서재집', 정헌 조정철의 '정헌영해처감록', 추사 김정희의 '완당선생집', 면암 최익현의 '면암집' 등이다.

 

유배인 중에는 제주의 여인과 혼인해 입도조(入島祖, 처음 제주에 정착한 선조)가 되기도 했다.

대표적인 인물은 광해군이 유배 보낸 간옹 이익이다.

 

그는 왜란과 호란 때 전마용 말(馬)을 나라에 바쳐 기여한 김만일의 딸과 결혼해 가정을 이뤄 아들을 낳았고 그 후손들은 제주에 뿌리 내려 경주이씨 국당공파로 자리매김하게 됐다.

 

 

조선시대 문인 추사 김정희는 제주 유배문화의 정수로 꼽힌다.

 

조선 말기 명필로 유명한 추사 김정희는 9년 가까이 제주에서 유배 생활을 하면서 추사체를 완성하고, 국보 '세한도(歲寒圖)'를 남겼다.

 

오늘날 학자들은 이처럼 유배라는 제도 아래 유배인과 제주도 사람들 상호 간의 영향 속에 만들어진 문화를 유배 문화라고 정의한다. 이 문화와 연계돼 잠재적인 가치를 가진 물질·비물질적 자원을 유배 흔적이라고 한다.

 

제주 유배문화는 단순히 유배인들의 이야기가 아니다. 제주 사람들의 이야기이기도 하고 과거에서 오늘날까지 면면히 이어지는 문화다.

 

제주에선 광해와 추사 등 유배인들의 제주 발자취를 바탕으로 '광해군과 함께하는 원도심 시간여행' 프로그램, 김정희의 유배길, 추사관 등 다양한 관광상품으로 활용하고 있다.

 

유배문화를 연구해 온 양진건 제주대 교수는 "제주 유배인들은 과거 현지 목사나 향리의 배려로 유폐되는 일을 모면하는 경우도 없지 않아서 현지 주민들과의 접촉이 가능했다"며 "그들은 주민과 권위적으로 관계하기보다 현지와 화합함으로써 독특한 유배문화를 형성하는 계기를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제주도의 유배문화원형을 기반으로 앞으로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만들기 위해 많은 시도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변지철 기자]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