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도남동 제주시민복지타운 부지 인근 주민들이 "종전에 약속했듯이 제주시청 혹은 이에 상응하는 행정기관을 시민복지타운 내에 건립하라"고 촉구하고 나섰다.
제주도정이 최근 추진계획을 내놓은 도심 공공임대주택인 행복주택 등을 조성하는 방안에 대한 거부 의사다.
제주시 도남마을회와 노인회, 청년회, 부녀회 등은 12일 제주도의회 도민의방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행복공공주택은 지역여건을 고려하지 않은 입맛대로의 주택 정책”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마을회 등은 “시민복지타운은 1997년 중앙공원 활용으로 도시기본계획에 반영했었다”며 “1998년 당시 개발제한구역이 해제되면서 2001년 도시기본계획에 시청사와 지방정부합동청사를 한 곳에 집중화함으로써 행정의 효율성을 높이고 시민에게 양질의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쾌적한 도시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이 과정에서 강제수용을 통한 조성에 주민들이 반발하자 시청사 이전을 전제로 시민복지타운을 명시하며 다시 발표했다”면서 “그러나 2011년 당시 시장이 시청사의 등록문화제 문제와 재원, 도심공동화 등을 이유로 시청이전 불가 방침을 발표해 퇴임했다”고 덧붙였다.
마을회 등은 “도시개발사업의 승인권자가 도지사임에도 시장의 입김에 의한 시청사 이전 철회는 사업의 근본부터 다시 검토돼야 한다”며 “제주시청 이전 또는 그에 상응하는 공공기관을 건립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또 “원희룡 도정이 추진하고 있는 제주형 주거복지 종합계획에 따른 행복주택은 적정성 등에 문제가 많다”며 “건폐율·교통·학교 문제 등을 고려하지 않은 독단적 정책”이라고 꼬집었다.
제주시민복지타운에는 행복주택 700세대, 공공임대 420세대, 실버주택 80세대 등 1200세대가 들어설 계획이다. 또 공원 및 편의시설을 비롯해 도서관, 체육시설, 어린이집 등 주민 공공시설들을 조성될 예정이다.
제주도는 서민주택 공급사원의 일원인 행복공공주택을 지난 7월 정부에 신청했고 확정발표만을 남겨두고 있다. [제이누리=박수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