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종다양성과 생태계의 보고 혼자라면 올레길이 좋다. 그러나 같이라면 곶자왈이 좋다. 곶자왈에선 아무리 착하게 산 사람이라도 혼자 걷기 무섭다. 서늘하고 음습한 대기, 짙은 그늘과 자욱한 안개, 바위를 감싼 나무, 이따금 들려오는 정체 모를 소리, 등반로를 벗어나기 힘든 빽빽한 밀림 등. 곶자왈을 다니다 보면 궁금한 게 많다. 곶자왈에서만 볼 수 있는 바위, 머들, 숨골, 식물, 동물, 곤충, 파충류 등과 함께 돌 숯가마, 숯 막, 산전 터, 옹기가마 터, 노루 텅, 소 물통, 말 물통, 잣 성 등 벌써 몇 해 년 전 대학 입시 때문에 힘들어하는 딸을 위로할 겸 곶자왈로 갔다. 처음에는 딸 혼자 한참을 앞서 걷더니, 얼마 가다 멈춰 있었다. 분위기도 음산하고 도깨비가 있는 거 같고 해서 무서워 아내와 날 기다린 듯했다. 그보다 소리 없이 펼쳐지는 낯선 광경과 경관, 각종 동·식물에 대해 같이 얘기하고 싶어서라고 했다. 제주도는 삼다(三多)·삼무(三無)·삼보(三寶)의 섬이다. 삼다와 삼무는 다 아는 바와 같고, 삼보는 바다, 식물, 언어가 보물이라는 뜻이다. ‘식물의 보배’라는 말은 학자들이 제주도 식물을 연구한 결과, 좁은 지역에 다양한 종류의 식물이 분포하
분양형 호텔의 숨겨진 이야기를 조명합니다. 투자와 수익의 꿈이 아닌, 그 뒤에 감춰진 분양형 호텔의 현실과 이면을 파헤칩니다. 화려한 광고와 높은 수익률 약속 뒤에 감춰진 위험과 투자자들의 눈물을 집중적으로 다룹니다. 또 분양형 호텔의 구조와 문제점도 탐구합니다. 연속 시리즈 기획으로 독자들을 만납니다. / 편집자 주 2017년 7월 제주도의 한 분양형 호텔 앞. 수십 명의 투자자들이 법원 집행관과 함께 호텔 진입을 시도했다. 그러나 호텔 직원들은 출입문을 봉쇄하며 그들을 막았다. 물리적 충돌까지 우려되는 긴장감이 감돌았다. "투자 당시 분양사는 연 11%의 고수익을 약속했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약속이 지켜지지 않고 있습니다." 현장에 있던 한 투자자의 목소리에는 분노와 실망이 가득했다. ◆분양형 호텔, 지금은? =7년여의 시간이 흐른 지금, 제주 분양형 호텔은 어떤 상황에 놓여 있을까? 분양형 호텔은 개인 투자자가 객실을 분양받아 직접 운영하거나 위탁운영업체를 통해 수익을 얻는 부동산 상품이다. 2013년 정부가 관광숙박시설 확충을 위해 호텔 객실 분양을 허용하면서 전국적으로 붐이 일었다. 제주도내 분양형 호텔의 수는 지난해 기준 약 150여곳으로 증가했다
지난해 어린이날 연휴 사흘 동안 1m(정확히는 1023mm)가 넘는 ‘물 폭탄'이 한라산 삼각봉에 쏟아졌다. 하루 330mm가 넘는 폭우가 내렸다. 제주도 역대 5월 중 가장 많은 비다. 게다가 서귀포시 지역 강수량은 376.3mm이다. 이는 서귀포시에서는 1961년 기상관측 이래 가장 많이 내린 비다. 종전 300mm 넘는 기록은 대부분 여름 장마나 태풍 내습 때였다. 이 정도 비가 내리면 다른 지방에서는 100% 물난리 난다. 하지만 제주에서는 슈퍼급 태풍이라면 모를까? 웬만큼 비가 많이 내려도 거의 물난리가 생기지 않는다. 내린 비가 대부분 건천을 따라 바다로 흘러가거나 증발해 버리고 나머지는 지하로 스며든다. 한 선배가 있다. 그 무섭다는 남자 고등학교 1년 선배지만 왠지 만만해 보이는 형, 신장이 작고 몸이 왜소해 그렇기도 하지만 인상 자체가 순하고 착해 보여 더 그런 선배다. 그 형은 대학생 때부터 빗물이 지하로 스며드는 통로가 궁금했다. 결국 제주에 내린 많은 비가 지하로 스며드는 통로가 어디인지를 밝히는 연구에 인생을 걸었다. “제주도가 아름다운 건 바다 위에 떠 있는 섬(島)이기 때문만은 아니다. 약 188만 년 전부터 1000년 전까지 제주
바람 많고 돌 많은 척박한 화산섬 제주에는 모든 것이 귀했다. 벼농사는 언감생심이고 돌투성이 땅을 일구며 힘겹게 밭농사를 지었다. 또 마실 물을 구하기도 어려워 물허벅을 지고 먼 길을 여러 차례 오가며 물을 길어 다녀야 했다. 그 옛날 쌀도 물도 구하기 힘든 제주에선 어떻게 술을 빚었을까. 제주 전통주인 오메기술의 명맥을 잇는 장인(匠人) 강경순(69) 제주도 무형유산 기능 보유자를 지난 10일 서귀포시 표선면 제주성읍민속마을에서 만났다. ◇ 좁쌀로 빚은 제주 오메기술…지역 정체성 드러내 돌이 많고 푸석푸석한 흙으로 이뤄져 있어 빗물이 고이기는커녕 바로 지하로 스며드는 제주의 땅. 제주에선 이런 땅을 '뜬땅', '식은땅'이라 불렀다. 화산섬 제주의 특징 중 하나다. "비가 오면 물이 쑥쑥 빠져나가니 벼농사를 지을 수 없어 쌀이 귀한 곳이 제주였죠. 대신 보리, 조 농사를 지었는데 좁쌀로 술을 빚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강경순 장인이 오메기술의 내력을 설명했다. 강 장인은 "'오메기'라고 하면 사람들은 잘 몰라요. '오메가요? 과메기요?' 하면서 되묻곤 한다"며 "오메기는 좁쌀로 만든 술떡으로, 우리나라에서 떡으로 술을 빚는 곳이 두 군데밖에 없는데 그중 한
숨겨진 제주섬 이야기 뭉치를 펼칩니다. 그동안 알았던 제주가 아닌 신비의 세계 뒤에 숨겨진 제주의 이야기와 역사를 풀어냅니다. ‘제주 톺아보기’입니다. 그렇고 그렇게 알고 들었던 제주의 자연·역사, 그리고 문화가 아니라 그 이면에 가리워진 보석같은 이야기들입니다. 사회사·경제사·사회복지 분야에 능통한 진관훈 박사가 이야기꾼으로 나서 매달 2~3회 이 스토리들을 풀어냅니다. 독자 여러분들의 애독을 바랍니다./ 편집자 주 식물 사냥꾼, 중국인 윌슨 어니스트 헨리 윌슨은 포리 신부가 보내 준 표본이 아무리 봐도 기존 전나무와 뭔가 다르다고 생각하여 자생지에서 직접 확인하고자 1917년 10월, 제주도로 왔다. 그는 타케 신부와 같이 한라산에 올라 포리 신부가 채집했던 한라산 1100~1900m 같은 장소에서 구상나무를 채집하여 미국으로 가져갔다. 그 후 연구 끝에 구상나무가 형태적으로 전나무나 분비나무와 전혀 다른 특징이 있음을 발견했다. 그 결과, 윌슨은 제주도 한라산에서 채집한 구상나무를 'Abies koreana E. H. Wilson'이란 학명으로 신종 발표하였다. 속명 ‘Abies’는 전나무를 뜻하는 라틴어로 구상나무가 전나무 속임을 뜻하며, 종속명 ‘k
과거 유배지로 악명이 높아 '창살 없는 감옥'이자 '피하고 싶은 변방'으로 여겨졌던 제주. 조선시대와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도 제주는 문학의 불모지라는 오명을 씻지 못했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1950년 6월 25일 발발한 한국전쟁은 제주에 변화의 불씨를 지폈다. 한 때 '제주의 명동'이라 불렸던 제주시 원도심 칠성통 거리를 밝힌 불씨는 작가 '계용묵'(桂鎔默·1904∼1961)과 그를 중심으로 한 '다방문화'였다. ◇ 피난 작가 계용묵과 동백다방 「칠성통 거리는 계용묵 선생을 중심으로 한 피난문인과 제주의 문학동호인들의 그림자가 끊임없이 오가던 거리이며, 문예지 하나 둘쯤 겨드랑이에 낀 문학소년들이 무시로 오가던 거리였다. 걷다 보면 알맞은 위치에 다방이 있었고, 알맞은 위치에 소줏집이 있어 심심치 않은 거리가 칠성로였다. 제주의 문단사를 이야기하자면 제주문단의 형성 초기 이 칠성로 거리의 낭만을 빼놓을 수 없다.」(제주문학 31집, 1998년, 제주문인협회) 한국전쟁은 조용하던 제주사회를 순식간에 바꿔놨다. '도제50년 제주실록'(1997년, 제주도)에 따르면 전쟁이 발발한 다음달인 7월에만 1만명의 피난민이 제주에 들어왔다. 이어 이듬해인 1951년 5
숨겨진 제주섬 이야기 뭉치를 펼칩니다. 그동안 알았던 제주가 아닌 신비의 세계 뒤에 숨겨진 제주의 이야기와 역사를 풀어냅니다. ‘제주 톺아보기’입니다. 그렇고 그렇게 알고 들었던 제주의 자연·역사, 그리고 문화가 아니라 그 이면에 가리워진 보석같은 이야기들입니다. 사회사·경제사·사회복지 분야에 능통한 진관훈 박사가 이야기꾼으로 나서 매달 2~3회 이 스토리들을 풀어냅니다. 독자 여러분들의 애독을 바랍니다./ 편집자 주 제주시 한라수목원에서는 매년 ‘제주 자생식물 나눠주기’ 행사를 한다. 이 행사에서 한라산과 오름에 서식하는 자생식물로 한라수목원이 자체 생산한 구상나무, 주목, 눈향나무, 백당나무 등 10종 3000그루를 민간에 제공한다. 다른 한라산 자생식물도 그렇지만, 특히 구상나무와 주목은 시중에서 구하기 어렵다. 이 행사는 구상나무 보존을 위한 ‘현지 외 보존 전략’의 한 부분이다. 만약 자생지에서 구상나무가 여러 요인에 의해 멸종된다 해도 유전적 정보들이 현지와 다른 곳에도 남아 있게 하려는 전략이다. 한라산 중산간지에 우리가 연구할 수 있는 시험림 공간들을 확보해 어린 구상나무 숲을 만들고 있다. 이날 제공되는 한라산과 오름에 서식하는 자생식물 10
빼어난 자연환경과 독특한 생활풍습, 탐나는 특산물로 무장한 제주의 축제가 위기를 맞고 있다. 지역의 역사성과 정체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채 일반적인 공연과 먹거리 마당 위주로 진행되면서 관광객은 물론 도민으로부터도 외면받고 있다. 일부 주요 축제는 일회성 행사로 사라지거나 환경 파괴 등 각종 논란에 휩싸이며 존폐 위기에 몰리기도 했다. 제주가 한국의 관광일번지 명성을 되찾기 위해서라도 기존의 관행을 탈피해 지역 축제를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 우여곡절 제주 축제의 흑역사 연간 1천500만명 이상의 관광객이 찾는 제주. '축제'는 제주의 자연경관과 문화를 한데 엮어 제주 관광이 한단계 성장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잊고 싶은 흑역사를 써내려가기도 했다. 제주의 축제가 본격적으로 활기를 띠기 시작한 때는 언제일까. 1980년대까지 제주에서 축제라 부를 수 있는 행사는 탐라문화제와 제주감귤축제·유채꽃축제·제주철쭉제 등 4개에 불과했다. 1990년대 들어 지방자치제가 실시되면서 지역축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더니 제주의 다양한 관광자원과 특산품·신화·자연물 등을 활용해 축제를 개발하려는 시도가 이뤄졌다. 억새꽃축제와 한라산눈꽃축제·탐라국입춘굿놀이·
제주는 갓과 망건, 탕건 등 옛날 벼슬아치들이 쓰던 모자인 '관모'(冠帽)를 만들던 주산지였다. '모자의 나라'로 불렸던 우리나라에서 신분 높은 양반들만 모자를 쓰진 않았다. 관모의 주산지 제주에선 백성들을 위해 어떤 모자를 만들었을까. 제주 사람들이 일을 하며 즐겨 썼던 모자인 '정동벌립'을 만들어 최근 제주도 무형유산 정동벌립장에 지정되며 장인(匠人)의 반열에 오른 홍양숙(63) 정동벌립장 보유자를 만났다. ◇ 기적·운명과도 같은 만남 '정동벌립' "정동벌립과의 만남은 정말 저를 살린 '기적', '운명'과도 같은 일이었어요." 홍양숙 장인과 정동벌립과의 인연은 지금으로부터 47년 전인 1977년 가을 무렵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제주시 한림읍 귀덕리에 살던 17살 홍 장인은 어렸을 적 걸린 결핵으로 학교에 다니지 못하고 장기간 집에서 요양 생활을 했다. 친구들은 모두 학교에 가고 어른들은 밭일하러 나간 텅 빈 마을에서 집에 남아 있는 사람은 홍 장인과 인근에 살던 큰아버지뿐이었다. 홍 장인의 큰아버지는 1986년 제1대 제주도 무형유산 정동벌립장으로 인정받았던 고(故) 홍만년(1910∼1998) 선생이었다. 정동벌립은 테우리('목동'을 뜻하는 제주어) 또는
제주인이 문화로 하나 되는 축제 '제63회 탐라문화제' 막이 올랐다. 제주예술제(1962∼1964년)와 한라문화제(1965∼2001년)를 거쳐 제주 전통문화축제로 자리잡은 탐라문화제는 60여년의 긴 세월을 지나 오늘에 이르렀다. 탐라문화제의 과거와 현재를 되돌아보고 앞으로의 과제를 진단해본다. ◇ 제주예술제·한라문화제 거쳐 탐라문화제로 1962년 5월 17일 제주시 중앙극장. 탐라문화제의 시발점인 제1회 제주예술제가 열렸다. 1년 전 5·16 군사정변(쿠데타) 당시 내려진 포고령으로 전국의 모든 문화단체가 강제 해산된 이후 이듬해 4월 한국예총 제주도지부가 창립하면서 개최한 제주의 순수 예술 행사였다. 하지만 제주예술제는 개최 시기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5·16 군사정변 1주년을 기념한 행사였다. 이 때문에 정치적 목적으로 시작됐다는 한계와 함께 단절됐던 예술활동의 명맥을 이어 문화예술 발전에 기여했다는 엇갈린 평가가 상존했다. 제주예술제는 1964년 제3회 행사까지 그대로 치러지다 1965년 제4회부터는 '한라문화제'로 이름이 바뀌었다. 민속행사를 보강해 지역 예술인만이 아닌 전 도민이 참여하는 향토문화축제로 거듭난 것이다. 명칭과 축제 성격이 달라진 후
숨겨진 제주섬 이야기 뭉치를 펼칩니다. 그동안 알았던 제주가 아닌 신비의 세계 뒤에 숨겨진 제주의 이야기와 역사를 풀어냅니다. ‘제주 톺아보기’입니다. 그렇고 그렇게 알고 들었던 제주의 자연·역사, 그리고 문화가 아니라 그 이면에 가리워진 보석같은 이야기들입니다. 사회사·경제사·사회복지 분야에 능통한 진관훈 박사가 이야기꾼으로 나서 매달 2~3회 이 스토리들을 풀어냅니다. 독자 여러분들의 애독을 바랍니다./ 편집자 주 남방큰돌고래와 해녀의 공생 남방큰돌고래와 해녀는 각별한 사이로 알려졌다. 물질하는 해녀에게 다가와 장난치기 때문이다. 해녀 주변을 헤엄치거나 테왁(공 모양 기구)을 툭툭 건드리기도 한다. 물질하다 보면 주위를 유유히 돌 때도 있다. 문어를 잡아 테왁에 넣어두면 남방큰돌고래들이 지나가다가 테왁 사이로 삐져나온 문어 다리를 떼먹기도 한다. 강애심(71) 제주해녀협회 전 회장은 “물질을 하다 보면 일 년에 한두 번은 물장구를 치거나 가까이 오는 장난기 많은 돌고래와 마주친다. 대단히 영리하고 사람을 무서워하지 않는다"며 “익숙하지만, 상어일 수도 있어 만날 때마다 매번 놀란 후 안도의 한숨을 쉰다”고 했다. 강 전 회장은 이어 “돌고래가 인간 말을
숨겨진 제주섬 이야기 뭉치를 펼칩니다. 그동안 알았던 제주가 아닌 신비의 세계 뒤에 숨겨진 제주의 이야기와 역사를 풀어냅니다. ‘제주 톺아보기’입니다. 그렇고 그렇게 알고 들었던 제주의 자연·역사, 그리고 문화가 아니라 그 이면에 가리워진 보석같은 이야기들입니다. 사회사·경제사·사회복지 분야에 능통한 진관훈 박사가 이야기꾼으로 나서 매달 2~3회 이 스토리들을 풀어냅니다. 독자 여러분들의 애독을 바랍니다./ 편집자 주 서귀포시 대정읍 노을 해안은 남방큰돌고래가 매일 오전 10~12시, 오후 3~5시쯤 자주 나타난다는 곳이다. 얼마 전부터 ‘남방큰돌고래 멍’ 때리는 힐링 성지로 이름나 있다. 매일 해수면 위로 나오기만 기다리는 관광객들이나 지역주민들이 많다. 조금이라도 가까이 보려고 갯바위 끝까지 가서 망원경으로 바다를 관찰하거나 드론을 띄우는 열성 팬도 있다. 바다 날씨가 흐려 볼 수 없는 날도 있지만, 날이 개고 바다 날씨가 좋아지면 틀림없이 남방큰돌고래를 볼 수 있을 거라는 기대로 틈만 나면 거의 매일 이곳을 찾는 지역주민도 있다. 와서 한 시간 정도 ‘돌고래 멍’하며 자연치유하고 간다고 했다. 얼마쯤 지났을까? 눈으로도 식별이 가능한 가까운 바다에 남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