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6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국립산림과학원 권진오 박사팀, “기후 온난화 영향...더 빨라질 듯”

 

제주도롱뇽의 산란일이 한 달 더 빨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기상조건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앞으로 기후 온난화로 인해 산란일은 더욱 빨라질 전망이다.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권진오 박사팀에 따르면 제주시험림에 위치한 산림습지에서 제주도롱뇽의 올해 첫 산란일은 1월 7일이었다. 이는 평년 보다 약 한달 더 이른 것이다.

 

권진오 박사팀은 2008년부터 제주도롱뇽의 첫 산란일을 조사하고 있다. 2008년 1월 27일, 2009년 2월 2일, 2010년 1월 23일, 2011년 2월 26일, 2012년 2월 6일 등 매년 시기가 달랐다.

 

 

그런데 올해는 예년에 비해 한 달 정도 빨리 제주도롱뇽이 첫 산란을 한 것이다.

 

예년에는 주로 1월 말부터 2월 초순쯤에 첫 산란이 이뤄졌다. 육지부에 비해서는 두 달 가량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산란은 밤중에 이뤄졌고 바위 위에 길고 원형으로 말린 알을 붙여놓았다.

 

특히 제주도롱뇽의 산란일은 기상조건과 밀접한 것으로 조사됐다. 2008년부터 올해까지 제주도롱뇽의 첫 산란일 기상자료를 분석한 결과 제주도롱뇽의 첫 산란은 겨울철 기온이 5℃전후로 높아지고 있다. 게다가 습지에 물이 고일 정도인 약 20ml의 비가 온 날로부터 이틀에서 열흘 이내에 이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권 박사는 “제주도에서 제주도롱뇽 첫 산란일은 육지부에 비해 빠르다는 것이 이미 알려져 있다. 제주시험림 내에서 매년 그 시기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어 그 원인을 찾던 중 제주도롱뇽이 처음 산란한 날은 겨울철 기온이 5℃전후로 상승했다. 더구나 계곡물이 넘치지 않고 습지에 고일 정도 수준인 약 20ml의 비가 온 후였다”며 “이는 기온과 적정 강수량이 이들 첫 산란에 영향을 미치는 증거”라고 분석했다.

 

 

첫 산란시기가 기온 및 강수량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아 앞으로 지구 온난화로 인해 산란 시기는 더 앞당겨질 수도 있다는 것이다.

 

권 박사는 “최근 이상기후로 인한 강수량 변동이 산란시기뿐 만 아니라 알이 새끼로 변화하는 과정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돼 향후 이에 대한 지속적인 조사·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결과로 제주도롱뇽이 기후 조건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는 기후변화와 관련해서 산림 내의 환경지표종으로서 활용가능성이 높다”며 “지구온난화가 진행되면서 산란시기가 앞당겨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우리나라에는 5종의 도롱뇽이 있으며 그 중 제주도롱뇽은 몸길이가 7~12cm이고 제주도와 남해안에만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거미, 곤충, 지렁이 등을 먹는다. 계곡물이나 작은 웅덩이 바닥에 알을 낳으며 바위나 물풀 등에 알 덩이를 붙이기도 한다.

 

 

 


추천 반대
추천
0명
0%
반대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

제이누리 데스크칼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댓글


제이누리 칼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