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해파리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움직임에 나섰다.
제주도는 매년 제주연근해에 출현하는 노무라입깃해파리 등의 대량 출현 시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피해예방 대책본부를 구성·운영한다고 15일 밝혔다.
제주에 영향을 주는 노무라입깃해파리는 현재 1ha당 평균 14.5개체로 지난해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다만 올 여름 수온 대비 0.5~1도 더 높고 대마난류의 세기가 강할 것으로 예보됨에 따라 7월 중순경 고밀도로 출현해 주의보 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노무라입깃해파리 주의보는 100㎡당 1마리 이상이 발견되고 민·관 해파리모니터링 발견율이 20%를 초과할 때 발령된다.
제주에서는 2012년과 2013년, 2016년에 발령된 바 있다. 지난해에도 7월12일에 발령됐다. 하지만 제주에는 큰 피해가 생기지는 않았다.
도는 올해 해양수산부의 해파리 피해방지 종합대책에 따라 해양수산국장을 본부장으로 하는 해파리 피해예방대책본부를 구성, 해파리 주의보 발령일부터 종료시까지 운영할 계획이다.
또 해파리 유입을 조기 발견해 대응할 수 있도록 어업지도선 2척을 수시로 의심해역에 파견, 예찰활동을 강화할 예정이다.
조동근 제주도 해양수산국장은 “올해 해파리로 인한 피해가 생기지 않도록 단계별 위기특보에 따라 신속히 대응해 나가겠다”며 “체계적인 대응으로 해파리로 인한 어업인 및 해수욕객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제이누리=고원상 기자]