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의 20대와 30대들은 제주도가 살기 좋은 지역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과 출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비용’을 들었다.
제주발전연구원 강창민 연구위원은 ‘제주특별자치도 2030 공감시책연구’를 위해 도내 20~30대 청년 2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했다. 표본은 무기계약직 노조원을 중심으로 이뤄졌다.
조사결과 2030세대는 가치관에 있어서 ‘자신감(자존감)은 삶에 있어 중요한 요인’이라고 가장 높게 평가했다. 평균 4.21점이었다. 이어 ‘청년세대의 도전과 역동성은 필수적인 인식’(3.88), ‘생존과 미래에 대한 걱정으로 불안’(3.57), ‘경쟁을 긍정적으로 평가’(3.52), ‘능력과 노력으로 계층상승이 가능’(3.45), ‘경쟁보다는 평등주의적 가치 중시’(3.15)의 순으로 동의하고 있다.
이번 설문에서 2030세대들은 제주도가 살기 적합한 지역이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생활만족도’를 묻는 질문에 176명이 ‘현재 제주가 타 도시에 비해 살기에 적합한 지역’이라고 응답했다. 전체 응답자의 57.0%로 가장 높았다. ‘보통’이라고 응답한 이는 96명으로 30.6%를 차지했다. 반면 ‘그렇지 않은 편’이라고 응답한 청년은 39명으로 12.4%에 불과했다.
취업과 일자리에 대해서는 보수가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자리 선택 시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는 ‘보수·수입’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136명이다. 전체 응답자의 43.2%로 가장 높았다. ‘직업에 대한 보람’은 77명으로 24.4%다. 이어 ‘고용안정성’은 73명(23.2%), ‘복리후생’은 23명(7.3%), ‘기타’ 4명(1.3%), ‘조직문화’ 2명(0.6%) 등의 순이었다.
취업을 가로막는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는 133명이 ‘원하는 일자리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고 응답했다. 42.2%로 가장 높았다. 이어 ‘낮은 보수’ 45명(14.3%), ‘일자리의 절대 부족’ 37명(11.7%), ‘일자리에 대한 정보부족’ 35명(11.1%), ‘3D업종 기피’ 21명(6.7%), ‘주변의식’ 15명(4.8%) 등이다.
결혼과 출산의 조건은 역시 비용이었다.
결혼을 미루거나 포기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에 대해서는 ‘결혼비용의 부담’이 98명(31.2%)으로 가장 많이 지적했다. 이어 ‘직업·사회활동에 지장’ 82명(26.1%), ‘미취업’ 81명(25.8%)으로 뒤를 이었다. 48명(15.3%)은 ‘자기 인생을 즐기기 위해서’라고 응답했다.
출산을 미루거나 포기하는 이유로는 ‘경제적 불안’이 가장 높았다. 127명으로 전체 응답자의 40.3%에 달했다. 이어 ‘보육비에 대한 부담’이 88명(27.9%)이었다. 대부분 비용 문제로 출산을 미루거나 포기하는 것이다. 다른 이유로는 ‘양육문제’ 67명(21.3%), ‘직장 보장’ 24명(7.6%), ‘보육기관 부족’과 ‘가치관’이 각각 4명(1.3%) 등이었다.
출산장려를 위해서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할 정책으로는 ‘출산장려금 지원’이 86명(27.4%)으로 조사됐다. 이어 ‘영유아 보육료 지원’과 ‘영유아 무상보육’이 각각 77명(24.5%)였다. 비용 부분이 해소되면 출산을 하겠다는 것으로 비춰지고 있다. 다른 정책으로는 ‘보육시설 확충’ 35명(11.1%), ‘다자녀 가족 할인·감면제도’ 26명(8.3%) 순이었다.
2030세대들은 시책홍보로 방송을 선호했다. 지역일간지와 도청 홈페이지에 대한 선호도는 미미했다.
제주도의 시책홍보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을 묻는 질문에 ‘TV방송’이 179명(56.8%)으로 가장 많이 손꼽았다. 이어 ‘소셜네트워크’ 70명(22.2%)과 ‘인터넷신문’ 32명(10.2%)을 선호했다. ‘지역 일간신문’은 20명(6.3%), ‘도정 홈페이지’는 11명(3.5%) 등으로 응답했다.
강창민 연구위원은 “제주도만의 문화를 활용한 직업연계 지원, 중소기업 활성화와 청년층의 중소기업 인식 변화, 20~30대 협동조합 설립 지원, 취업박람회 개최 지원, 중소기업 홍보 및 인턴십 확대, 2030세대 가상재화 창업정책 확대, 2030세대 빅데이터 프로젝트, 우수 중소기업 취업 기회 확대, 제주 앙뜨레프르너십 센터 운영, 제주 청년 뉴딜 프로젝트 등의 시책을 통해 2030세대들을 위한 일자리 정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또 “결혼과 주거안정을 위해 기존의 도의 출산 및 보육 정책 이외에 결혼 자금 지원, 예비부부 건강검진 사업, 어린이집 지킴이 운영, 주거 안정을 위한 사업 등을 추진해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제이누리=김영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