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역혁신을 통해 실적 호전 등 자신감이 붙은 제주개발공사가 대리점 운영 체제의 개혁에 나섰다.
그동안 특혜 논란, 도외 반출 문제, 공정거래법 위반 등 문제를 낳았던 도내 대리점 운영 체제의 문제 해결에 나서겠다는 것이다.
김영철 제주개발공사 사장은 27일 기자회견을 통해 "‘도내 유통혁신 방안 연구 용역’을 시행, 현행 4개 권역별로 나눠진 대리점 구조를 과감히 없애고 공사 직영체제로 전환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2011년 7월 이후 제주삼다수 도내 유통은 공사가 직접 편의점․대형할인점을 통해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2단계 유통경로와 공사에서 4개 대리점을 통해 일부 중도매상과 소매점을 거쳐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3~4단계 유통체계로 구분돼 있었다.
이중 공사가 직접 유통하는 비율은 20%에 불과하고 4개 대리점을 통한 유통이 80%를 차지하고 있다.
개발공사는 현행 4개 대리점을 통해 3~4단계로 복잡하게 유통되는 구조를 없애고 슈퍼마켓 체인과 조합마트를 통해 소비자에게 직접 공급될수 있도록 유통단계를 축소한다는 계획이다.
대형마트․편의점은 기존대로 공사에서 직공급하고, 도내 삼다수 공급 사각지대인 호텔, 음식점, 골프장, 관광지 등은 공사 내부 2개 영업소를 운영하는 등 영업을 강화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개발공사는 이에 따라 소매점 930곳과 편의점 667곳, 조합마트 46곳 등 총 1848곳을 통해 도내 곳곳 구석구석까지 제주삼다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김영철 사장은 "기존에는 소수의 대리점만 혜택을 입었지만 앞으로는 도민은 물론, 소상공인이 혜택을 입고 골목상권이 활성화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 사장은 "이번 조치로 공사자체 영업조직 운영에 따라 지역 일자리 창출 및 고용 안정화는 물론 공사의 마케팅 역량 강화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제이누리=이재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