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정부가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발사대 4기를 추가 배치하기로 결정한 것과 관련해 제주 관광업계의 근심이 깊어지고 있다.
당장 중국 외교부는 지난달 29일 김장수 주중 대사를 불러 추가적인 사드 배치에 대해 공식 항의하고 향후 외교적 보복을 할 수 있다는 뉘앙스를 풍겼다.
이미 사드 보복으로 제주 관광업계가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추가 보복이 이뤄질 경우 더 큰 피해를 당할 수 있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중국의 사드 보복조치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3월 이후 한국과 중국을 오가는 항공여객은 4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제주 중화권 노선의 경우 중국 28개 도시 350편 중 248편이 중단되고 8개 도시 102편만이 운항 중이다.
최근 제주도는 중국인 관광객 빈자리를 내국인과 동남아 관광객이 채우는 등 시장다변화를 꾀하고 있지만 사드 보복이 지속될 경우 피해는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도는 시장다변화를 통한 피해 최소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중국으로의 수요는 줄이는 한편 여름 성수기를 맞아 내국인·동남아 여행객 등을 불러 모으겠다는 전략이다.
이런 전략이 올해 상반기에 조금은 통한 모양새다. 전년동기대비 중국인 관광객은 56.5%(117만8503명) 감소했지만 내국인 등은 8.5%(69만7946명) 증가했다.
하지만 중국의 추가적인 사드 보복이 이뤄지는 등 사드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제주 관광업계 피해는 더욱 확대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중국 외 지역으로의 여행객 증가와 환율의 안정적인 흐름이 이어진다 해도 거대한 중국 시장을 배제한 채 제주 관광산업의 상승세를 이끈다는 건 무리라는 얘기다.
실제 중국 정부는 사드 발사대 추가 배치 결정에 대해 사드 배치 철회를 거듭 주장하고 있다. 루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사드에 대한 중국의 입장은 일관되고 명확하다”면서 사드 배치를 중지하고 철회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우리 정부는 중국의 경제 보복을 풀어달라고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지만 중국은 오히려 더욱 강경한 태도를 보이고 있어 이마저도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제이누리=박재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