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가 공영버스 운행 노선을 개편한다. 이를 통해 공영버스의 운영 효율화를 개선한다는 방침이다.
제주시는 공영버스 운영 효율화를 위해 다음달 18일부터 공영버스 운행 노선 일부를 조정하고 운행차량 대수를 감축할 계획이라고 28일 밝혔다.
시는 2017년 이전까지 시내 동지역에서 공영버스를 운영해왔다. 하지만 2017년 8월 대중교통 노선개편이 이뤄지면서부터 읍면 중산간 지역에 대해 30개 노선 46대의 공영버스를 운영하고 있다.
현재 30개 노선 중 1개 노선만 제주시 동지역을 지나고 나머지 29개 노선은 모두 읍면지역을 지난다.
하지만 2017년 이후 매년 공영버스 이용객이 줄어들면서 운영적자가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제주시 공영버스 이용객은 2017년 257만8000명에서 지난해 139만6000명으로 46%가 줄었다.
반면 운송원가는 2017년 53만2239원에서 지난해 57만2508원으로 8%가 늘었고 적자폭은 2017년 83억원에서 지난해 103억원으로 24%가 늘었다.
올해의 경우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여파로 올 상반기 공영버스 이용객이 지난해 동기 대비 8만명 가까이 줄어들면서 적자폭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시는 이에 따라 30개 노선 46대 운행 규모를 28개 노선 43대 운행으로 축소한다는 방침이다.
기존 신촌리에서 대흘과 와산, 와흘 등을 거쳐 다시 신촌으로 돌아오는 701-3번과 701-4번 노선이 사라진다. 시는 702-1번과 702-2번 버스의 노선을 연장해 기존 노선 폐지에 따른 시민 불편을 해소한다는 방침이다.
이외에 792-1번과 792-2번 버스의 차량이 감축된다. 하귀에서 출발해 장전과 유수암, 용흥을 거처 다시 하귀로 돌아오는 노선 버스다. 794-2번 버스도 감축된다. 애월에서 납읍, 봉성, 어음2리를 순환하는 버스다.
이용객이 급격히 줄어드는 주말에는 시내 중심 운행 노선과 주중대비 주말이용실적이 줄어드는 노선에서 3대를 감축해 28개 노선 40대를 운행할 계획이다.
먼저 하귀에서 출발해 제주시를 통과, 함덕까지 가는 300번 버스를 2대 줄이고 한림과 명월, 금악, 조수리를 거치는 785번 버스 1대를 줄인다.
시는 공영버스 승객 이용데이터를 검토해 승객 이용대비 차량 과대 투입 노선을 선정했다. 또 사전 주민의견 수렴과 출퇴근 및 학생 등하교 시간표 변동은 지양해 승객 불편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으로 갔다.
시는 개편 후 나오는 주요 불편사항에 대해서는 보완 작업을 거친다는 계획이다.
시는 이번 개편으로 연간 인건비 3억2000만원 및 차량유지비 2억원 등 모두 5억2000만원의 예산절감과 운송수지 개선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제이누리=고원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