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경찰이 '외국인 범죄와의 전쟁'에 나섰다. 더욱이 최근 문제가 불거진 여성안전을 위해서도 특별 치안활동에 들어갔다.
제주지방경찰청은 2일 브리핑을 통해 "외국인 범죄에 대한 예방 및 단속활동을 강력하게 전개하겠다"고 밝혔다.
실제로 제주지역 외국인 범죄는 해마다 급증하고 있다.
2011년 121건, 2012년 164건, 2013년 299건, 2014년 333건, 2015년 393건의 범죄 등 매년 급증 추세다.더욱이 올 5월까지 이미 212건의 외국인 범죄가 발생, 증가세에 가속도가 붙었다. 이는 지난해 같은기간(158건) 대비 74%나 증가한 수치다.
범죄 유형은 교통사범이 가장 많았으나 살인, 강도, 성폭행 등과 같은 강력범죄도 늘고 있는 실정이다.
경찰은 우선 외국인 밀집지역인 제주시 연동·노형동 지역을 '외사치안 안전구역'으로 설정했다. 시시각각 단속을 벌여 외국인 범죄를 근절하겠다는 이유다.
도내 등록외국인의 36%이상이 연동·노형동 일대에 거주하고 있기 때문이다. 1일 외국인 유동인구는 1500명이다.
이처럼 외국인이 밀집된 신제주권에서는 무단횡단, 오물투기 등 기초질서 위반 행위가 빈발하고 있으며 강력범죄들도 심심찮게 발생하고 있다. 특히 일부 나이트클럽 주변은 중국인·베트남인들의 출몰이 잦아 그만큼 우범지대로 불리고 있다.
출입국관리사무소 등 유관기관과의 합동 순찰 및 단속도 월 2차례 이상 실시한다.
제주경찰청 내 '외사범죄정보관'도 꾸려졌다. 외국인 범죄 첩보 수집·범죄 분석등을 전담해 외국인 범죄 대응·관리를 강화하기 위한 조치다.
이철 제주경찰청 국제범죄수사대장은 "강도, 성범죄 등 주요 범죄부터 무단횡단, 불법체류, 음주운전 등에 대한 단속을 강력하게 실시해 범죄 분위기를 제압하겠다"며 "외국인 밀집지역에서 특별 예방·단속활동을 실시, 외국인 범죄의 뿌리를 뽑겠다"고 말했다.
최근 불거진 '강남역 살인사건'으로 여성 치안에 대한 도민 불안이 가중되고 있는데 대한 치안대책도 나왔다.
제주경찰은 여성 대상 범죄 예방을 위해 이번달 한달간 '여성 범죄 취약요인 집중신고기간'을 운영한다.
각 경찰서 생활안전과장을 중심으로 '국민제보 신속대응팀'을 꾸려 범죄 위험요인을 정밀 진단, 안전대책의 체계적 마련에 나섰다.
또 경찰서별로 각 2명씩 '범죄예방 진단팀(CPO)'을 운용해 CPTED(환경설계를 통한 범죄 예방)를 기반으로 범죄예방 활동을 실시한다.
경찰은 공공화장실에 비상벨을 증설하고 우범지역에 CCTV를 확충하는 등 범죄예방 환경 조성과 현장 경찰활동을 대폭 강화할 방침이다.
김영옥 제주경찰청 생활안전계장은 "앞으로 3개월동안 신속대응팀과 진단팀을 여성범죄 근절에 집중적으로 투입하겠다"며 "지차체와 협업을 통해 치안인프라를 증설하는 등 전반적인 생활 환경을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제이누리=박수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