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제주지역 추석 차례상 비용이 21만6950원으로 집계됐다.
제주상공회의소는 6일 제주시내 재래시장을 중심으로 벌인 제수용품 가격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올해 추석 차례상 비용은 4인 가족 기준 21만6950원이다. 지난해 20만3850원보다 약 6.5% 올랐다.
올해 추석 차례상 비용은 과실 6종과 나물채소류 8종, 육란류 및 수산물류 7종, 가공식품류 5종 등 26개 품목을 제주시내 재래시장에서 산출했다.
조사결과 대추와 표고버섯, 돼지고기, 계란, 밀가루, 두부 등 일부품목의 가격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부분의 품목이 작황부진과 공급량 감소로 가격이 올랐다.
과일류 배(5개)는 지난해 1만4250원 대비 4.9% 상승, 1만4950원 으로 가격대가 형성됐다. 귤(1kg)은 지난해 7250원 보다 21.3% 올라 8800원, 사과(5개)는 지난해 1만2500원 대비 26.4%오른 1만5800원이었다.
반면, 대추는 풍작으로 지난해보다 22.1%감소한 3700원대다. 조사한 과일류 총 6개 품목(사과, 배, 귤, 단감, 밤, 대추)은 지난해 추석명절 대비 13.8%상승할 것으로 분석됐다.
채소류는 폭염에 따른 작황부진으로 전반적으로 가격이 올랐다. 시금치(400g)는 지난해 대비 37.7% 오른 4200원으로 가격이 올랐고 재래시장에서는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공급이 현저히 줄었다.
고사리(400g)는 2.3% 증가한 4300원선, 도라지(400g)는 12.9% 증가한 7000원선, 애호박(1개)는 50%증가한 2,100원선, 무(2kg)는 28.5% 증가한 2700원선에 거래됐다. 대파 (1Kg)는 재배면적 감소로 지난해보다 40% 오른 3500원선이었다.
반면 표고버섯(150g)는 소비 위축과 생산량 증가로 인해 채소류중 유일하게 지난해대비 13% 하락, 1만원선에서 거래됐다. 나물채소류 8개품목은 8.7%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한 육류 및 수산물은 7품목은 지난해 추석명절 대비 7.1% 상승한 것으로 분석된다.
국거리용 소고기( 500g)는 18.2% 상승, 2만4250원, 산적용 소고기(600g)는 3.6% 상승한 2만9600원선이었다. 돼지고기(600g)는 공급량이 증가해 전년대비 23.2% 하락, 1만3500원선이었다. 계란(일반란 10개)은 지난해대비 14%하락한 2,150원 에 판매되고 있었다.
해산물류에서 옥돔(1마리·국산)은 지난해 대비 10.7% 증가한 평균 14,400원선이었다. 지난해대비 수요가 증가한 동태는(500g)는 지난해보다 4800원 오른 9800원에 거래되고 있었다.
가공식품류는 밀가루(2.5kg) 3400원, 청주(1.8L)는 1만500원, 두부(4모) 2500원, 약과는 4000원에 거래되고 있었다. 송편도 지난해와 동일한 가격대를 보이는 등 가공식품 5품목은 지난해 추석명절과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제주상의 관계자는 “올해는 폭염으로 인한 작황부진과 이른 추석으로 인해 출하시기가 맞지 않아 물량이 다소 부족해 가격이 인상됐다”며 “명절이 다가올때마다 선물용 과일, 육류, 수산물류를 중심으로 매기가 확대돼 가격의 변동 폭이 커지는 만큼 비축된 농수산물의 적기 공급 등 정부 및 지자체의 추석 제수용품 가격 안정 지원책 마련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밝혔다. [제이누리=박수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