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의 청소년들이 피폐한 삶을 살아가고 있다. 이미 멍들 대로 멍들었다. 음주와 흡연, 도박 등 쾌락의 늪에 빠져들어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도교육청은 29일 오전 기자회견을 열어 “‘제주학생 중독예방 종합대책’을 마련하고 본격적으로 추진하겠다”며 “중독 예방 및 중독 위험 단계별 상담·치료·재활 등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도교육청이 지난 3월 도내 43개 중학교와 28개 고교를 대상으로 ‘사이버도박 실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에 따른 조치다.
직·간접 경험학생이 조사대상 3만4005명중 870명(2.56%)에 이르렀다.
특히 제주 청소년의 경우 도박 위험수준 비율이 7.1%, 문제군이 3.7%로 전국 평균 4%, 1.1%보다 3배 가량 높았다. 도박 이용자 중 35.6%가 PC방이나 오락실에서 도박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박에 노출된 학생들은 주로 인터넷·스마트폰을 통해 불법도박 사이트를 이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100만원 이상 잃어본 경험이 있는 학생도 43명에 달했다.
또 사이버도박을 간접 경험한 학생들 중 빌린 돈을 갚기 위해 금품을 갈취하는 등 학교폭력으로 이어진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
흡연과 음주문제도 심각했다.
전국 학생 흡연율은 2014년 14%에서 지난해 11.9%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제주는 2014년 10.9%에서 지난해 14.2%로 오히려 반대 현상을 보이고 있다.
특히 위험음주율(최근 30일동안 1회 평균 음주량이 남성:소주 5잔, 여성: 소주 3잔)이 남학생 2014년 44.4%에서 지난해 50%로 5.6%p 증가했다. 여학생의 경우도 2014년 61.4%에서 지난해 62.4%로 증가, 전국 평균(남 48.2%, 여 53.6%)보다 높았다.
도교육청은 흡연과 음주, 도박 등 중독 문제에 학생들의 접근 용이성을 가장 큰 문제점으로 꼽았다. 또 학부모 인식 부족과 담당교사의 업무과중, 전문성 부족으로 인한 조기발견 및 예방교육의 어려움 등을 인식, 중독문제 해결을 위한 6대 정책과제를 마련했다.
6대 정책과제는 ▲학생 중독예방 전담기구 구성·운영 ▲학교 현장 기반 중독학생 치료지원 시스템 구축 ▲학생·학부모 맞춤형 예방교육 지원 ▲교원 지도역향 강화 ▲관련규정 정비 및 중독 유발환경 개선 ▲유관기관 연계·협력 강화 등의 내용이다.
한편 도내 청소년 사이버 범죄 검거 인원은 2013년 23명, 2014년 86명, 지난해 96명으로 대폭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이에 제주지방경찰청에서도 ‘제주경찰청-스마트쉼센터’간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청소년 선도에 나섰다.
사이버 폭력·사기·도박 등 청소년 사이버 범죄가 발생했을 경우 죄질이 경미한 사건은 선도심사위원회에 사건을 적극 회부하고 선도조건부 훈방 결정을 받은 소년범은 스마트쉼센터의 선도프로그램을 이수 받아야한다. 이외에 즉결심판, 입건결정을 받은 학생은 선도프로그램을 이수하고 스마트 쉼 센터에 연계한다.
제주경찰청은 "도교육청의 ‘학생 중독 종합 예방 계획’과 발맞춰 적극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제이누리=박수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