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지난 75주년 광복절 경축식에 참석하는 기관장들에게 4.3 동백꽃 배지를 착용하지 않을 것을 제안한 사실이 알려지자 4.3기념사업위원회가 발끈하고 나섰다.
제주4.3기념사업위원회는 18일 오후 성명을 내고 “지난 15일 제주에서 열린 제75주년 광복절 경축식은 광복의 기쁨을 누릴 수 있는 행사가 되지 못했다”며 “4.3 배지를 떼자는 원희룡 도정의 제안이 현실화됐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제주4.3은 우리 민족 스스로 완전한 해방을 이루지 못한데서 비롯된 측면이 있다”며 “4.3의 시발점이 된 1947년 3.1절 기념대회의 주요한 외침은 일제 잔재의 청산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또 분단을 거부하고자 했던 제주도민들의 열망이 표출된 것이기도 하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이 정도의 배포를 원 도정에 바라지는 않지만 ‘경축 분위기에 어울리지 않아 4.3배지를 달지 않았다’는 원 도정의 답변은 아무리 이해하려고 해도 궁색하기만 하다”고 말했다.
이들은 “원 지사가 이번 광복절 경축식에서 4.3배지를 떼야만 하는 이유가 없다”며 “특히 4.3특별법 개정을 약속한 원 지사가 해야할 일은 4.3배지를 버리는 일이 아니라 4.3배지를 들고 정부와 국회를 찾아다녀야 하는 일”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4.3 70주년을 맞아 공항과 시청, 국회에서 직접 4.3배지를 달아주고 전국 지방자치단체에 4.3배지를 보내던 원 지사는 어디로 갔는가”라며 “원 지사는 이번 4.3 배지 논란에 대해 직접 해명하고 도민들에게 사과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또 “원희룡 지사 본인의 SNS 배경에 가끔 장식품처럼 등장하는 ‘제주4.3 이젠 우리의 역사’를 한 번 읽어볼 것을 권한다”고 덧붙였다.
제주도는 지난 15일 경축식에서 원 지사가 4.3배지를 달지 않았다는 언론보도가 나오자 즉각 해명자료를 내고 “추모를 상징하는 4.3동백꽃 배지가 경축분위기와 다소 어울리지 않는다는 자체 판단에 따라 달지 않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도는 또 “원 지사는 모든 행사에 4.3배지를 착용해 왔다”며 “또 4.3특별법 개정을 통한 국가차원의 4.3진상규명과 희생자 명예회복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제이누리=고원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