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7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국민건강보험공단, 고도비만 유병률도 제주, 강원, 인천순…'전국 비만지도' 공표

 

 

지난해 전국 시·도별 비만 유병률을 분석한 결과 제주도, 강원도, 인천시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고도비만 유병률 역시 이들 시·도가 높았다.

 

국민건강보험공단 비만대책위원회가 올해 비만예방 사업의 일환으로 2005~2015년 1차 일반건강검진 자료 빅데이터 1억3000만건을 분석한 결과를 6일 밝혔다. 

 

비만 유병률은 지난해 기준 제주가 42.1%로 가장 높고 강원(41.6%), 인천(38.7%), 전남(38.3%), 충남(37,8%) 순으로 집계됐다.

 

최근 10년간 비만 유병률 증가는 전남 5.6%포인트(p), 경남 5.5%p, 강원 5.5%p, 제주 5.5%p, 인천 5.0%p 순으로 높았다.

 

고도비만 유병률도 지난해 기준 제주(7.3%), 강원(7.3%), 인천(6.6%) 순으로 높아 비만 유병률과 1~3위가 같았다. 이어 충남과 충북이 각각 6.2%를 기록했다.

 

고도비만 유병률의 최근 10년간 증가률은 제주(3.4%p), 강원(3.0%p), 인천(2.9%p), 전남(2.8%p), 전북(2.7%p) 순으로 높았다.

 

복부비만 유병률은 제주(25.2%), 충남(21.8%), 인천(21.5%), 경기(21.0%), 서울(20.7%) 순이다. 2008년 대비 지난해 복부비만 유병률의 증가는 제주(4.8%p), 서울(3.1%p), 충남(2.5%p), 경북(2.5%p), 인천(2.5%p) 순으로 높았다.

 

건강보험공단은 국내 비만·고도비만·복부비만 유병률을 바탕으로 전국지도를 만들어 함께 공표했다.

 

고령층이 많은 지역의 유병률이 높게 나오는 경향을 배제하기 위해 성별, 연령별 데이터를 보정한 '성연령표준화 유병률'를 사용했다.

 

지도에는 2005~2015년 연도별로 각 시도 및 시군구의 비만(체질량지수 25㎏/m² 이상), 고도비만(체질량지수 30㎏/m² 이상)의 유병률이 표시돼 있다.

 

복부비만(허리둘레 남성 90㎝, 여성 85㎝ 이상)의 경우는 검진 허리둘레 측정이 2008년부터 돼있기 때문에 2008년부터 2015년까지의 유병률이 표시돼 있다.

 

유병률은 흰색(최저)부터 노란색, 오렌지색, 빨강색(최고)까지 색 단계별로 표시됐다. [제이누리=김리나 기자]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