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는 3일 오전 11시부터 제주시 봉개동 제주 4·3평화공원에서 열리는 제65주기 제주 4·3사건 희생자 위령제에 정부대표로 정홍원 국무총리가 참석한다고 1일 밝혔다. 도는 박 대통령이 남북대치 상황 등에 따라 참석하지 못하고 있다고 전했다.
제주도 관계자는 “오늘 총리실로부터 국무총리가 4·3위령제에 참석할 수 있다는 통보를 받았다”며 “현재 세부 확정일정을 조율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시간상으로 박 대통령의 참석은 힘들 것 같다”고 덧붙였다.
정 총리는 이날 오전 10시20분쯤 제주에 도착한 뒤 위령제에 정부대표로 참석, 추도사를 할 예정이다. 위령제가 끝난 뒤 도내 기관장과 4·3유족 대표단과 함께 오찬을 가진 뒤 오후 2시쯤 제주를 떠날 예정이다.
특히 정 총리가 4.3관련 어떤 정부의 입장을 표명할 지 주목되고 있다.
그동안 4·3유족회와 제주출신 국회의원들, 시민단체는 물론 보수단체인 활빈단도 박 대통령이 4·3위령제에 반드시 참석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박 대통령이 참석이 그가 약속했던 국민 대통합의 길로 나갈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끝내 박 대통령은 참석하지 않아 한 가닥 희망을 가졌던 유족들의 불만을 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1일 한겨레 신문도 청와대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박 대통령의 불참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보도한 바 있다. 보도에서 청와대 관계자는 “박 대통령의 4·3위령제 참석 여부에 대해 논의한 바 없다”고 말했다.
4.3위령제 대통령 참석은 노무현 대통령이 2006년 제58주기 제주 4·3사건 희생자 위령제에 참석해 공식으로 사과한 뒤 7년째 이뤄지지 않고 있다. 그 동안 정부대표로 국무총리나 행정안전부(안전행정부)장관이 참석했다.
한편 이번 4·3위령제에는 지난 1999년 4·3특별법 제정 당시 국회 원내총무를 맡아 여야합의로 국회의결을 이끈 이부영(당시 신한국당), 한화갑(당시 새천년민주당) 전 의원을 특별 초청된다. 또 중국 난징기념관, 대만 2·28재단, 5·18기념재단 등 국내외 과거사 관련 기관단체에서도 참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