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김승욱의 [제주역사나들이](65) ... 16차 위미리 코스(1)

 

예전부터 풍요로웠던 위미리 마을 안길은 걸으며 노란 감귤과 함께 농익어가는 제주의 가을 풍취를 만끽할 수 있는 길이다.

 

■위미리

 

 

위미리는 제주 대부분의 해안 마을이 그렇듯 해안변에서 중산간 지역까지 길게 자리 잡고 있는 마을이다.

 

마을 북쪽에 큰동산, 족은동산, 쇠동산이 있는데 쇠동산의 지형 지세는 마치 소가 누워 있는 형태이고, 족은동산은 소의 꼬리와 닮았다고 하는 데서 쉐미, 뛔미, 뛔밋개등으로 불렸고, 한자로 우미촌(又尾村) 또는 우미포(又尾浦)로 표기하다가 위미(爲美)라는 이름으로 정착되었다고 한다.

 

해양성 온대 기류의 영향을 많이 받아 온화한 기후로 감귤·원예 작물의 노지 재배가 가능하여 예전부터 풍요로운 곳이다.​

 

■위미 동백나무군락

 

현병춘(1858~1933) 할머니는 17세때 시집을 와 어렵게 모은 돈으로 황무지(속칭 버둑)를 매입한다. 이 땅을 옥토로 개간하면서 주변에 한라산에서 채취한 동백씨를 심어 방풍수로 키운게 오늘의 동백나무 군락이다.

 

1982년에 도지정 기념물 39호로 지정되었다.

 

 

위미리 904~6번지 일대를 병풍을 친 듯 100년도 훨씬 더 산 키높은 토종 동백나무가 무성하게 둘러싸고 있다. 제주의 토종 동백은 3월초부터 멋들어진 동백꽃의 향연을 보여준다.

 

 

동백나무는 주로 섬에서 자라는데 동쪽으로는 울릉도, 서쪽으로는 대청도까지 올라간다. 육지에서는 해안가 지역인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마량리, 내륙에서는 지리산 산록에 위치한 화엄사 경내에서 자라는 동백이 가장 북쪽에 위치한다.

 

전북 고창군의 선운사 경내에서 자라는 동백나무 숲이 유명하다.

 

 

위미동백나무 군락지를 찾는 이들은 동쪽으로 500미터쯤 떨어진 제주동백수목원과 많이 혼동한다. 이 곳의 동백은 원산지가 일본인 애기동백을 심어놓았다. 12월~1월초에 만개하여 볼거리를 제공한다.

 

토종동백은 꽃이 통째로 툭 떨어지는데 애기동백은 잎이 낱장으로 떨어지는 특징이 있다.

 

동백기름은 동백씨앗을 날 것으로 짠 것과 볶아서 짠것 두가지가 있다. 날 것으로 짠 기름은 연한 노란색이며 볶아서 짠 것은 짙은 갈색을 띈다.

 

날 것으로 짠 기름은 미용이나 칠등 기타용도로 쓰고 볶아서 짠것은 식용이나 약용이다.

 

동백기름은 예전엔 머릿결을 가꾸는데 주로 썼으며 피부보습에 효과가 좋다고 한다. 약용으로는 기침 등 기관지 관련 질환에 효험이 있어 상비약으로 구비했었다.

 

■위미리 올레 5코스길

 

 

위미 동백나무군락을 나와 다리 건너 하천길(위미중앙로 246번길)을 걷다가 바닷가로 향하면 올레5코스 길과 만난다.

 

제주에선 봄에 유채꽃이 지천이라면 탐스런 귤의 노란 자태가 가을 제주 들녁을 수놓는다.

 

이 곳 위미는 온화한 기후로 인해 귤재배에 최적지인 만큼 마을이 온통 귤밭을 품고 있다.

 

 

돌담으로 이어진 이 길을 따라 바닷가로 내려가면 올레 5코스와 만난다.

 

 

올레 5코스 위미리 구간은 해안가를 따라 이어진 오솔길이다. 이 길은 위미항으로 이어진다.

 

 

몽돌(작지)해안이 군데군데 맑은 바다를 품고, 자갈 사이로 부서지는 하얀 포말은 드넓은 태평양의 수줍은 끝자락이다.

 

제주 남부의 해안은 북부와는 사뭇 다른 풍광이다. 해안절벽이 많고 주상절리도 발달되어 있다. 북부의 지질은 현무암의 다공질이라 물이 스며들어 지하에 머물지만 서귀포 일대는 물을 흐르게 한다.

 

이러한 이유로 삼다수 공장은 북쪽 교래리에 있고, 천지연,천제연같은 폭포는 서귀포에 있는 것이다.

 

제주에선 드문 논농사가 서귀포(하논)에선 가능했던 이유이기도 하다.

 

 

해안가 길을 걷다가 잠깐의 숲길을 거치면 곧 국가어항인 위미항 동방파제가 눈에 들어온다.

 

 

제주 남부의 바다는 해와 마주해 은빛으로 반짝이니 눈이 부시다. 당연히 달빛의 윤슬보다 강렬하다. 이중섭이 은박으로 된 담배포장지에 그림을 그린 것이 가난에서 비롯된 작가의 우연이 아니라 눈에 비친 은빛 바다와 결부되어 있다면 나그네의 지나친 억측일까.

 

제주시에선 해를 뒤로 하고 바다를 바라보니 반짝이는 바다를 볼 수 없다. 제주시에선 한라산이 남쪽이고 바다가 북쪽인데 여기선 그 반대이다. 어릴 적 처음 서귀포에 갔을 때 방향감각을 잃고 마냥 신기해 했던 기억이 새롭다.  <다음편으로 이어집니다.>

 

☞김승욱은?
=제주에서 나고 자랐다. 오현고를 나와 서울대 공대 건축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육군 ROTC 장교로 군복무를 마치고 삼성물산 주택부문에서 일했다. 경영위치 건축사사무소에서 건축공부를 더 한 뒤 에이스케이 건축 대표이사를 거쳐 제주로 귀향, 현재 본향건축 대표를 맡고 있다. 제주대 건축공학과에서 건축시공학을 강의하기도 했다. 주말이면 고향 제주의 벗들과 제주의 역사공부를 곁들여 돌담·밭담·자연의 숨결을 더듬고자 ‘역사나들이’ 기행을 나선다.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관련기사

더보기
14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